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Vocational Curriculum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26초

정수장운영관리사 직무분석에 관한 연구 (Job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Education and Training and Guidelines for Making Questions in Examinations of Water Treatment Plant Operator)

  • 구자건;박종성;오현제;최승일;허방련;위미경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77-388
    • /
    • 2006
  • This paper is aimed to design for qualification structure and developing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of Water Treatment Plant Operator. Also job analysis was performed by the experts of education and related field though Developing A Curriculum(DACUM). The qualification structure and developing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of Water Treatment Plant Operator was designed and policy suggestions are made for the substantiality and activity to the government. This study is performed expert interview and job analysis The results are presented the summaries of job definitions, job models, areas of vocation activities, curriculum for education and training and guidelines for making questions in examinations.

중국 직업교육의 현황과 문제 - 직업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developing process and problem of vocational education in China curriculum - based on vocational school-)

  • 이장패;이광우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475-483
    • /
    • 2018
  • 최근 세계 주요 국가들의 정부 리더들은 현대 사회는 그 사회가 창의성을 얼마만큼 육성하고 가치있게 여기는지에 따라 흥망이 결정된다고 주장한다. 이 연구는 중국의 직업교육 발전과 관련된 현황을 분석해 그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중국 직업교육 발전 체제, 중국 건국 후 발전, 반전현황과 문제에 대해 전면적으로 고찰하고 분석하였다. 중국은 현대적인 시장경제채제가 아직 완전히 정립되지 못하고 있다. 계획경제체제하에서 기업은 국가의 행정 부속물이었고 기업이 실행하는 것은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생산기능이었으며 정치적인 윤리가 기타 모든 윤리를 우선했다. 1996년 중국은 <직업교육법>을 공포하여 정책상 기술직업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였고, 또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최근 직업교육의 규모를 급속히 확대하였으며, 직업교육의 운영수준도 상당히 제고시켰다. 그러나 중국의 직업교육은 조항의 분할 - 통일적 기획의 부족 등으로 인하여 교육자원이 합리적으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는 점이 발견되고 있다.

직업능력개발훈련 교·강사의 자격연계형 마이크로 크리덴셜 적용 방안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icro-Credentials for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Teachers and Instructors)

  • 양미석;권오영;김우철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69-181
    • /
    • 2023
  • 본 연구는 직업능력개발훈련 교·강사의 보수교육과정을 살펴보고, 마이크로 크리덴셜을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K대학교 능력교육개발원의 직업능력개발훈련 교·강사의 보수교육과정 현황, 마이크로 크리덴셜의 특징, 보수교육과정과 마이크로 크리덴셜의 연계가능성을 살펴보고, 스타훈련교사의 인터뷰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인증서에 대한 인식은 훈련과정 이수시 디지털 인증서인 디지털 크레딧, 디지털 뱃지 발급과 보수교육의 공인된 자격과정에 대한 인식은 대부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보수교육의 마이크로 크리덴셜 적용방안으로 다양한 사례로 보수교육보다 혜택을 주는 방안, 보수교육의 체계화, 자격과정의 체계화 및 등급화, 자격과정의 학점화 등을 제안하였다. 둘째, 마이크로 크리덴셜을 적용한 보수교육 활용성 제고를 위한 제도적 보완장치로 NCS기반 전공 보수교육 확대 필요성, 효율적인 학습콘텐츠와 학습방법 제공, 최소 이수시간 설정 등을 언급하였다. 그리고, 직업능력개발훈련 교·강사의 이해도 제고방안으로 가장 많이 응답한 내용은 마이크로 크리덴셜 홍보방안이었다. 셋째, 보수교육기관과 직업능력개발훈련 교·강사의 역할에서 보수교육기관은 교육품질 유지에 대해 가장 많이 언급하고 있으며, 직업능력개발훈련 교·강사의 역할로 가장 많이 응답한 내용은 적극적 참여였다. 본 연구로 직업능력개발훈련 교·강사의 보수교육과정과 마이크로 크리덴셜 간의 자격연계로 전문성 제고와 실무역량 이력 포트폴리오를 실질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직업훈련 환경구축을 기대한다.

