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IS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8초

Modality-Specific Working Memory Systems Verified by Clinical Working Memory Tests

  • Park, Eun-Hee;Jon, Duk-In
    • Clinical Psychopharmacology and Neuroscience
    • /
    • 제16권4호
    • /
    • pp.489-493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ether working memory (WM) can be clearly subdivided according to auditory and visual modality. To do this, we administered the most recent and universal clinical WM measures in a mixed psychiatric sample. Methods: A total of 115 patients were diagnosed on the basis of DSM-IV diagnostic criteria and with MINI-Plus 5.0, a structured diagnostic interview. WM subtests of Korean version of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IV and Korean version of Wechsler Memory Scale-IV were administered to assess WM.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as used to observe whether WM measures fit better to a one-factor or two-factor model. Results: CFA results demonstrated that a two factor model fits the data better than one-factor model as expected. Conclusion: Our study supports a modality model of WM, or the existence of modality-specific WM systems, and thus poses a clinical significance of assessing both auditory and visual WM tests.

뇌기능영상 측정법을 이용한 영재성 평가의 타당성 연구 (A Neurobiological Measure of General Intelligence in the Gifted)

  • 조선희;김희백;최유용;채정호;이건호
    • 영재교육연구
    • /
    • 제15권2호
    • /
    • pp.101-12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뇌영상기술(fMRI)을 이용하여 뇌신경활동성에 기반한 영재성 평가의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이를 위해 현행 영재교육 수혜자 및 일반 고교생 50명을 대상으로 국제적으로 공인된 다양한 지능검사(RAPM, WAIS)와 창의력 검사(TTCT-도형, TTCT-언어)를 실시하였으며 이들 중 4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추론적 사고능력을 요구하는 지능과제 수행 시 두뇌활동성을 측정하였다. 일반지능(g) 수준에 따라 영재군과 일반군으로 구분하여 두뇌활동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두 그룹 모두 좌.우반구의 외측전전두엽피질(lateral PFC), 전대상피질(ACC), 후두정엽피질(PPC)에서 높은 활동성을 보였으며, 영재군이 일반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개인별 일반지능(g) 수준과 두뇌활동성 사이의 상관도를 분석한 결과 후두정엽피질에서 가장 높은 상관도$(r=0.73{\sim}0.74)$를 보였으며 다른 영역들 역시 비교적 높은 상관도$(r=0.53{\sim}0.66)$를 보였다. 한편 영재군은 일반군에 비해 지능지수에서는 월등히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창의력지수에서는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뇌기능영상기술이 영재성 평가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보여주며 영재선발 시 창의력에 대한 평가 비중을 강화시킬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외상성 뇌손상 후유증으로 인한 좌 우 Alpha파 비대칭성이 유발된 청소년의 Alpha파 비대칭 뉴로피드백 훈련 1례 (A Case of Alpha Wave Asymmetric Neurofeedback Training of Adolescents having Left and Right Alpha Wave Asymmetry Caused by Traumatic Brain Injury Sequela)

  • 정문주;원희욱;채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71-18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성 뇌손상 후유증이 삶의 질을 결정할 수 있는 주요한 요인이기 때문에, 후유증을 호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훈련 방법을 찾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어린 시절 외상성 뇌손상을 경험하고 인지 학습과정서적인 부분에 어려움이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뉴로피드백 훈련을 실시하였다. 환아 평가는 K-WAIS-IV 지능검사와 QEEG 뇌파 분석을 사용하였다. 뉴로 피드백 훈련은 T3 알파파 보상, T4의 알파파 억제 훈련을 주 3회 30분씩, 총 36회를 훈련하였다. 또한 뉴로피드백 훈련과 함께 호흡 명상도 환아 스스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결과 숙면을 취하고 시험불안의 감소, 기말고사 성적의 만족 등의 안정적인 상태를 보였다. 본 연구는 유년기 두뇌 외상으로 인하여 가시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기질적, 심인성 문제들이 존재할 가능성과 이를 발견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의 활용에 대해 발견했다. 또한 유년기 외상성 뇌손상의 경우 뇌 훈련과 명상을 통하여 호전될 수 있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뇌과학의 측면에서 심신 치료에 도움이 되는 융합적 방법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도형 과제 수행 때 나타나는 청소년의 지능별 대뇌 및 소뇌의 활성도 차이 분석 (Activation Differences of Superior Parietal Lobule and Cerebellum Areas While Inferring Geometrical Figures per Intellectual Category in Adolescents)

