• 제목/요약/키워드: Waist height

검색결과 555건 처리시간 0.036초

사춘기 아동의 성적성숙도와 혈압수준 (The Blood Pressure Level and Sexual Maturity in the Children at Puberty)

  • 김규상;이순영;서일;남정모;지선하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6권3호
    • /
    • pp.347-358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lood pressure level and their sexual maturity and physical growth in the children at puberty. For this purpose, we estimated the blood pressure, physical growth and sexual maturity of the boys of 335 and girls of 373 who are in the middle schools which are located in Kangwha County, Kyungki-Do. Both systolic and diastolic pressure were measured twice. Such physical growth as height, body weight, skin fold thickness, waist circumference, hip circumference and arm circumference were measured. The sexual maturity was estimat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anner's 5-phase-sexual-maturity : in boys, their pubic hair development phase : in girls, their pubic hair and breast development phase and the menstrual experience. In the phase of the pubic hair development, the boy's sexual maturity was distributed into this; the 1 st 56.4%, the 2nd 29.3%, the 3rd 9.9%, the 4th 4.1% and the 5th 0.3%. While the girls sexual maturity was distributed into this the 1st 20.5%, the 2nd 34.9%, the 3rd 30.6% the 4th 12.6% and the 5th 1.3% in the phase of the pubic hair development, and the 1st 0.8%, the 2nd 13.7%, the 3rd 36.2%, the 4th 18.8% and the 5th 30.5% in the phase of the breast development. This indicated that the girls sexual maturity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boys. The girls menstrual experience rate accounted to the 58.2%. In order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s sexual maturity and blood pressure level, we regress blood pressure level on physical growth (i.e., height, BMI) and sexual maturity. Sexual maturity in treates as dummy variables. As the resulf of this analysis, the boys' sexual maturity has nothing to do with the blood pressure either systolic or diastolic. But the girl's systolic pressu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 the 9% of the physical growth, the 5% of the pubic hair development and the 4% of the breast development in sexual maturity was explained. In the girls' diastolic pressure, only their pubic hair develop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 the 7% of the physical growth and the 7% of the pubic hair development in the diastolic was explained and the 5% of the physical growth in the diastolic Korotokoff phase IV and the 2% of the pubic hair development in the diastic Korotokoff phase was explained, especially, the girls exprienced menstruation, their systolic and diastolic pressure were significantly high (P<0.01). Conclusively, in the first grade children attending middle schools who are in the early process of the sexual development, the sexual maturity was not related to blood pressure level, on the other hand, the blood pressure level of the girls who are more sexual development than those of the boys' have something to do with sexual maturity and physical growth.

  • PDF

치과위생사의 진료자세가 신장과 체중에 따라 신체부위 통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ntal Hygienists' Treatment Posture in Part of the Body Pain according to Height and Body Weight)

  • 성미경;김혜영;강현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205-215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치과위생사가 진료 시 취하는 진료자세를 파악하고, 진료자세로 인해 신장과 체중에 나타나는 통증 발생을 분석하고 그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올바른 진료자세를 취할수 있도록 하며 근골격계 통증의 예방과 효율적인 신체의 관리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부산광역시 소재 치과 병 의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 120명을 대상으로 2010년 4월 5일부터 16일까지 설문지를 이용해 개별 자기기입법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얻어진 자료의 분석은 통계프로그램(SPSS 18.0 for windows)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신장이 작을수록 신체부위 중 '등', '허리', '엉덩이', '다리', '무릎', '발목/발'에 통증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p<0.05), '어깨'부위를 제외하고 신장이 클수록 통증이 대체적으로 적음을 알 수 있었다. 체중과 신체부위 통증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부위 통증간의 관계를 검정한 결과, '무릎'과 '다리'에서 매우 강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0.71)(p<0.01). 진료자세에 대한 교육을 받은 경험은 '예'가 56.7%로 나타났으며, 현재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있는지의 여부는 '아니오'가 62.5%로 나타났다. 근무처의 건강복지를 위해 우선시 되어야 할 사항은 근무처의 환경개선에 대한 사항이 47.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서울 지역 고등학생의 영양소 섭취와 체위 및 혈액성상 (A Study on Nutrient Intake, Anthropometric Data and Serum Profiles among High School Students Residing in Seoul)

