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cational Curriculum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23초

기업의 직무체계에 기초한 실업자 직업훈련과정 표준모형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 Model for Vocational Training Courses for the Unemployed Based on Entrepreneurial Skill System)

  • 주인중;박종성;김상진
    • 공학교육연구
    • /
    • 제10권3호
    • /
    • pp.38-63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직무체계에 기초한 실업자 직업훈련과정 표준모형 개발 연구에 있다. 훈련과정 표준모형 개발은 우선 직무체계 정립을 통하여 직무관련 개념정의와 직무체계를 검토하였으며, 직무능력체제 및 훈련과정 모형 개발 방향 및 방법을 수립하여, 직무능력체제를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직무영역, 핵심능력 및 수행내용, 능력단위 및 수준, 단위요소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직무능력체제에 따른 훈련과정 구성 및 구조 설계 정립이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 훈련과정 개발모형, 훈련과정 구조설계, 훈련과정별 훈련교과 모형이 도출된 훈련과정 모형이 개발되었다.

CIPP 모형 기반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연수(양성과정) 진단 및 개선 방안 연구 (Diagnosis and Improvements Plan Study of CIPP Model-based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Teacher Qualification Training (Training Course))

  • 배광민;우혜정;최명란;윤관식
    • 직업교육연구
    • /
    • 제36권2호
    • /
    • pp.95-121
    • /
    • 2017
  •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는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양성을 위한 훈련과정을 수료하는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을 갖추어 고용노동부 장관으로부터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증을 발급받아야 한다. 이에 국내 유일의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연수를 담당하고, 노동시장에 양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H대학교의 교육성과는 직업능력개발훈련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CIPP모형에 기초하여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연수 교육운영의 실태분석을 통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나아가 자격연수 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양성교육 이수자를 대상으로 교직훈련과정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173부의 결과를 활용하였으며, 설문결과에 대한 세부현황 파악과 심층 분석을 위해 8인의 교육 대상자를 선정하여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상황요인에서 교육과정의 목표, 교육자원 등에서 긍정적인 답변이 도출되었다. 반면 학습자와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에 대한 부정적 의견이 있었다. 투입요인에서는 교육목표와 훈련요구 항목에서 긍정의견이 도출되었으나 학습자들의 교육목표 성취여부는 부정적 의견이 많았다. 또한 온라인콘텐츠 교육의 부정적 의견이 많았다. 과정요인에서는 수업관련 부분, 학습자 출결관리, 기관지원 등에서 긍정평가가 높았으나, 자격연수 종합평가에 대해 부정의견이 도출되었으며 학습기간 부족에 따른 학습자 부담이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산출요인에서는 교육과정의 현업적용가능성에서 산업직종별 교육훈련을 담당하는 훈련교사들에게 교육학 및 직업훈련 운영과 관련된 학습이 편성된 자격연수에 긍정적인 의견이 도출되었다. 그러나 학습 성취도에서 교육수준 대비 학습시간과 학습 집중도문제,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등 부정적 의견도 있었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연수 교육운영의 개선 방안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연수 평일과정 연수일정의 탄력적 운영이 요구된다. 둘째, 수요자 중심의 온라인 교육과정 개선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방거주 교육이수자들의 자격연수 접근성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넷째, 자격연수 합격자들에 대한 사전 교육지원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자격연수 수료자에 대한 사후 관리가 필요하다.