  • 김예림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5호
    • /
    • pp.637-648
    • /
    • 2013
  • 대뇌 피질과 지능과의 관련성은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되어 왔으며, 지능 발현에 관여하는 뇌 영역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이와 함께 소뇌도 대뇌처럼 언어와 기억, 정보 처리 등 다양한 인지 기능 수행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도 연구 결과 나타났다. 그러나 특정 과제 수행 때 지능별 대뇌와 소뇌 영역들의 활성도 차이를 밝힌 연구 결과는 찾기 어렵다. 본 연구는 공간유추 과제를 수행할 때 나타난 대뇌와 소뇌의 활성 영역을 탐색하고, 그 차이를 분석하였다. 건강한 81명(평균 16세 3개월)의 남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WAIS 지능 검사를 하여 5개 지능 범주로 나누고, 도형 유추 과제를 수행하게 하면서 기능성자기공명영상기술(fMRI)로 뇌 영상을 촬영하였다. 그 결과 12개 뇌 영역에서 활성이 나타났는데, 대뇌 피질에서는 시각영역인 양측 하후두회 외에 양측 상두정회와 우측하전두회, 양측 미상회, 그리고 소뇌의 5개 세부 영역들이다. 특히 지능(IQ)이 높을수록 이들 영역의 활성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영재 중에서도 지능이 아주 높은 140~147 범주의 피험자들은 다른 지능그룹에 비해 월등히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런 결과는 아주 높은 지능의 영재들의 뇌 활용 특징일 수 있기 때문에 '슈퍼 영재'들의 판별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재교육을 위한 물리과 수업 및 평가의 실제

  • 최정곤;박수경;이병세
    • 한국영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영재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5-186
    • /
    • 2003
  •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핵심적인 부분은 영재들에게 적절한 교육과정이며, 대표적인 영재교육과정모형으로 삼부심화학습모형(Enrichment Triad Model: ETM), 학교단위 심화학습모형(Schoolwide Enrichment Model: SEM), 자기주도적 학습모형 (Self-Directed Learning Model), 퍼듀 3단계 심화학습 모형(Purdue Three-Stage Enrichment Model) 등이 있다. 이들 모형에 대한 적용 연구가 일부 초등학교냐 중학교의 시범적인 속진 및 심화 프로그램 실시로 적용된 바는 있으나 정규 교육과정에서는 실시될 기회가 없었다. 국내에서도 2002년 영재교육법 시행령 적용 이후 과학영재학교가 지정되어 운영되고 있기에, 영재교육을 위한 모형을 정규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과정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삼부심화학습모형을 적용하기 위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이를 과학영재학교 물리수업에 적용하여 그 과정과 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과학영재고등학교 1학년 72명이며 검사결과 지능지수, 추리력, 수리력, 지각력 면에서 매우 우수한 집단으로 나타났다. 삼부심화학습모형을 실시한 기간은, 1단계 활동을 2주간 실시하였고, 2단계 활동은 4개월간 진행하고 있으며, 3단계 활동은 겨울방학을 이용하여 실시할 계획이다. 삼부심화학습모형에 의하면 1단계는‘일반 탐색 활동을 통한 심화 학습’단계로 정규 교육과정 속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새롭고, 흥미로운 주제나 지식 영역들에 학생들이 접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일반적 탐구 혹은 탐색 경험들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한 결과 TTCT 도형과 언어 검사 모두 WAIS 소검사중의 기본지식문제가 TTCT 전체점수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쳤다. 지능이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에 대해 WAIS 11개 소검사와 TTCT 전체점수와의 상관을 구한 결과, 지능이 높은 그룹에서는 유의미한 상관을 의미는 소검사가 거의 없었던 것과는 달리, 지능이 낮은 그룹에서는 결정성지능을 대표하는 소 검사와 TTCT 도형검사 점수간의 상관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TTCT는 도형과 언어 검사 모두 유동성지능 보다는 결정성지능과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창의력 검사가 문제 해결 상황에 기존의 지식을 이용하는 능력을 측정하고 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또한 지능이 낮은 그룹에서 높은 그룹에 비해 창의력 검사와 지능 검사 사이의 상관의 정도가 높았는데, 이는 일정 수준까지는 창의적 능력이 결정성 지능에 의해 제한을 받으나 일정 수준 이상의 결정성 지능을 갖게 되면 더 이상 결정성 지능이 창의적 능력을 제한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circ}C$에서 2.5~8.2mg$CO_2$/kg.hr로 일반적으로 보고되고 있는 토마토 호흡속도와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다.환원당인 sucrose 함량은 계속 증가하였고 fructose, glucose, sorbitol의 함량(추황의 sorbitol을 제외)은 생장이 촉진됨에 따라 증가하다가 다시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총당과 환원당의 측정결과와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배의 성장에 따라 산 함량은 감소하였고 당 함량은 증가하였다.luco-pyranoside, quercetin 7-O

