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atile organic acid

검색결과 447건 처리시간 0.029초

감태, 큰잎모자반 및 외톨개모자반의 유리당 및 비휘발성 유기산의 조성과 그 계절적인 변화 (Compositions and Seasonal Variations of Free Sugars and Non-volatile Organic Acids in Brown Algae, Ecklonia cava, Sargassum ringgoldianum and Myagropsis myagroides)

  • 김규동;강진훈;윤호동;변한석;김동수;김선봉;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27-233
    • /
    • 1986
  • 해조류의 식량자원으로서의 고도이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감태, 큰잎모자반 및 외톨개모자반을 시료로 하여 유리당 및 비휘발성유기산의 조성과 그 계절적인 변화를 GLC를 이용하여 분석검토하였다. 감태, 큰잎모자반 및 외톨개모자반의 유리당조성은 3시료 모두 floridoside, galactose, glucose 및 xylose의 4종류가 동정되었으며 그 중 floridoside가 가장 많아 각각 유리당총양의 $53.4\%,\;52.8\%$$58.8\%$를 차지하였고 xylose가 가장 작아 각각 $8.3\%,\;7.5\%$$6.8\%$를 차지하였다. 계절적인 변화에 있어서는 3시료 모두 계절에 따른 뚜렷한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유리당총양은 감태, 큰잎모자반, 외톨개모자반의 순으로 많았다. 한편, 이들 시료의 유기산조성을 살펴 보면, 감태의 경우에서는 9종류의 유기산이 동정되었는데 양적으로 주요한 유기산은 lactic, oxalic, fumaric, succinic, malic 및 citric acid 등의 6종류이었으며 그중 succinic acid가 가장 많아 전체유기산의 $30.6\%$를 차지하였다. 큰잎모자반과 외톨개모자반에 있어서는 8종류의 유기산이 동정되었으며 그조성이 동일하였다. 양적으로 주요한 유기산은 양시료 모두 succinic, malic 및 citric acid로 그중 succin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아 각각 전체유기산의 $30.9\%$$31.2\%$이었다. 계절적인 변화는 3 시료 모두 뚜렷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유기산총양에 있어서는 감태가 191.6mg/100g으로 가장 많았으며 큰잎모자반은 103.5mg/100g이었고 외톨개모자반은 가장 적어 76.2mg/100g을 나타내었다.

  • PDF

휘발성 유기 화합물 가스 측정을 위한 전도성 고분자 센서의 제조(製造) 및 감응(感應) 특성(特性) (The fabrication and sensing characteristics of conducting polymer sensors for Measurement of 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 gas)

  • 백지흠;황하룡;노진규;허증수;이덕동;임정옥;변형기
    • 센서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5-133
    • /
    • 2001
  • 전도성 고분자 센서 (Conducting polymer sensors)는 상온에서 휘발성 유기 화합물 가스 (Volitile organic compounds gases)에 대해 감도를 가지고 있다. 화학 중합으로 제조된 전도성고분자인 polypyrrole과 polyaniline로 이루어진 8개의 센서 어레이를 이용하여 VOCs 가스에 대한 감응 특성을 살펴보았다. 화학 중합으로 합성된 각 센서들은 증류된 pyrrole, aniline과 dopant로 dodecylbenzene sulfonic acid (DBSA)와 산화제로 ammonium persulfate (APS) 그리고 증류수를 이용하여 제조되었으며, 각 센서들의 특성 부여를 위해 redoping과 dedoping은 전기화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Dedoping 법은 전압을 반대로 걸어주어 처음 첨가된 dopant를 전해질 속으로 빼냈으며, redoping법은 1-octanesulfonic acid sodium salt를 화합중합으로 형성된 막에 다시 첨가 시켰다. 감도와 가역성은 doping, dedoping, redoping 그리고 두께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들 전도성 고분자의 구조와 감도와의 관계를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scanning probe microscope (SPM) 그리고 $\alpha$-step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 PDF

속성 정어리간장 엑스분의 가공조건 및 정미함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ocessing Conditions and the Taste Compounds of the Sardine Sauce Extracts)