환경분야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기초 연구 (A Study on Job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Curriculum for the Environmental field)

  • 주인중;박종성
    • 공학교육연구
    • /
    • 제7권3호
    • /
    • pp.5-18
    • /
    • 2004
  • 이 연구는 1998년부터 수행된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기초 연구로서 교육 훈련 자격 분야에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2002년도에 개발된 직무분석 지침서를 보완하고, 2003년에 이 연구와 함께 수행된 $\ulcorner$직업 변동에 관한 연구(III)$\lrcorner$에서 추출된 환경 산업 관련 직업 중에서 직업교육훈련과정 및 출제 기준을 개발하기 위해 선행적으로 요구되는 10개 직업을 선정하고, 직무분석을 실시하여 이들에 대한 교육 과정, 훈련 기준, 자격 검정의 출제 기준을 개발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작 보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내용은 첫째, 직무분석 관련 선행 내용을 분석하고, 둘째, 직무분석 지침서를 보완하며, 셋째, 직무분석 대상 직업을 선정한 후, 넷째, 직업교육훈련과정 및 출제 기준을 개발하기 위한 직무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직무분석 관련 선행 연구 및 자료 분석, 직무분석 보완 및 대상 직업 선정과 직업별 직무분석을 위한 전문가 협의회, 데이컴법(DACUM process)을 이용한 직무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우선 직업교육훈련과정의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의 모형을 절차별로 정리 제시하였는데, 1단계는 직무분석 준비, 2단계는 직무모형 설정, 3단계는 지식, 기능, 도구 추출, 4단계는 선수 코스 및 교과목 선정, 5단계는 교육 훈련 내용 상세화, 6단계는 출제 기준 설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절차에 따라 10개 직업에 대한 직업별 직무분석이 진행되었다.

동일계 상급학교 진학을 고려한 상업·정보계 고등학교의 컴퓨터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dministration of Computer Curriculum for Commerce·Information High School Considering College Education of Same Major)

  • 윤석호;황인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12
    • /
    • 2009
  •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상급학교 진학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문계 고등학교의 전문교과 교육이 동일계열 상급학교의 교육과 적절히 연계될 수 있도록 전문교과가 구성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업 정보계 고등학교의 정보 컴퓨터 계열 학과를 중심으로 현재 편성 운영되고 있는 컴퓨터 교과목들을 분석해서 문제점을 찾아보고, 이를 토대로 상업 정보계 고등학교의 바람직한 컴퓨터 교과들의 편성 운영 방안을 찾아보았다.

  • PDF

치기공과 교육과정 제고를 위한 치과기공사의 직업기초능력 중요도 분석 (Analysis on the Importance of Dental Technicians' Basic Vocational Competency elements to Improve the Dental Technology Curriculum)

  • 정효경;박남규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1-41
    • /
    • 2019
  • Purpose: This provides basic data for improving educational effectiveness by selecting and applying basic vocational competency applicable to dental technology's sub-major curricula by determining and researching dental technicians' awareness levels concerning the basic vocational competency's importance. Methods: 170 dental technicians working in Daegu, Korea were survey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between 9 January 2018 and 23 February 2018. Results: 1. The highest level of the basic vocational competency elements by the awareness levels of importance in dental technology laboratories was shown in the occupational ethics, followed by technological skills, interpersonal skills, self-development levels, problem-solving skills, information skills, resource management skills and skills for understanding groups, communication skills, and mathematical skills. 2. Female dental technicians put relatively higher importance on writing documents and managing time, while males stressing on basic statistics. 3. Dental laboratory CEOs and managers put high values on resource management skills, while head technicians valuing information skills more. 4. The awareness levels concerning the basic vocational competency importance in some dental technology fields did not match those of the dental technology laboratories in the fields of porcelain, crown and bridge, and orthodontics. Conclusion :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awareness levels concerning basic vocational competency's importance in some fields of dental technology differ from those of dental technology laboratories. Developing a basic vocational competency curriculum, it seems necessary to find ways to increase educational effectiveness by selecting and applying the basic vocational competency for the respective fields of dental technology.