특성화고등학교 간호과 교사의 역량 분석 (Analysis of Competency of Nursing Teacher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 윤인경;장명희;곽미선;박지영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3호
    • /
    • pp.85-111
    • /
    • 2018
  • 이 연구는 특성화고 간호과 교사의 역량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성화고 간호과 교사에게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 태도를 도출하여 역량군과 하위역량을 검증하고,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특성화고 간호과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23명을 전문가 패널로 선정하여 델파이와 계층화분석(AHP) 기법을 적용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특성화고 간호과 교사의 역량군과 하위역량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간호과 교사의 역량군은 교수 학습 지도, 학생지도,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학교 경영 지원, 산학 및 대외협력, 자기계발 및 전문성 향상으로 총 6개로 나타났다. 둘째, 하위역량은 담당교과 관련 전공 지식 및 기술, 수업계획 및 준비, 수업 운영, 실험 실습 지도, 수업평가, 교수 학습매체 개발 및 활용, 수업환경 조성, 교과 외 학생 교육활동 지도, 진로 지도, 생활 지도, 학급 경영, 기술 및 자격취득 지도, 학교 교육과정 개발 지원,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 현장실습 계획 및 운영, 업무기획, 학교경영업무 지원, 교사 평가 및 인사관리 지원, 학습지원(실습실 및 기자재) 관리, 산학협력 구축 및 운영, 지역사회 협력 강화, 학교(학과) 홍보, 교육활동 개선을 위한 현장연구, 학회 및 연수 참여, 최신 지식과 기술의 탐구와 정보활용, 동료 교사 장학으로 총 26개로 도출되었다. 상대적 중요도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되는 역량군은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이었으며, 역량군별로 우선순위가 높게 나온 하위역량은 실험 실습 지도, 기술 및 자격취득 지도, 현장실습 계획 및 운영, 학습지원(실습실 및 기자재), 관리와 업무 기획, 산학협력 구축 및 운영, 최신 지식과 기술의 탐구와 정보 활용이었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역량 체계는 향후 특성화고 간호과 교사의 양성교육 및 연수 그리고 교원 평가에 적용하고, 관련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NCS 직업기초능력(정보능력) 학습모듈 개발 - 영상방송과(공학계열) 중심 (NCS Learning Module Development for Vocational Core Competency (Information Ability) - Centered on Department of Video & Broadcasting(Affiliation of Engineering))

  • 안인수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64권4호
    • /
    • pp.327-332
    • /
    • 2015
  • NCS are the contents such as knowledge, technology, and culture demanded for performing the duties in the industrial field systemized by a nation classified with industrial divisions and levels. It is an ability standardized in the national level necessary for performing duties of industrial field successfully. Now, the society structure, due to abrupt change and development, has to secure core ability demanded to human resources in common, irrespective of kinds and positions, and lays an emphasis on vocational basis ability to softly cope with the accelerating change of labor market. This dissertation, on the basis of NCS-base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focuses on information ability, computer use ability(information management ability), one of vocational core competency used for the duties related at the department of video & broadcasting to develop learning module. In addition, this dissertation researches learning results such as satisfaction and accomplishment over learning on the object of the students who took the education.

조리교육과정에 요구되는 직업기초능력과 역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and Capabilities required for Culinary Arts Curriculum)

  • 김태현;김태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7-59
    • /
    • 2018
  • Vocational education has been constantly blamed for training skills that are not suitable for the field. This study was sought for finding out the necessary skills for the hotel entry-level cooks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questionnaires, and case studies in terms of NCS's basic competencies and competencies required at work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field, job performance ability is more important than skills and knowledge. Second, among the NCS's basic competencies, communication skills, interpersonal skills, self-development skills, information skills, and professional ethics are prioritized competencies for hotel-entry level cooks. Third, in terms of competency factors at work, it is necessary to learn the adaptability of the field. Fourth, in case of overseas culinary institutes, the core of their culinary education was the system to learn how to operate the site rather than the education about cooking skills or knowledge. Fifth, in holistic approach, the result showed that four elements which are skills, knowledge, field practice, and simulation training are required for Culinary Arts curriculum.

실업계 고교와 전문대학간 컴퓨터 교과 관련 연계교육의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교원들의 인식 연구 (A Study on Teachers' Recognition of the Current Status between the Computer Curriculum of Vocational High Schools and Junior Colleges and Its Improvement)

  • 윤여훈;김창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9-17
    • /
    • 2002
  • 컴퓨터 산업과 IT산업의 눈부신 발전으로 컴퓨터 관련 교육은 숙련된 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교육의 체제와 방법의 변화가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다. 직업교육 훈련 촉진법 및 고등교육법 시행령의 법적 지원과 '신교육 체제의 수립을 위한 교육 개혁 방안(II)' 발표로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간 교과 과정을 상호 연계하여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간 컴퓨터 교과 관련 연계교육을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실업계 고교와 전문대학간 컴퓨터 교과와 관련하여 조사 연구결과 연계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 PDF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전자'교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수역량 규명과 상대적 중요도 분석 (A Study on Identification and Relative Importance Analysis of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for Microprocessor Course on NCS-based Curriculum)