  • 이현숙;김보은;조미숙;김화영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589-596
    • /
    • 200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hropometric data, serum profiles, and nutrient intakes of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living in Seoul. Anthropometric data showed that mean height and weight were 174.1 cm and 66.6 kg in 99 male and 161.4 cm and 54.0 kg in 116 female students. Mean BMl for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21.9 and 22.3 kg/$m^2$, and subjects with BMI > 25 kg/$m^2$ were 14 and 7%, respectively. Total cholesterol, HDL- and LDL-cholesterol of subjects were 149.6$\pm 3.1,\; 46.4 \pm 1.3,\; 86.4 \pm 2.3$,/TEX> mg/dl for males and 169.2 $\pm 3.1,\;50.7 \pm 1.0,\; 100.9 \pm 2.7 mg/dl$ for females, respectively. Hemoglobin (Hb) and total iron binding capacity (TIBC) were 12.8 $\pm 0.1 g/dl, \;437.3 \pm 7.2\mug/dl\; in\; male\; and\; 11.9 \pm 0.1 g/dl,\; 439.4 \pm 5.7\mug/dl$ in female, respectively. Based on Hb classification, 45.6% of male and 45.0% of female students fell into anemic condition. Intakes of energy, Ca, Fe, Zn, riboflavin, and folate were below the Korean RDA. In particular Ca (male and female, respectively, 64.6 and 64.3% RDA) and Fe (male and female, respectively, 78.6 and 64.3% RDA) intakes were extremely low. Serum triglyceride was positively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weight (r =0.22), BMI (r =0.279), waist circumference (WC, r =0.235), triceps skin-fold thickness (TSF, r =0.197) and obesity index (OI, r =0.279). Hb concentr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ight (r + 0.387), weight (r =0.349), BMI (r =0.191) and waistlhip ratio (WHR, r =0.380). 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serum profiles and nutrient intakes, the Hb concentr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nergy (r =0.163), protein (r =0.149), Na (r =0.153), vitamin A (r =0.165), thiamin (r =0.201) and niacin (r =0.192, p < 0.01). These result suggest that the prevalence of Ca and Fe deficiency of student is high and dietary guideline for prevent anemia in this age needs to contain the adequate intake of energy and its related vitamins.

한국 여성의 초경개시 임계 체중과 체지방률 (Minimal Weight and Body Fat Percentage in Relation to the Onset of Menarche in Korean Females)

  • 정은숙;이정아;임현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96-204
    • /
    • 2005
  • Menarche is a main indicator of sexual maturity which relates to a reproductive function. The onset of the menstrual cycle differs individually and is influenced by many variables such as socio-economic situation, race, genetics, climate, altitude, nutritional status, and physical growth. Among them physical growth has been known to be the most influencing factor, particularly when expressed as body fat designated by weight.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body composition of girls around the menarche period and to evaluate the minimal levels of weight and fat percentage needed for the onset of menarche. A total of 101 female subjects, aged 11 to 13 years, were recruited from the 5th and 6th grades of an elementary school, in Mokpo, Korea. The subjects were placed into one of two groups Pre-menarche and Post-menarche groups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 with menarche. Thereafter, the subjects in the Post-group were placed into 4 subgroups based on the number of menstruations they experienced: Post-I (1-3 times), Post-II (4-6 times), Post-III (7-9 times), and Post-IV (> 10 times). The average age at the onset of menarche of the subjects in Post groups was $11.2 \pm 0.6$ yea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ata of anthropometry and body composition between the Pre and Post groups, although the mean ages of both Pre and Post groups were the same. Weight, waist, hip and thigh girths, fat percentage, and lean body mass of the Post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Pre group. Heigh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Weight was highly correlated with body fat mass (r = 0.92. p < 0.001), fat percentage (r = 0.85, p < 0.001), and body mass index (r = 0.91, p < 0.001) These results indicate that weight, compared with height, reflects body composition well and influences the onset of the menstrual cycle. It could also be suggested that the minimal weight and fat percentage needed for the onset of menarche in Korean females are 41 kg and $17\%\;to\;19\%$, respectively.