  • PDF

강박장애 환자의 지능과 신경심리검사 소견 (Intelligence and Neuropsychological Tests Findings i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 김찬형;이성훈;김지웅;이희상;김경희;이홍식
    • 수면정신생리
    • /
    • 제5권2호
    • /
    • pp.194-201
    • /
    • 1998
  • 목적 : 저자들은 강박장애 환자의 대뇌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신경심리검사 바테리를 이용하여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였다. 방법 : 강박장애군(12명)과 연령 및 교육을 짝짓기한 정상대조군(17명)에게 신경심리검사 바테리를 시행하였다. 결과 : K-WAIS 검사상 전체지능은 강박장애군 115.2(${\pm}9.9$), 정상대조군 111.8(${\pm}8.4$)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언어성 지능의 경우 강박장애 환자군($118.0{\pm}10.6$)이 정상대조군($110.3{\pm}9.4$)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P=0.049), 동작성 지능은 강박장애군($108.4{\pm}11.7$)이 정상대조군($114.4{\pm}11.2$)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양군간의 소검사 항목점수를 비교하면 tactual performance test의 전체시간에서 강박장애군(15.26분)이 정상대조군(9.56분) 보다 유의하게 길었으며(P=0.028), 양손 수행에서도 강박장애군(0.16)의 수행이 정상대조군(0.38) 보다 유의하게 떨어졌다(P=0.047). 전체적인 Halsted Reitan 손상지수도 강박장애군($3.17{\pm}2.1$)이 정상대조군($1.31{\pm}1.8$)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9). 웨슬러 기억검사의 시각회상에서도 강박장애군($12.3{\pm}1.6$)이 정상대조군($13.4{\pm}0.9$)에 비해 기능이 유의하게 떨어졌다. 결론 : 강박장애 환자는 정상대조군에 비해 공간구조 인지기능의 장애, 과잉된 언어 및 집중력을 보이고 있고, 이는 강박장애 환자의 언어기능과 공간구조 인식기능의 불균형이 강박장애 환자의 정신병리와연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향후 강박장애 환자에서 신경 심리 검사상 보이는 이상소견이 강박장애의 특정적인 소견인가, 치료경과에 따라 선경 심리검사상의 이상소견이 영향을 받는가에 대한 연구가 이어져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두부외상 환자의 신경정신의학적 평가(II) : 뇌의 구조적 영상검사상의 병변 유무에 따른 두부외상 환자군의 비교 - 기능적 및 심리적 검사소견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Neuropsychiatric Evaluation of Head-Injured Patients(II) : A Comparative Study of Brain-injured Patients with and without Abnormal Findings in the Structural Brain Imaging - Mainly in Relation to Functional Brain Studies and Psychological Evaluation)