캐릭터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2년제 전문교육을 중심으로 (A Study of Development a Curriculum for Character Designer -Focused on Two-Year Course Work of College Education)

  • 김용우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231-244
    • /
    • 2004
  • 직업교육에서의 교육과정은 학생이 졸업 후 취업 가능한 직종과 고용기회, 이들 직업에 종사하는데 필요한 능력이 어떤 것인가를 근거로 계획되고 운영되어야 한다. 따라서 직업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계획에서 교육내용을 선정하는 과정에는 전공분야와 관련된 산업체 관련인사의 참여와 산학협동을 통한 밀접한 관계 유지를 통해 지속적이며 점진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직업교육의 교육과정이 취업을 준비하기 위한 것이라면 교육과정의 초점이 고용에 맞추어야하며, 이러한 직업교육의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대학과 산업체(특히 지역산업체)간 관련 자료가 종합적으로 수집.분석되고 그 자료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이 계획되어야 한다. 지역사회와 관련된 자료는 산업체별 인력수요 전망,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특히 앞으로 전망이 밝은 취업 가능 직종 등을 고려한 새로운 프로그램의 개발과 기존 교육과정에서 개선되어야 할 내용 (기술의 변화, 실험.실습시설의 형태, 계속 교육의 유형 등)이 객관적으로 조사.분석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애니메이션 산업의 발달과 멀티미디어 시장의 확대로 더욱 역할과 기대가 증대하고 있는 캐릭터산업에서 종사할 캐릭터디자이너를 전문 육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보다 체계적으로 개발하여 교육에 적용함으로써, 학교 교육에서 문제 시 되어 왔던 교육과 현장 실무의 괴리를 줄여 산업체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양성함에 목적이 있다.

  • PDF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역량기반 교육훈련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Competency-Bas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Model of Vocational Training Teacher)

  • 정현석;이철기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421-433
    • /
    • 2021
  • 본 연구는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성과와 관련된 역량을 교육, 개발하여 조직의 목표와 가치에 부합하는 역량을 습득할 수 있도록 훈련교사를 대상으로 역량기반 교육훈련프로그램의 개발과정을 분석, 제시하였다. 직업훈련교사의 역량 및 교육훈련에 관한 문헌연구를 토대로 훈련교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분석과 행동사건면접 및 역량사전을 활용하여 역량모델을 도출하고, 타당성 분석을 거친 후 역량요구분석, 역량별 교육프로그램체계, 역량프로파일과 역량별 훈련모듈을 개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훈련교사의 체계적인 역량개발을 위해 필요한 역량기반교육훈련프로그램의 운영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수능 직업탐구 영역의 성과와 과제에 대한 공업계열 특성화고 현장 교사의 인식 (Perception on Outcomes and Challenges of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CSAT by Industry Department Teacher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 함승연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5호
    • /
    • pp.1148-116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y of perception on outcomes and challenges of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CSAT by industry department teacher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erefore, it is highly desirable that researchers to survey what are the biggest outcomes of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CSAT and positive ripple effects of outcomes, what are the biggest challenges of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CSAT and importance of challenges undertaken 10 years. The survey included 100 industry department teacher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on 9 region from Korea. The analysis of survey results was by regions, industry department teacher's career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biggest outcomes of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CSAT was extension of opportunity on continuing education and supply a demand for entrance university o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biggest positive ripple effects of the outcomes was also extension of opportunity on continuing education and supply a demand for entrance university o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biggest challenges of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CSAT and importance of challenges was not to use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CSAT score for the entrance on the most universities.

공업계열 특성화고 교사가 인식하는 수능 직업탐구 영역 응시집단 특성 변화 (Change on the Characteristics of Applying Group for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 by Industry Department Teacher's Perception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 함승연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6호
    • /
    • pp.1389-140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y of percep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applying students for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what were characteristics of main group by industry department teacher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erefore, it was highly desirable that researchers to survey what were change on the characteristics of applying for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 and what were prospect on applying group for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 The survey included 100 industry department teacher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on 9 regions from Korea. The analysis of survey results were by regions, industry department teacher's career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ain reasons of reducing on applying for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 after the class of 2010 was policy of employment reinforce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by government. The next reason was increasing students who want the next stage of education not requiring results of the CSAT. Leading group of reducing on applying for the CSAT after the class of 2010 was fine grade group. Prospect on number of applying students for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 was maintenance on the minimum number of applying students for the CSAT, after lasting of reducing st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