복합운동이 폐경 전 성인여성의 신체조성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Combined Exercise in Premenopausal Women Effects on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 김경희;이정희;여진동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45-155
    • /
    • 2017
  • 본 연구는 최근 6개월 이내에 특별한 식이 요법이나 정기적으로 약물을 복용하지 않고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하지 않은 폐경 전 성인여성이 복합운동에 따른 신체조성 및 골밀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고자 수행되었으며 이 결과는 폐경 전 성인여성의 건강 및 운동실시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번 발생하게 되면 치료나 완치가 어려운 골다공증 예방교육을 조기에 실시하고 관리능력을 배양하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자의 30대 평균 연령은 35.44세, 신장은 30대 평균 158.89 cm이고, 40대 평균 연령은 41.89세, 40대 평균 신장은 160.78 cm를 차지했다. 신체 조성에서 근육 량, BMI, 체지방률의 평균은 30대에서 높았고, 골무기질, 제지방량, 골격근량, 체중, 체지방량, 허리둘레의 평균은 40대에서 높았다. 요추골밀도 및 대퇴골밀도는 30대가 40대보다 높았다. 폐경 전 성인여성의 연령별 복합운동에 의한 30대 신체조성은 근육량, 골격근량, 제지방량은 증가하였고, 체지방량, 체중, 체지방률, 허리둘레는 감소하였다. 40대 신체조성 중 근육량은 증가 하였으며,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률, BMI는 감소하였다. 30대 골밀도 변화는 요추골밀도는 요추 1번, 요추2번, 요추3번, 요추전체, 대퇴골밀도는 대퇴 각 부위에서 증가하였고, 40대 골밀도 변화는 요추골밀도는 요추 각 부위, 대퇴골밀도는 대퇴 각 부위에서 증가하였다. 사후분석 결과에서 신체조성의 변화는 복합운동 후 근육량, 체중, 체지방량, BMI는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골밀도의 변화에서 요추골밀도는 요추1번, 요추2번, 요추3번, 요추전체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대퇴골밀도는 대퇴삼각과 대퇴전체에서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일부 지역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수면, 신체계측, 영양소섭취 상태와의 상관관계 (Correlations among Life Stress, Sleep, Anthropometric Measurement and Nutrient Intakes of College Students)

  • 성민정;장경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840-848
    • /
    • 2007
  •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수면, 신체계측, 영양소섭취 상태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와 신체계측 및 체성분 검사, 식이섭취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들의 평균 수면 시간은 남학생 7.0시간, 여학생 7.1시간이었고, 수면 점수는 남학생 40.6${\pm}$5.7, 여학생 41.5${\pm}$5.3으로 수면 시간과 수면 점수에 있어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면과 생활 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에서 남녀 모두에게 수면 시간은 생활 스트레스의 수준(스트레스 경험 빈도, 중요도, 총 스트레스 점수)과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수면의 질을 나타내는 수면 점수와 생활 스트레스 수준(스트레스 경험 빈도, 중요도, 총 스트레스 점수)을 살펴보았을 때, 남녀 모두에게 생활 스트레스와 수면의 질 간에 매우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p<0.01) 수면의 양보다는 수면의 질이 생활 스트레스와 더 상관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생활 스트레스 경험 빈도, 중요도, 총점과 신체계측 간에 상관성을 보았을 때 남학생은 생활 스트레스 경험 빈도, 중요도, 총점과 신체계측 및 체성분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여학생은 생활 스트레스 경험빈도, 총점이 신체발달 점수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남학생의 경우 경제 문제와 신체계측과의 상관관계에서 체중(p<0.05), 허리둘레(p<0.05), 엉덩이둘레(p<0.05)와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학생은 이성 문제에 대한 스트레스와 BMI(p<0.05), 체지방률(P<0.01), 복부지방률(p<0.01), 비만도(p<0.05) 간에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친구 문제와 BMI(p<0.05), 비만도(p<0.05), 엉덩이둘레(p<0.05)간에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학업 문제에서 체지방률(p<0.05), 복부지방률(p<0.05)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영양소 섭취량과 생활 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에서 몇몇 영양소와 생활스트레스 간에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며, 생활 스트레스 원인별로 그 양상이 달랐다 남학생은 대체로 동물성 식품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영양소인 칼슘, 철분 등과 생활 스트레스 간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에서 조사된 바에 의하면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는 수면의 양보다는 수면의 질과 상관성이 있었으며 체성분, 영양소 섭취상태와도 상관성을 보였다. 생활 스트레스에 적절히 대처하는데 올바른 식습관 및 생활습관의 확립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대학생을 대상으로 운동, 자신이 좋아하는 취미활동 하기, 상담제도 이용 등의 올바른 생활스트레스 관리 방법에 대한 교육과 바람직한 식생활을 위한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2007 한국 소아 청소년 성장도표 : 개발 과정과 전망 (2007 Korean National Growth Charts: review of developmental process and an outlook)