  • 이응호;지승길;안창범;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7-66
    • /
    • 1988
  • 일시다획성적색육어류의 효율적인 식량화에 대한 일련의 연구로서 속성 정어리간장 엑스분의 가공조건을 구명하고 저장중의 변화 및 정미성분에 대해 검토하였다. 속성 정어리간장 엑스분은 정어리육을 통째로 마쇄한 다음 마쇄육에 대해 양파가루 $1\%$, 마늘가루 $1\%$, 고추가루 $1\%$, 코오지 $10\%$ 및 물 $50\%$를 첨가하여 잘 혼합한 후 $55^{\circ}C$-에서 6시간동안 자가소화 및 코오지첨가에 의해 가수분해하여 분리대두단백질 $5\%$를 첨가하여 쓴맛을 교정하고 여과, 농축한 다음 식염을 첨가해서 제조하였다 제품의 수분함량은 $52\~55\%$, 조단백질은 $21\~23\%$, 회분은 $16\~17\%$였으며 염도는 $15\~16\%$, pH는 $5.83\~6.05$이었다. 저장 중 색조, pH,아미노질소 및 평균수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제조직후 제품의 유리아미노산함량은 $2473.8\~2868.4mg/100g$의 범위였고 저장중 큰 변화는 없었으며 arginine, histidine, lysine, glutamic acid, phenylalanine, leucine 및 alanine 등이 전유리아미노산의 $65\%$ 이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핵산관련물질 역시 저장중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hypoxanthine과 IMP가 많은 양을 차지하였다. betaine, 총 creatinine 및 TMAO도 저장중 큰 변화가 없었다. 관능검사 결과 코오지와 분리대두단백질을 첨가한 제품(B)는 천연조미료 및 수우프의 재료로서 손색이 없는 제품이었다.

  • PDF

셀룰로오스질 유기고형폐물의 열분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yrolysis of Cellulosic Organic Solid Wastes)

  • 박내정
    • 대한화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93-303
    • /
    • 1977
  • 셀룰로오스질 유기고형폐물로서 목피 및 톱밥과 순수한 셀룰로오스로서 여지를 $300^{\circ}C$ 질소기류하 또는 질소와 공기의 혼합기류하에서 열분해하고 생성물은 공기냉각, 수냉각, 드라이아이스-아세톤 냉각에 의해서 응축되는 성분과 비응축성 가스 및 탄화찌끼의 양을 조사하였다. 또 이중 드라이아이스-아세톤 냉각에 이해서 포집된 휘발성 액체 성분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분리하고 이들 성분의 머무는 시간과 시린지반응에 의해 동정하였다. 질소기류하에서 열분해할 경우에는 타아르성분이 13.4 ∼ 29.6${\%}$, 수용성액체가 0.01 ∼ 0.12${\%}$, 휘발성액체가 0.24 ∼ 1.43${\%}$, 비응축성가스가 9.84 ∼ 42.4${\%}$, 탄화찌끼가 44.0 ∼ 65.81${\%}$이었고 혼합기류하에서 열분해할 경우에는 다른 성분이나 응축성 액체의 양이 감소되고 비응축성가스가 증가되었다. 질소기류하에서 포집된 휘발성액체는 Porapak Q 칼럼에 의해서 분해물질에 상관없이 19가지의 똑같은 성분으로 분리되었고 다만 각 성분의 상대적 양만이 차이를 나타내었다. 혼합기류하에서 열분해할 경우에는 6개성분만이 생성되었고 주로 methanol, formaldehyde 등의 분자량이 적은 물질만이 생성되었다. 분리된 19성분을 머무는 시간과 시린지 반응에 의해 동정해 본 결과 methanol, formaldehyde, acetone, acetaldehyde, acetic acid와 3개의 hydroxyl기를 가진 것으로 추측되는 성분이 동정되었다.

  • PDF

휘발성 질소화합물 감응형 색변환 센서를 활용한 연어 신선도 모니터링 (Freshness Monitoring of Raw Salmon Filet Using a Colorimetric Sensor that is Sensitive to Volatile Nitrogen Compounds)