  • 조성욱;장환일
    • 생물정신의학
    • /
    • 제3권1호
    • /
    • pp.66-74
    • /
    • 1996
  •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head trauma due to rapid industralization and improvement in transportation. This poses difficulties in differentiating between neuropsychiatric disabilities resulting from real organic changes and those arising from compensation issues. I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seek out the differences between normal and abnormal finding group in the structural brain imaging studies via the results of the functional brain imaging studies and psychological tests. Out of 132 subjects, 62 comprised normal and 70 the abnormal finding group. EEG and SPECT were chosen for inspection of functional brain imaging. MMPI and K-WAIS were chosen for psychological test. The subjects were further divided into right hemispheric damage, left hemispheric damage, both hemispheric damage, diffuse damage group and negative group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any differences in the psychological lest results could be locali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abnormal finding group, the EEG and SPECT were proven to be a good predictor of brain lesion. This implies that even in the functional brain studies, abnormalities are more easily detected if there are visible brain lesions. 2) The FSIQ of the abnormal finding group is lower than that of normal finding group. this difference is mainly due to low V1Q. The left hemispheric damage group lend to shaw low V1Q. This lowered in was the difference between left hemispheric damage group and negative group. Furthermore, there were no group differences in the PIQ. It is concluded that K-WAIS is effective as evaluator of VIQ mainly of those patients with left hemispheric damage and it is ineffective as a evaluator of PIQ. 3) In the MMPI profile, the both groups displayed high neurotic profil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sychotic profiles. The scores of the Depression and Hystery were high in abnormal finding group. This can be seen as one of the lypical findings of chronic head trauma patients. 4) The abnormal finding group tend to be diagnosed as organic mental disorder in the psychological tests more frequently.

  • PDF

두부외상 환자의 신경정신의학적 평가(I) : 외상후 기질성정신장애 환자에서 뇌의 구조적 및 기능적 검사소견의 비교 (Neuropsychiatric Evaluation of Head-Injured Patients(I) : Comparison of Structural and Functional Brain Studies in Post-Traumatic Organic Mental Disorder)

  • 이장호;장환일
    • 생물정신의학
    • /
    • 제3권1호
    • /
    • pp.57-65
    • /
    • 1996
  • The Evaluation of patients complaining of psychiatric symptoms following head injury is much affected by the results of various tests. The objeciv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each lest by comparing the structual and fuctional brain studies. The subjects were 93 organic menial disorder in and out patients at the Dept. of Neuropsychiatry of the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After carrying out MRI, CT, SPECT, EEG, the results of each were analysed for the sesitivity and ability to detect focal lesion. The degree of inter-test correlations of lest results were also investigated.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psychological tests were studi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of above mentioned tests and psychological test was examined. As for the test sensitivity to diagnosis, the SPECT was the most superior followed by MRI, CT, EEG in thai order. In the case of abnormality, SPECT ranked 1st in detection of focal lesion, followed by MRI, CT in that order. In the inter-test result correlation, the correlation of SPECT-MRI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mare than moderate abnormality EEG finding was reported, it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at of MRI findings. In the MMPI, the average scores on F, Hs, D, Hy, Pa, Pt, Sc subscales were above 60. Abnormal SPECT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 on the F, Pd, Pa, Sc, Ma scales and therefore in comparison ot the SPECT normal group, displayed more psychotic features. In K-WAIS, the mean full scale IQ was down to 77. 23(Verbal IQ : 78.76, Performance IQ : 77.44) but there was no characterogic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lowered to and abnormal SPECT, MRI, CT and EEG results. In conclusion, 1) The SPECT was mast superior in sensitivity and detection of focal lesions. In comparision with other tests, the results of SPECT correlated well with MRI had thus is thought to be very usefull testing method in the evaluation of organic mental disorder patients. 2) The MRI had relatively high sensitivity, ability to detect focal lesion and superior correlation with other test. 3) Although EEG fared less an sensitivity in comparison to other tests, the results of above moderate abnormal grade group and that of MRI correlated significantly. 4) In the MMPI highly scored in F, Hs, D, Hy, Pa, Pt, Sc subscales and abnormal SPECT patients were shown to display more sever psychotic feature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racter relationship between the lowered IQ(in K-WAIS) and abnormal findings on MRI, CT, SPECT, EEG.