  • 문진수;이순영;남정모;최중명;최봉근;서정완;오경원;장명진;황승식;유명환;김영택;이종국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호
    • /
    • pp.1-25
    • /
    • 2008
  • 목 적 : 1967년 이후로 1998년까지 대한소아과학회와 정부는 매 10년마다 한국 소아청소년 신체발육표준치를 제정하여 왔다. 지난 40년간의 한국 성장도표는 체계적이고 통계학적인 표준화를 거치지 않은 기술적인 도표였다. 전 세계적인 비만의 유행에 대하여 WHO나 CDC와 같은 국제적인 기관들은 이에 대처하기 위하여 성장도표의 제정 원리들을 변경하여 왔다. 본 논문은 고찰과 함께 새로운 2007년 성장도표 개발과정을 요약하였다. 방 법 : 질병관리본부 만성병조사과의 주도로 2005년에 새로운 성장도표 제정을 위한 신체계측 조사를 시행하였고, 그 결과 소아 비만의 급증과 청소년 최종 성장의 세대별 증가 현상이 정체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연구진은 혁신적인 방법론을 도입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새로운 성장도표를 제정하였다. 확보 가능한 원자료인 1997년 및 2005년 측정 자료를 표준화고 통합하였으며, LMS 방법을 도입하여 통계적 모델링을 시행하였다. 결 과 : 표준화된 자료로서 연령별 신장, 연령별 체중, 연령별 체질량지수, 연령별 두위, 신장별 체중 도표가 제공되며, 2005년 조사의 표준화되지 않은 자료로 제공되는 연령별 허리둘레, 연령별 가슴둘레, 연령별 상완둘레, 연령별 피부 두겹집기가 제공된다. 임상 지침도 함께 제공된다. 결 론 : 새로운 한국 성장도표의 개발 과정과 결과는 국제적인 기준인 WHO 표준성장도표 및 미국 CDC 성장도표의 방법론을 적용한 것으로서, 비만과 성 발육이 가속화된 현 상황에 적절하다. 이는 특히 한국 국민과 한민족에게 유용하다. 향후 보다 과학적인 표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요청된다.

돼지감자의 이놀린, 연잎, 허브의 다이어트제제가 비만인의 체중 및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 Food Containing Jerusalem Artichoke's Inulin, Lotus Leaf, and Herb on Weight and Body Fat of Obesity University Students)

  • 이은혜;강상모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2권1호
    • /
    • pp.8-14
    • /
    • 2009
  • 본 연구는 식이섬유인 돼지감자의 이눌린, 연잎분말과 허브로 제조한 다이어트 제제가 체중, 체지방 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에 참가하기 위한 대상자의 선정은 체질량지수(BMI) $25kg/m^2$ 이상, 체지방률 25% 이상, 복부비만률 0.85로 하였다. 본 연구는 20세 이상의 남녀 대학생 24명으로 각 12명씩 대조군과 다이어트군으로 나눈 후 30 일간 실시하였다. 식사섭취량은 식사기록법(diet record method)으로 조사하여 CAN program에 입력한 후 영양소 섭취량을 분석하였다. 실험 전 후의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한 결과 1주의 영양소 섭취량과 4주째의 영양소 섭취량이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대조군과 다이어트군 모두에서 4주째 열량 섭취량이 다소 감소하였지만 유의적으로 큰 차이는 아니었다. 또한 실험 결과 다이어트군은 대조군에 비해 체중이 약 2.5 kg 감량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그 외의 체지방량, 근육량, 복부 비만율, 비만도,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모두 실험 기간 중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나, 체지방량과 근육량은 함께 감소하였으므로 체지방률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혈압은 대조군과 다이어트군에서 모두 정상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의 돼지감자의 이눌린, 연잎분말, 허브의 쐐기풀 분말 및 유칼립투스 잎의 분말의 다이어트 제제가 체중과 체지방 및 비만관련 신체지표를 유의하게 감소시켰음을 알 수 있었으며, 운동요법을 병행할 경우 비정상적인 지방 축적으로 인한 비만을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성인 남성 근로자에서 비만 지표의 변화와 혈청지질치 변화와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 in Obesity Indices and Change in Serum Lipids in Adult Male Workers)