  • 김재만;이현지;현정호;박준식;김용신
    • 센서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93-99
    • /
    • 2020
  • A colorimetric paper sensor was used to detect volatile nitrogen-containing compounds emitted from spoiled salmon filets to determine their freshness. The sensing mechanism was based on acid-base reactions between acidic pH-indicating dyes and basic volatile ammonia and amines. A sensing layer was simply fabricated by drop-casting a dye solution of bromocresol green (BCG) on a polyvinylidene fluoride substrate, and its color-change response was enhanced by optimizing the amounts of additive chemicals, such as polyethylene glycol, p-toluene sulfonic acid, and graphene oxide in the dye solution. To avoid the adverse effects of water vapor, both faces of the sensing layer were enclosed by using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and a gas-permeable microporous polytetrafluoroethylene sheet, respectively. When exposed to basic gas analytes, the paper-like sensor distinctly exhibited a color change from initially yellow, then to green, and finally to blue due to the deprotonation of BCG via the Brønsted acid-base reaction. The use of ammonia analyte as a test gas confirmed that the sensing performance of the optimized sensor was reversible and excellent (detection time of < 15 min, sensitive naked-eye detection at 0.25 ppm, good selectivity to common volatile organic gases, and good stability against thermal stress). Finally, the coloration intensity of the sensor was quantified as a function of the storage time of the salmon filet at 28℃ to evaluate its usefulness in monitoring of the food freshness with the measurement of the total viable count (TVC) of microorganisms in the food. The TVC value increased from 3.2 × 105 to 3.1 × 109 cfu/g in 28 h and then became stable, whereas the sensor response abruptly changed in the first 8 h and slightly increased thereafter.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colorimetric response could be used as an indicator for evaluating the degree of decay of salmon induced by microorganisms.

INFLUENCE OF AMINO ACID SUPPLEMENTS TO A STRAW-MAIZE-BASED UREA DIET ON DUODENAL DIGESTA FLOW AND DIGESTION IN SHEEP

  • Fujimaki, T.;Kobayashi, Y.;Wakita, M.;Hoshino,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7권1호
    • /
    • pp.137-145
    • /
    • 1994
  • Amino acid (AA) substituted diets had no influence on rumen levels of total volatile fatty acids (VFA), ammonia and ${\alpha}$-amino-N, but tended to increase molar proportions of isovalerate and counts of total viable AA utilizing and celluloytic bacteria in the rumen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urea diet. The AA diets did not affect daily flow to the duodenum of dry matter (DM), organic mater (OM) and acid detergent fibre (ADF), and rumen digestibility of these nutrients. However, the AA diets, in particular the 10 essential AA (EAA) diet improved total digestibility of DM, OM and ADF by decreasing faecal output of these fractions. Although N flow to the duodenum and N retention were not affected with the dietary treatments, duodenal bacterial flow appeared to increase by the AA diets when it was estimated by means of 2,6-diaminopimelic acid (DAP) and nucleic acid-purine bases (PB) as markers. The results suggest that AA supplements to a urea diet could improve feed utilization by stimulating microbial activity and proliferation in the rumen but and increased microbial activity per se is not necessarily associated with improvement of feed conversion.

UASB 반응조에서 상향유속에 따른 높이별 반응생성물의 거동특성 (Upflow Velocity Effects on Behavior of Reaction Products in USAB Reactor)

  • 이헌모;윤종호;정용현
    • 환경위생공학
    • /
    • 제13권2호
    • /
    • pp.14-25
    • /
    • 1998
  • T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reaction products with the reactor heights by the change of upflow velocity, a typical real height USAB reactor was built and experiment was conducted. The flow in the reactor by the upflow velocity was flug flow at low upflow velocity but the flow was completely mixed flow at high upflow velocity. Therefore, the concentration of pH, alkalinity and volatile acid was not so different with reactor heights at high upflow velocity. And comparing with low upflow velocity, the distribution of microorganisms with reactor heights did not show big different at high upflow velocity. The removal efficiency of organic compounds depended on the distribution of microorganisms and it was low at high upflow velocity. It is concluded that the operation of reactor with proper upflow velocity to improve contact with organic compounds and microorganisms is recommended.

  • PDF

Observation of Secondary Organic Aerosol and New Particle Formation at a Remote Site in Baengnyeong Island, Korea