  • PDF

웹기반 농업정보시스템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Success Factors for Web-based Agricultural Information Systems)

  • 유철우;박수민;최영찬;심근섭
    • 농촌계획
    • /
    • 제15권4호
    • /
    • pp.59-74
    • /
    • 2009
  • This study reviews and modifies general IS success models to find success factors of WIS(Web-based Information Systems) an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WIS success and user's satisfaction of web use. A WISSM(Web-based Information Success Model extended to include EQ(E-Quality) is developed to anticipate user's intention to use Web-based Agricultural Information System and fit into the survey data from 252 WIS users of RDA(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LS is applied to estimate a structural model based on EQ-WISSM to test hypotheses including 1) users reach a high level of intention to use Web-based Information Systems when they feel a high level of interactivity among an 'E-Quality', 'Decision Making Support Satisfaction' and 'Task Support Satisfaction', and E-Quality boosts intention to use Web-based Information Systems. The results show high path coefficients and $R^2$ values and find followings; First, the EQ-WISSM explains the user's intention to use WAIS quite well. Second, E-Quality can be used well in web-based IS environment to predict IS Success. Finally, this research finds the importance of 'Task Support Satisfaction' as a mediator between 'Decision Making Support Satisfaction', 'E-Quality' and 'Intention to Use'.

정신분열병과 기분장애 환자의 언어적 기억능력과 기억과정의 특성에 대한 연구 (Verbal Memory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of Memory Process in Schizophrenia and Affective Disorder)

  • 이소연;이분희;이정애;김계현;김용구;박선화
    • 생물정신의학
    • /
    • 제12권2호
    • /
    • pp.207-215
    • /
    • 2005
  • Objectives:This study was to compare verbal memory ability among patients with schizophrenia, bipolar manic patients and unipolar depressive patients, and to understand their charicteristics of memory process. Methods:All subjects were hospitalized patients and had been interviewed by using the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V(SCID). Schizophrenic patients(N=40), bipolar manic patients(N=17), and unipolar depressive patients(N=20) were assessed with K-AVLT for verbal memory and with K-WAIS for verbal IQ. Three groups were compared regarding total immediate recall, delayed recall, delayed recognition, learning curve, memory retention, and retrieval efficiency under controlled verbal IQ.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which clinical factors have an influence on verbal memory ability. Results:In MANCOVA, differences of verbal memory test scores among the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F=1.800, p<.05). In post hoc analysis,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bipolar mania showed poorer performance in immediate recall, delayed recall, delayed recognition, retrieval efficiency than unipolar depres- sive patients. And schizophrenics performed poorly in delayed recall, delayed recognition, retrieval efficiency than nonpsychotic affective disorder group, but no difference in total immediate recall, delayed recall, delayed recognition, retrieval efficiency between the schizophrenic group and the psychotic affective group. Conclusions:These results partially confirm previous reports of verbal memory ability among major psychiatric disorders. Our results showed that psychotic symptoms were related with verbal memory, and longer duration of illness was related with poorer performance in schizophrenia and unipolar depress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