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tamin E concentration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35초

폐탄산가스 고정화를 위한 반연속식 및 연속식 공정에서의 Single Cell Protein 생산 (Production of Single Cell Protein using the wasted CO2 gas in Semi-continuous and Continuous Process)

  • 신항식;장민영;채소용;박봉선
    • 유기물자원화
    • /
    • 제9권1호
    • /
    • pp.73-78
    • /
    • 2001
  • 미세조류와 광반응기를 이용한 생물학적 이산화탄소 고정화 방법은 이산화탄소를 경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미세조류의 종류에 따라서 원활한 성장을 위한 환경 조건 및 성장특성이 상이하기 때문에, 배양하고자하는 미세조류의 성장에 영향을주는 운전 조건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실험에 사용된 Euglena gracilis Z는 산성 조건에서도 잘 성장하여 오염의 가능성이 적고, 고농도 이산화탄소(10-20%)에 대한 내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단백질 함량이 풍부하고 세포벽이 얇아 대량 배양시 사료로서의 이용 가치가 높다. 연속식 광반응 배양기를 이용하여 운전을 실시한 결과 $CO_2$ 농도 10%, HRT 4일에서 최종 세포수 $3.57{\times}10^6/m{\ell}$의 높은 성장률을 얻었다 또한 광도에 따라 성장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연속식 및 반연속식 배양에서의 성장 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 PDF

Identification of Genes Modulated by High Extracellular Calcium in Coculture of Mouse Osteoblasts and Bone Marrow Cells by Oligo Chip Assay

  • Kim, Hyung-Keun;Song, Mi-Na;Jun, Ji-Hae;Woo, Kyung-Mi;Kim, Gwan-Shik;Baek, Jeong-Hwa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1권2호
    • /
    • pp.53-65
    • /
    • 2006
  • Calcium concentration in the bone resorption lacunae is high and is in the mM concentration range. Both osteoblast and osteoclast have calcium sensing receptor in the cell surface, suggesting the regulatory role of high extracellular calcium in bone metabolism. In vitro, high extracellular calcium stimulated osteoclastogenesis in coculture of mouse osteoblasts and bone marrow cells. Therefore we examined the genes that were commonly regulated by both high extracellular calcium and $1,25(OH)_2vitaminD_3(VD3)$ by using mouse oligo 11 K gene chip. In the presence of 10 mM $[Ca^{2+}]e$ or 10 nM VD3, mouse calvarial osteoblasts and bone marrow cells were co-cultured for 4 days when tartrate resistant acid phosphatase-positive multinucleated cells start to appear. Of 11,000 genes examined, the genes commonly regulated both by high extracellular calcium and by VD3 were as follows; 1) the expression of genes which were osteoclast differentiation markers or were associated with osteoclastogenesis were up-regulated both by high extracellular calcium and by VD3; trap, mmp9, car2, ctsk, ckb, atp6b2, tm7sf4, rab7, 2) several chemokine and chemokine receptor genes such as sdf1, scya2, scyb5, scya6, scya8, scya9, and ccr1 were up-regulated both by high extracellular calcium and by VD3, 3) the genes such as mmp1b, mmp3 and c3 which possibly stimulate bone resorption by osteoclast, were commonly up-regulated, 4) the gene such as c1q and msr2 which were related with macrophage function, were commonly down-regulated, 5) the genes which possibly stimulate osteoblast differentiation and/or mineralization of extracellular matrix, were commonly down-regulated; slc8a1, admr, plod2, lox, fosb, 6) the genes which possibly suppress osteoblast differentiation and/or mineralization of extracellular matrix, were commonly up-regulated; s100a4, npr3, mme, 7) the genes such as calponin 1 and tgfbi which possibly suppress osteoblast differentiation and/or mineralization of extracellular matrix, were up-regulated by high extracellular calcium but were down-regulated by VD3.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coculture condition, both high extracellular calcium and VD3 commonly induce osteoclastogenesis but suppress osteoblast differentiation/mineralization by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related genes.

