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atile Aroma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22초

향끽미종 잎담배 성분조성에 관한 연구 II. 헤드스페이스 휘발성 유기성분의 특성 조사 (Composition Studies on the Aromatic Tobacco Varieties (Nicotiana tabacum L. ) : II. Characteristics of Headspace Vapors)

  • 김경례;이운철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0
    • /
    • 1981
  • 5가지 향끽미종 잎담배의 헤드스페이스 휘발성 성분들을 중합체 흡착방법 및 고성능 유리 캐피러리 가스 크로마토그라피로 분석하였다. 얻어진 가스 크로마토그라피의 프로파일을 비교한 결과 각 담배 시료는 독특한 방향성분의 조성을 보여주며 주요성분의 정량적인 차이가 현저함이 확인되었다.

  • PDF

Headspace Hanging Drop Liquid Phase Microextraction and GC-MS for the Determination of Linalool from Evening Primrose Flowers

  • Kim, Nam-Sun;Jung, Mi-Jin;Yoo, Zoo-Won;Lee, Sun-Neo;Lee, Dong-S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6권12호
    • /
    • pp.1996-2000
    • /
    • 2005
  • Headspace hanging drop liquid phase micro-extraction (HS-HD-LPME) is studied as a novel solvent-based sample pretreatment method for floral volatile aroma compounds. This paper reports on application of the HSHD- LPME combined with GC-MS for the analysis of linalool component emitted from evening primrose flowers. The effect of several variables on the method performance was investigated. Additionally, the separation of enantiomers on a cyclodextrin capillary column was performed to identify chirality of (−)-linalool component. Since the unsurpassed volume of a few micro-liters of solvent is used, there is minimal waste or exposure to toxic organic solvents. This method enables to combine extraction, enrichment, clean-up, and sample introduction into a single step prior to the chromatographic process.

버어리엽의 열처리 과정에서 Polyhydroxyalkylpyrazine류 생성에 대한 당류 첨가의 영향 (Effect of Added Sugars on the Generation of Polyhydroxyalkylpyrazines during Toasting of Burley Tobacco Leaves)

  • 김도연;이문용;이경순;김영회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45-150
    • /
    • 1997
  • Nonvolatile polyhydroxyalkylpyrazines(PHAPs) are known to degrade volatile pyrazine compounds having positive aroma and sensory attributes during cigarette smoking. In this paper, the content of PHAPs in burley tobacco leaves toasted to different levels as temperature and time study were determin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was also investigated effects of added sugars, sucrose, glucose or fructose, on the generation of PHAPs during toasting. The addition of glucose or fructose as casing sauce in burley tobacco leaves resulted in significant increases, especially 2,6-deoxyfructosaBine from glucose added leaves and 2,5-deoxyfructosazint from fructose added leaves, in generation of PHAPs during toasting, while control and sucrose added leaves did not observed in generation of PHAPS. Formation rates of PHAPs in glucose or fructose added tobacco leaves, but not sucrose, showed a strong dependence on both toasting temperature and time.

  • PDF

잎담배중 유리 및 Glycoside형태로 존재하는 휘발성 향기성분 (Free and Glycosidically Bound Volatile Components in Tobacco Leaves(Nicotiana tabacum L.))

  • 김영회;나도영;김옥찬;서철원;김용태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79-86
    • /
    • 1992
  • Free and glycosidically bound volatiles from three green tobacco leaves(NC 82, KF 109 and Br-21) were separated by nonionic resin Amberlite XAD-2 adsorption column chromatography and election by selective solvents. Aglycones from the glycosidically bound fractions were released by enzymatic hydrolysis with almond B-glucosidase. A total of 20 components identified from free and glycosidically bound fractions, the major components were benzaldehyde, benzyl alcohol, 2-phenylethyl alcohol, 3-oxo- -ionol, 3-hydroxy-B-ionone, 3-oxo-7, 8-dihydro-n-ionol and scopoletin. Six Cl.B norisoprenoids identified in this study, which have been described to possess a characteristic tobacco aroma-enhancing effect, were not presented in free forms but rather bound glycosidic forms.