  • 하영애;천병렬;감신;이성국;예민해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9권3호
    • /
    • pp.439-449
    • /
    • 1996
  • 성인 남성 근로자들에 있어서 비만지표의 변화와 혈청지질치 변화와의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대구시에 소재한 1개 회사의 남성 근로자 208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1995년 7월에 신장, 체중, 허리둘레, 엉덩이둘레를 재고 혈압을 측정하였으며, 혈청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등을 검사하고 LDL-콜레스테롤, 심근경색지수를 계산하였다. 이를 1991년도에 검사된 기초 자료들과 비교하였다. 1. 4년간 체중이 1.63kg, 허리둘레가 3.61cm, 엉덩이둘레가 4.23cm, BMI가 $0.52kg/m^2$, Katsura 지수는 0.02만큼 유의하게 증가했지만, 허리 엉덩이둘레비는 0.021만큼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p<0.01). 총 콜레스테롤은 15.09mg/이, 중성지방 20.43mg/dl, HDL-콜레스테롤 9.40mg/dl, 그리고 심근경색지수는 2.87mg/dl 만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1). LDL-콜레스테롤은 3.50mg/dl 만큼 증가하였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2. BMI 변화 및 Katsura 지수의 변화와 총 콜레스테롤의 변화(r=0.174, p<0.05), BMI 변화와 중성지방의 변화(r=0.374, p<0.01), 그리고 체중의 변화와 심근경색지수의 변화(r=-0.173, p<0.05)가 상대적으로 강한 상관성을 보였다. 허리 엉덩이둘레비 변화는 총 콜레스테롤 변화량과 양의 상관관계(r=0.162, p<0.05)를 보였지만 다른 혈청지질치들과는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3. 생활습관의 변화를 보정하고도 중성지방은 체중 (r=0.262, p<0.01), BMI(r=0.267, p<0.01) Katsura 지수(r=0.258, p<0.01)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심근경색지수의 변화는 체중(r=-0.143, p<0.05), BMI(r=-0.158, p<0.05), Katsura 지수(r=-0.144, p<0.05)와 유의한 음의 관련성이 있었다. 이 중 BMI가 가장 큰 상관계수 값을 보였다. 4. 1991년의 허리 엉덩이둘레비로 분류한 경우, 상체형 비만군이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HDL-콜레스테롤과 심근경색지수의 증가폭이 유의하게 더 낮았다(p<0.05). Katsura 지수의 경우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BMI로 분류한 경우에도 역시 비만군이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HDL-콜레스테롤, 심근경색지수 값들의 증가폭이 유의하게 낮았다(p<0.05 또는 p<0.01). 중성지방은 BMI로 분류한 경우 비만한 군의 증가폭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성인 남성 근로자들에서 혈청 지질치 변화에 대한 비만도의 지표로는 BMI가 허리 엉덩이둘레비나 Katsura 지수보다 더 적절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누에고치 유래 실크 펩타이드와 녹차잎 및 식이 섬유소 보충이 체지방 및 혈청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Consequent Body Fat and Serum Lipid Metabolism after Cocoon Hydrolysate, Green Tea Leaves and Dietary Fiber Supplementation)

  • 이민숙;김동명;조병남;구성자;주상섭;진동규;이성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2호
    • /
    • pp.123-129
    • /
    • 2003
  • 본 연구는 서울 지역에 거주하고 일상식이를 하는 20-30대 여성 47명을 대상으로 1일 4.Og의 누에고치 유래 실크 펩타이드와 녹차잎 및 식이 섬유소를 한 달 정도 섭취하도록 하여 2002년 4월 1일부터 5월 30일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군의 평균 연령은 26.2세, 평균신장은 161.7cm, 평균 체중은 60.7kg, BMI평균은 23.4이었다. 보충전에 비하여 보충 후에 대조군의 총열량, 당질, 지질, 단백질 식이 섬유소 섭취량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실험군의 경우 총열량은 보충 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p<0.01), 체중 변화는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보충 후에 3.0 kg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MI는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1). 체지방량 변화는 보충 후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으로(p<0.001) 보충 전에 비해 2.0 kg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부비만율(WHR)의 경우 보충군에서 보충 전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p<0.01), 복부비만 해소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otal cholesterol과 LDL-cholesterol 변화 또한, 보충 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충후에 따른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로 HDL-cholesterol은 BMI와 WHR에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0.01). LDL/HDL ratio BMI와 p<0.01 수준에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WHR과는 p<0.05수준에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상 결과에서 보듯이, 저분자 펩타이드, 녹차잎 및 식이 섬유소의 보충은 체지방의 감소 효과 뿐만 아니라, 혈청 내 total cholesterol과 LDL-cholesterol 수준의 감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신체의 부위 중 복부의 지방을 감소시켜 복부 비만 관리 및 체지방 관련 위험율을 감소시키는 결과가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