  • Choi, Jinsoo;Choi, Yongjoo;Ahn, Junyoung;Park, Jinsoo;Oh, Jun;Lee, Gangwoong;Park, Taehyun;Park, Gyutae;Owen, Jeffrey S.;Lee, Taehyoung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11권4호
    • /
    • pp.300-312
    • /
    • 2017
  •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secondary organic aerosol (SOA) formation from the photo-oxidation of anthropogenic and biogenic precursors at the regional background station on Baengnyeong Island, Korea, gas phase and aerosol chemistries were investigated using the Proton Transfer Reaction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er (PTR-ToF-MS) and the Aerodyne High Resolution Time of Flight Aerosol Mass Spectrometer (HR-ToF-AMS), respectively. HR-ToF-AMS measured fine particles ($PM_1$; diameter of particle matter less than $1{\mu}m$) at a 6-minute time resolution from February to November 2012, while PTR-ToF-MS was deployed during an intensive period from September 21 to 29, 2012. The one-minute time-resolution and high mass resolution (up to $4000m{\Delta}m^{-1}$) data from the PTR-ToF-MS provided the basis for calculations of the concentrations of anthropogenic and biogenic volatile organic compounds (BVOCs) including oxygenated VOCs (OVOCs). The dominant BVOCs from the site are isoprene (0.23 ppb), dimethyl sulphide (DMS, 0.20 ppb), and monoterpenes (0.38 ppb). Toluene (0.45 ppb) and benzene (0.32 ppb)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anthropogenic VOCs (AVOCs). OVOCs including acetone (3.98 ppb), acetaldehyde (2.67 ppb), acetic acid (1.68 ppb), and formic acid (2.24 ppb) were measured. The OVOCs comprise approximately 75% of total measured VOCs, suggesting the occurrence of strong oxidation processes and/or long-range transported at the site. A strong photochemical aging and oxidation of the atmospheric pollutants were also observed in aerosol measured by HR-ToF-AMS, whereby a high $f_{44}:f_{43}$ value is shown for organic aerosols (OAs); however, relatively low $f_{44}:f_{43}$ values were observed when high concentrations of BVOCs and AVOCs were available, providing evidence of the formation of SOA from VOC precursors at the site.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several different SOA formation mechanisms, and new particle formation and particle growth events were identified using the powerful tools scanning mobility particle sizer (SMPS), PTR-ToF-MS, and HR-ToF-AMS.

어류 폐기물의 혐기성소화 처리(I): 반응조 형상 및 슬러지층 유동화가 소화조 Start-up에 미치는 영향 (Anaerobic Digestion Fish Offal(I): Effect of Reactor Configuration and Sludge Bed Fluidization on Start-up of Digester)

  • 정병곤;김병효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72-78
    • /
    • 2006
  • 혐기성 소화조의 단면적/용량 비를 일정하게 한 상태에서 반응조 직경만을 달리한 반응조에 유기물 부하율에 따른 소화조 운전효율을 평가하였다. $0.4\;kg\;COD/m^3{\cdot}d$의 낮은 유기물 부하율에서는 반응조 직경에 관계없이 높은 처리 효율을 나타내어 반응조 형상에 따른 처리효율 차이는 없었다. $6\;kg\;COD/m^3{\cdot}d$의 유기물 부하율에서는 반응조 직경에 따라 전혀 다른 처리효율이 관측되었다. 즉, 직경 6.4 cm 반응조에서는 휘발성산의 축적과 낮은 COD 제거효율이 관측되었으나 직경 3 cm 반응조에서는 높은 COD 제거효율이 관측되었고 휘발성산의 축적도 일어나지 않았다.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게 된 이유는 직경이 작은 반응조의 경우에는 생성된 가스의 부상에 의해 슬러지층의 유동화가 원활하게 일어난데 반해 직경이 큰 반응조의 경우에는 그렇지 못한 것이라고 판단된다. $20\;kg\;COD/m^3{\cdot}d$의 높은 유기물 부하율에서는 반응조 직경과는 관계없이 극히 낮은 처리효율을 나타내어 높은 유기물 부하에서는 반응조 형상과 처리효율과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혐기성 소화조의 효율적인 start-up은 슬러지층의 유동화가 중요한 인자이며 동일 단면적/용량 비에서 반응조 직경이 작을수록 유리한 것으로 나타나 반응조 형상도 반응조 운전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BDMS 유도체로서 수용액 시료중의 유기산 미량분석 연구 (Trace Analysis as TBDMS Derivatives of Organic Acids in Aqueous Samples)

  • 김경례;김정한;박형국
    • 대한화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52-359
    • /
    • 1990
  • 생화학적으로 주요한 유기산들을 신속히 분석 확인할 수 있는 효율적인 가스크로마토그래피 분석법을 개발하였다. 본 방법에서는 고형흡착제로서 Chromosorb P와 용출용매로서 diethyl ether를 사용하여 수용성 시료로부터 유기산을 고체상 추출한 후 triethylamine으로 처리하였다. 생성된 유기산들의 triethylammonium염을 직접 tert-butyldimethylsiyl 유도체로 전환시킨 후 극성이 다른 DB-5와 DB-1701 두 capillary column 분석 후 측정된 각 유기산들의 retention index (RI)와 area ratio (AR)값을 가지고 컴퓨터 RI library조사와 AR 비교를 하였을 때 신속히 유기산을 동정할 수 있었다. 본 방법은 다양한 복합 시료들의 유기산 분석을 하는데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