  • PDF

Burley 잎담배 Toast조건의 최적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boasting condition In Burley tobacco)

  • 김기환;이태호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3-102
    • /
    • 1989
  • The optimal condition was investigated to make for good quality of Burley tobacco during the toasting. A complete factorial design (3$\times$3) and rotatable central composite design were us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it would be possible that 1) methyl-pyrazine other than pyrazine compounds is assum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improvement of smoke taste. 2) filling value of Burley 21 leaf can be increased by 5~10 % 3) fragility index can be increased by about 5%. 4) total volatile base can also be reduced by about 10% and 5) the aroma and favorable taste of the Burley tobacco can be Improved by toe optimization the amount of sugar added and the toasting time and temperature.

  • PDF

Gardenia Absolute Oil을 구성하고 있는 휘발성 성분의 분석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in the Gardenia Absoulute Oil)

  • 하창규;양해주;윤석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1-56
    • /
    • 1993
  • GC와 GC-MSD와 관능시험을 이용하여 Gardinia Jasmoniodes Ellis로 부터 제조한 Gardinia Absolute Oil의 특징적인 방향성분을 확인하였다. GC 분석 방법은 극성 비극성의 column인 Carbowax 20M과 SPB-1을 동시에 장착한 Double Column System을 이용하였으며 GC Workstation에 의한 자동적인 Retention Indexs Match System을 적용하여 분석된 data를 확인하였다. 시험적 판단 성분 9개를 포함하여 전부 51개의 성분을 확인하였다. 주요성분으로 Linalool, 여러 형태의 Farnesene, Jasmin lactone, Gamma undecalactone 그리고 Cis-3-hexene 유도체들이 있다.

  • PDF

전자코를 이용한 쇠고기의 신선도 변화에 따른 냄새 분석 (Odor Analysis for Beef Freshness Estimation with Electronic Nose)

  • 김기영;이강진;최규홍;최동수;손재룡;강석원;장영창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9권4호
    • /
    • pp.317-322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identifying freshness of beef using a surface acoustic wave (SAW) sensor based electronic nose. The beef was stored at 5$^{\circ}C$ and aroma was measured with the passage of time. Chromatographic analysis of the odor showed that number of volatile components and their amounts were rapidly increased after 19 days of storage. Classifying beefs according to their storage days was possible using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 Classifying beefs processed from four different origins was also possible with PCA analysis of odor. This study shows that electronic nose can be applied to beef freshness evaluation and classification of its origin.

분말가쓰오부시의 제조 및 풍미성분에 관한 연구 3. 분말가쓰오부시의 향기성분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Powdered Katsuobushi and Its Flavor Constituents 3.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Powdered Katsuobushi)

  • 오광수;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69-176
    • /
    • 1989
  • 분말가쓰오부시의 향기성분을 상압수증기증류법으로 추출한 후 중성구분, phenol성구분, 산성구분 및 염기섬구분으로 분획하여 fused silica capillary column을 장치한 고분해능 GC 및 GC-MS에 의해서 분리, 동정하였다. 전휘발성 성분의 함량은 약 300 ppm으로서 중성구분 $48\%$, phenol 성구분 $35\%$, 산성구분 $12\%$, 염기성구분 $5\%$로 이루어져 있었고, 관능검사결과 중성구분 및 phenol 성구분의 기여도가 컸다. 분말가쓰오부시 향기성분으로 총 68성분이 동정확인되었으며, 이 중 30성분이 중성구분으로 동정되었고 hydrocarbon류 8성분, aldehyde류 8성분, furan류 6성분, alcohol류 5성분 및 ketone류 3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phenol성구분은 phenol, guaiacol, dimethon phenol, eugenol 등 16성분, 산성구분은 propionic, butanoit isopentanoic, n-hexanoic, heptanoic, octanoic acid 등 12성분이 동정되 었고, 염기성구분으로는 pyrazine류 7성분, 2-methylpyridine, 2,4-dimethylthiazole 등 10성분이 동정확인되었다. 한편 분말가쓰오부시의 저급휘발성 carbonyl성분을 2,4-DNPH유도체로 만들어 GC로써 분석한 결과 ethanal, propanal, 2-methylpropanal, butanal, pentanal, 2-methylpentanal 등 8성분이 분리 동정되었다.