Marine-derived Ca-Mg complex influences lipid and glucose metabolism, serum metabolites, colostrum profile, and stress hormone in sows over four-parity periods

  • Sungbo Cho;Santi Devi Upadhaya;Woo Jeong Seok;Seyoung Mun;Haeun Lee;Rudolf H. van der Veen;Kyudong Han;In Ho Kim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5권6호
    • /
    • pp.1308-1322
    • /
    • 2023
  • Minerals is required small amounts among various nutrients, but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sow longevity and reproduction performanc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e the beneficial effects of marine-derived Ca-Mg complex on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sows during four-parity periods. Seventy-two gilts ([Yorkshire × Landrace] × Duroc), with an average body weight of 181 kg,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ree groups; CON (basal diet), 0.3LC (CON - MgO - 0.3% limestone + 0.4% Ca-Mg complex), and 0.7LC (CON - MgO - 0.7% limestone + 0.4% Ca-Mg complex). During parity 3 and 4, the expression level of SCD gene was lower in the umbilical cord of piglets born to 0.3LC and 0.7LC sows compared with the CON sows. During parity 2, 3 and 4, SLC2A2 and FABP4 gene expressions were higher in the umbilical cord of piglets born to 0.7LC sows and the placenta of sows from 0.3LC groups, respectively. Ca-Mg complex increased (p < 0.05) Ca and Mg concentrations in sows and their piglets' serum as well as in colostrum regardless of parities. The serum vitamin D concentration was higher (p < 0.05) in their first parity, whereas serum prolactin and estrogen concentrations were higher (p < 0.05) during the fourth and third parity, respectively. The growth hormone concentrations were higher (p < 0.05) in the piglets born to sows during the first and second parity. The fat and immunoglobulin A (IgA) concentrations in colostrum were higher (p < 0.05) during the third and fourth parity, respectively. A reduction (p < 0.05) in salivary cortisol, epinephrine, and norepinephrine concentrations was observed in 0.3LC and 0.7LC sow groups compared with CON after farrowing regardless of parity, however before farrowing, a reduction in norepinephrine was observed. Before farrowing, the epinephrine and norepinephrine concentrations were higher (p < 0.05) during the first and second parity. After farrowing, the concentration of these hormones was higher during the second parity. Taken together, sows' parity and dietary Ca-Mg complex supplementation influenced serum metabolites, colostrum nutrients, stress hormones as well as the gene expressions related to lipid and glucose metabolism.

펙틴분해효소를 이용한 마늘, 고추와 오이의 단세포화물의 제조 (Characteriatics of Single Cell Suspension of Garlic, Red Pepper and Cucumber Prepared by Protopectin Hydrolytic Enzymes)

  • 백구현;김성수;이영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69-377
    • /
    • 2006
  • 채소류 가공 공정시 발생하는 영양성분의 손실, 색의 변화, 짧은 저장기간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식물조직의 단세포를 유리시킬 수 있는 최적조건을 연구하였다. 즉 효소처리를 위한 최적 조건은 오이, 마늘, 고추에서 250 rpm, $37^{\circ}C$, 150분으로 나타냈다. 각 시료에 대한 효소 농도는 오이, 마늘, 고추 각각 0.5, 0.75, 0.75%를 보였으며, pH는 7.0, 8.0, 5.0이었다. 단세포화한 뒤 착즙율은 기계처리물에 비해 오이, 고추, 마늘, 각각 16, 36, 36.5% 이상의 수율 향상을 가져 왔다. 비타민 C 함량에서도 고추, 마늘 단세포화물이 약 9일 경과 후에도 80% 이상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기계처리물에서는 약 50% 정도를 감소하여, 저장기간이 지나도 비타민 C 감소폭이 적었다. 열처리 전후의 색도 변화에서도 ${\Delta}E$ 값이 1.16-3.27로 기계 처리물의 2.87-7.68보다 색도의 변화가 적어 외관상으로도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고추의 capsaicin 최초 함량은 단세포화불이 1.77 mg/100 g로 기계처리물의 1.32 mg/100 g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저장 후에도 1.4 mg/100 g으로 기계처리물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18^{\circ}C$에서 저장시 냉해동 안정성은 4 cycle 경과 후 단세포화물은 약 70%, 기계처리물은 약 20%의 점도를 유지하고 있었다.