  • 임종현;안미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1-14
    • /
    • 2018
  • NCS 기반 교육과정의 전문교과 교사는 더욱 전문화된 교수역량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NCS 기반 교육과정 '전자' 교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육을 위한 교수역량을 규명하고, 역량 간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분석결과는 첫째, NCS 기반 교육과정 '전자' 교과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육을 위한 교수역량은 8개의 주요 역량과 22개의 하위 역량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주요역량 간, 각 하위 역량 간 상대적 중요도 조사에서 각각 '소스코드 작성 역량'과 '타겟 시스템 회로도 활용 소스코드 작성 역량'이 최고 순위이다. 본 연구는 전자 교과의 핵심이 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개선 및 교사역량 강화를 제안하며, 직업교육 체계화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또한 교수역량 요소를 통해 교사 역량 개발을 위한 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호주와 핀란드의 중등단계 직업교육 학점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ies on Credit Systems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 Australia and Finland)

  • 최수정;전영욱;류지은;이은표;고귀영;서예린
    • 비교교육연구
    • /
    • 제27권6호
    • /
    • pp.191-210
    • /
    • 2017
  • 이 연구는 호주와 핀란드를 중심으로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의 학점제를 비교분석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호주와 핀란드의 중등단계 직업교육 체제와 교육과정 편성, 운영, 평가 및 연계를 검토하고 비교하였다. 호주와 핀란드는 중등단계 직업교육 체제 측면에서 서로 다른 특징을 보이는데, 호주는 지방분권적 체제 하에서 종합고등학교 내에서 운영되는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반면, 핀란드는 중앙집권적 체제로 일반교육과 구분되는 별도의 직업교육 기관에서 직업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측면에서는 두 국가 모두 학점제에 기반하고 있으며, 무학년제를 채택하고, 학생의 교과 선택권을 보장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중등단계 직업교육 학점제 도입과 관련하여, 정책적·학문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간호대학 여학생의 체형인식과 취업불안 관계에서 외모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Self-appearance 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gure Cognition and Vocational Anxiety in Female Nursing Students)

  • 정효선;권연숙;최연희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9-79
    • /
    • 2017
  • Objectives: This research intends to comprehend the relation of figure cognition, self-esteem and vocational anxiety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then, test the mediator effect of self appearance esteem in the relation of vocational anxiety and figure cognition. Methods: This research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240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senior years in 3 nursing universities with 4-year curriculum. The collected data is from the average and the SPSS / WIN 21.0 calculated standard deviation. The analyzed correlation was used to route using model AMOS 20.0. Results: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Sobel Test, that figure cognition affects vocational anxiety, mediating and self appearance esteem, vocational anxiety was shown to have decreasing mediation effect (-3.827, p<0.001). Conclusions: The Anxiety of Nursing Students at Work requires developing an intervention program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self-esteem and positive body awareness.

  • PDF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에 기반한 전문교과 교사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관심도 분석 (Analysis of Interest in the Professor Learning Method of Specialized Curriculum Teachers based on CBAM)

  • 이수정;김민정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3호
    • /
    • pp.65-83
    • /
    • 2018
  • 최근 변화하는 사회에 대응하는 실무 역량을 기르고 인적자원을 개발하기 위해 교육부는 NCS 기반으로 교육과정을 수정 고시하고 교실 수업의 혁신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교육 현장에서의 새로운 변화가 있는 경우 변화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관심도는 새로운 교육적 제도의 안정적 정착 및 효율적인 운영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NCS 기반 교육과정의 운영을 위해 요구되는 교실 현장 실현 가능한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전문교과 교사의 관심도를 분석하여 그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선행 연구 및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NCS 기반 교육과정 실현에 적합한 교수 학습 방법을 도출한 뒤 이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전문교과 교사 334명을 대상으로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관심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문교과 교사의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도는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의 관심도 패턴 4가지 유형 중 비사용자 패턴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즉 전문교과 교사는 NCS 기반 교육과정의 적용을 위한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어하고 있으나 현재 전반적인 사항만 알고 있어 실제 운영하는 것과 관련된 관심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전문교과 교사의 일반 변인(성별, 관련 연수 경험 유무, 경력, 교과군)에 따른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관심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각 변인에 따른 분석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전문교과 교사는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4단계(결과적 관심)와 5단계(협력적 관심)의 관심도가 낮게 나타났다. 즉, 전문교과 교사는 NCS 기반 교육과정의 도입에 따른 교수 학습 방법의 영향력과 이를 토대로 한 평가 방법, 피드백 방안 등에 대해 관심이 없으며, 이와 관련하여 동료와의 협업에 관심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추후 향후 전문교과 교사의 교수역량 함양을 위한 연수 컨설팅을 실시하거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시 교수 학습 방법과 연계된 평가 방법, 평가 결과에 따른 피드백 방안과 함께 동료 교사와의 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략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