  • PDF

저장조건에 따른 당귀의 정유성분 변화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Angelica gigas Nakai by the Storage Conditions)

  • 최성희;김혜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13-518
    • /
    • 2000
  • 당귀의 정유물을 Nickerson 동시 중류 추출법으로 추출하여, 저장온도와 기간에 따른 정유량의 변화를 비교하였고, 저장 60일째의 각 시료의 휘발성 성분을 GC 및 GC-MS법으로 분석, 동정하였다. 당귀의 정유함량을 비교한 결과 저장 10일째는 저온저장$(1{\sim}5^{\circ}C)$과 상온저장한 당귀는 저장직전에 분석한 당귀의 정유량과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20일 이후에는 저온저장한 당귀 시료의 정유량이 상온저장한 당귀의 정유량보다 함량이 많았다. 상온저장한 시료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정유량의 중가가 완만하다가 60일에는 정유량이 증가하였다. 저온 저장한 시료는 저장기간 20일째는 정유량의 현저한 중가추세를 보였으나 60일까지는 유지 혹은 완만한 중가추세를 보였다. 당귀의 휘발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 당귀의 주요 향기성분으로 극성 컬럼에서는 ${\beta}-elemene$ 등의 terpene hydrocarbon류, eudesmol 등의 terpene alcohol류, (-)-trans-myrtanyl acetate ester 등이 둥정되었다. 비극성 컬럼에서는 camphene 등의 terpene hydrocarbon류, ${\alpha}-eudesmol$ 둥의 terpene alcohol류, butylidene phthalide 등이 동정되었다. 특히 eudesmol류는 상온저장에서 전체 정유량의 45%, 저온저장에서 48%를 차지했다. 당귀의 휘발성 성분으로 극성과 비극성 컬럼에서 함량이 많은 eudesmol과 terpene alcohol류 등은 독특하고 상쾌한 당귀의 향에 기여하리라고 생각된다. 저장 방법 면에서 상온저장한 시료와 저온 저장한 시료를 비교해보면 당귀의 대부분의 향기성분의 함량은 저온저장한 시료에서 많았다. 그리고 eudesmol은 전체적으로 상온저장 시료와 저온저장 시료 양쪽에서 많았으나 저온저장한 시료 쪽의 함량이 더 많았다.

  • PDF

신선초의 식용부위별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Various Edible Portions of Angelica keiskei Koidz)

  • 박은령;이해정;이명렬;김경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41-647
    • /
    • 1997
  • 신선초의 전초, 줄기, 잎에서 제조된 생즙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n-pentane과 diethylether혼합용액(1:1, v/v)을 추출용매로 하여 연속수증기증류추출(SDE)방법으로 추출하였다. 이들 성분을 GC의 Rl 및 GC/MS에 의해 확인 동정하였다. 신선초의 전초, 줄기, 잎의 생즙에서 각각 52종, 38종, 43종의 화합물이 분리 동정 되었다. 전초에서 분리 동정된 성분들은 탄화수소류가 25종으로 다수를 차지하였으며, 알코올류가 15종, 알데히드류가 3종, 에스테르류가 6종, 케톤류가 2종 그리고 산류가 1종 동정되었다. 신선초의 줄기에서도 전초에서 분리 동정되었던 성분들과 같은 화합물이 확인되었는데 탄화수소류가 20종, 알코올류가 14종, 에스테르류가 4종, 산류가 1종 확인되어 총 38종이 동정된 반면에 전초와 잎과는 달리 알데히드류와 케톤류는 동정되지 않았다. 신선초의 잎에서는 탄화수소류가 19종, 알코올류가 11종, 알데히드류가 4종, 에스테르류가 6종, 케톤류가 2종 그리고 산류가 1종이 확인되어 총 44종이 동정되었다. 신선초의 전초, 줄기 그리고 잎에서 ${\gamma}-Terpinene$과 germacrene B이 가장 많은 함량을 차지하였으며, ${\delta}-3-carene$, cis-3-hexen-1-ol 그리고 ${\gamma}-elemene$도 다량 확인되어 이러한 화합물이 신선초에서 추출한 정유의 주요성분으로 확인되었다. 신선초의 각 부위에서 분리 동정된 정유성분을 정량한 결과, 잎에 171.42 mg/kg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전초에 124.85 mg/kg, 줄기에 55.25 mg/kg가 함유되어 있었다. 신선초의 전초에서 분리 동정된 52종의 화합물에는 monoterpene hydrocarbon, sesquiterpene hydrocarbon과 이들의 유도체들인 terpenoid계 화합물이 40종 확인되었는데, 신선초 정유성분 중 terpenoid계 화합물이 전초, 줄기 그리고 잎에 각각 75.76%, 86.42%, 78.21%의 비율로 포함되어 이들이 신선초 생즙에서 추출한 정유성분의 주체로 간주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