한방목초액의 항산화 및 항 아토피 효과 (Anti-oxidation and Anti-atopic Dermatitis Effect of Herbal Wood Vinegar)

  • 김타곤;노화정;전상희;김강배;김동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8권6호
    • /
    • pp.690-69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대나무, 계피, 생강 등 8종의 한약재를 포함한 한방목초액의 소재특성을 시험하여 화장품 및 피부질 환용 의약품에의 응용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목초액의 항산화력은 DPPH 자유라디칼 소거법으로 측정되었으며 $50{\mu}g/ml$의 농축목초액 농도에서 97%의 매우 높은 항산화능을 보여주었다. 목초액의 항균력은 원판확산법으로 시험되었으며, 피부상재균인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우수한 항균력을 보여주었다. 목초액의 미백효과는 tyrosinase 활성억제시험법으로 측정되었으며 대조군인 비타민 C에 비해 매우 낮아서 미백효과는 미미하였다. 목초액의 안전성 시험은 MTT assay에 의해 측정되었으며, 세포 독성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목초액의 화장품소재 안정성 시험 결과 색, 향, 외관 및 pH에서 큰 변화가 없어서 매우 안정하였다. 무모생쥐를 이용한 항 아토피 시험결과, 목초액은 DNCB에 의해 유도된 피부염증을 9일 째 거의 정상상태로 회복시켰으며, 피부내 IgE의 농도도 대조군에 비해 30% 감소시켜 항 아토피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목초액은 항산화력, 항균력 및 항 아토피 효과가 우수하여 화장품소재나 피부질환치료제로서의 응용 가능성이 큼을 알 수 있었다.

남은 음식물과 지렁이 분변토를 이용한 느타리버섯의 대체 배지개발 (Development of New Mushroom Substrate of Pleurotus Ostreatus Using Foodwaste and Wormcast)

  • 박장우;박기병;이은영
    • 유기물자원화
    • /
    • 제20권4호
    • /
    • pp.75-85
    • /
    • 2012
  • 본 연구는 느타리버섯 재배에 있어서 유기성폐기물의 일종인 남은 음식물을 대체배지로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였다. 남은 음식물 배지를 이용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수분 조절 및 배지 내 압밀현상 극복을 위해 지렁이 분변토를 첨가하여 그 효과를 검토하였다. 느타리버섯 주요 6 균주의 품종별 균사 생장 능력을 조사한 결과, 장안5호(PL. 6) 품종을 제외하면, 모든 품종에서 관행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배지에 비해 음식물 배지에서의 초기 균사 생장이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은 음식물의 수분조절을 위해 분변토를 첨가하여 퇴비화한 배지에서 생장한 결과 최적 분변토 혼합비율은 30%로 나타났다. 또한, 가장 생육이 우수한 장안5호(PL. 6)의 경우 남은 음식물 배지에서의 균사 생장 속도는 113mm/15day로 나타나 일반적인 느타리버섯 생육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남은 음식물에 분변토를 30%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작한 배지에서 재배한 장안5호(PL. 6)의 초발이 일수는 13일로 일반 비트펄프를 활용한 배지보다 2배 이상 길었으나, 자실체 갓의 크기는 20.5%, 자실체의 대 길이는 6.2% 더욱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총 수확량에서 60.5%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남은 음식물 배지를 이용하여 생산한 느타리버섯의 영양성분 분석결과 일반 비트펄프 재배 느타리버섯보다 단백질은 70.6%, 비타민 A는 2.4%, 비타민 E는 0.8% 증가하였고, 지방은 12.6% 낮게 분석되었으며, 지방산중 올레산의 함량이 미량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생물벽체를 이용한 지하수내 PCE의 환원성 탈염소화시 전자공여체의 영향: 회분식 실험 (Effect of Electron Donor on the Reductive Dechlorination of PCE in Groundwater Using Biobarrier: Batch Experiment)

  • 황보현욱;신원식;김영훈;송동익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1권2호
    • /
    • pp.22-37
    • /
    • 2006
  • 생물벽체(biobarrier) 또는 원위치 미생물 필터(in situ microbial filter) 기술을 이용한 염소계 유기용매로 오염된 지하수의 복원 가능성을 회분식 실험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PCE의 환원성 탈염소화의 효율과 속도는 수소 농도에 의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변토와 토탄을 생물벽체로 이용한 PCE의 환원성 탈염소화시 전자공여체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유기산(lactate, butyrate benzoate)과 yeast extract, 비타민 $B_{12}$가 PCE의 환원성 탈염소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생물벽체 담체 비존재시, 전자공여체를 투여하지 않은 control 실험에 비해, 전자공여체의 첨가는 PCE의 탈염소화 속도를 촉진하였다. 전자공여체를 투여한 실험 중에서 lactate 또는 lactate/benzoate를 수소 공여체(hydrogen donor)로 첨가된 경우, 탈염소화 속도가 가장 빨랐다($k_1=0.0260{\sim}0.0266\;day^{-1}$). 분변토를 생물벽체로 사용한 경우, lactate/benzoate 첨가시 탈염소화 속도가 가장 빨랐으며, 겉보기 1차 분해속도상수($k_1$)는 $0.0849day^{-1}$였다. 반면, Pahokee peat을 생물벽체로 사용하였을 경우, butyrate 또는 lactate의 첨가시 탈염소화 속도가 가장 빨랐으며 $k_1$ 값은 각각 0.1092, $0.1067\;day^{-1}$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분변토 또는 토탄을 원위치 생물벽체로 사용하여 염소계 유기용매로 오염된 지하수 처리의 잠재적인 응용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Resveratrol-loaded Nanoparticles Induce Antioxidant Activity against Oxidative Stress

  • Kim, Jae-Hwan;Park, Eun-Young;Ha, Ho-Kyung;Jo, Chan-Mi;Lee, Won-Jae;Lee, Sung Sill;Kim, Jin Woo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2호
    • /
    • pp.288-298
    • /
    • 2016
  • Resveratrol acts as a free radical scavenger and a potent antioxidant in the inhibition of numerous reactive oxygen species (ROS). The function of resveratrol and resveratrol-loaded nanoparticles in protecting human lung cancer cells (A549) against hydrogen peroxide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assa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ntioxidant properties. Resveratrol had substantially high antioxidant capacity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value) compared to trolox and vitamin E since the concentration of resveratrol was more than $50{\mu}M$. Nanoparticles prepared from ${\beta}$-lactoglobulin (${\beta}$-lg) were successfully developed. The ${\beta}$-lg nanoparticle showed 60 to 146 nm diameter in size with negatively charged surface. Non-cytotoxicity was observed in Caco-2 cells treated with ${\beta}$-lg nanoparticles. Fluorescein isothiocynate-conjugated ${\beta}$-lg nanoparticles were identified into the cell membrane of Caco-2 cells, indicating that nanoparticles can be used as a delivery system. Hydrogen peroxide caused accumulation of ROS in a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Resveratrol-loaded nanoparticles restored $H_2O_2$-induced ROS levels by induction of cellular uptake of resveratrol in A549 cells. Furthermore, resveratrol activated 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Kelch ECH associating protein 1 (Nrf2-Keap1) signaling in A549 cells, thereby accumulation of Nrf2 abundance, as demonstrated by western blotting approach. Overall, these results may have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oxidative stress in treatment with nanoparticles as a biodegradable and non-toxic delivery carrier of bioactive compounds.

체리(Prunus avium L.)의 항균 및 항산화 활성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Fruit of Prunus avium L)

  • 안선미;류희영;강동균;정인창;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71-376
    • /
    • 2009
  • 국내산 양앵두의 유용 생리활성 검토를 목적으로 양앵두 열수 추출물 및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을 조제하였다. 양 앵두 추출물의 약 40%는 당류 성분이었으며, 이의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분획물 및 물 잔류물의 분획효율은 각각 0.01%, 3.45%, 16.30% 및 80.24%로 나타나 양앵두 열수 추출물의 대부분이 부탄올 분획 및 물 잔류물로 이행되었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물 잔류물은 34%의 총당을 함유하였다. 조제된 열수 추출물과 분획물의 항세균 활성을 평가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분획에서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및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해 우수한 항세균 활성이 확인되었으며 (MIC, 0.5~1.0 mg/mL), Pseudomonas aeruginosa에는 항균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항Candida 활성은 헥산 분획에서만 확인되었으며, 항생제 내성균에 대해서도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MIC, 0.5~1.0 mg/mL). 항산화능 평가의 경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우수한 DPPH 소거능($IC_{50}:195.5\;{\mu}g/mL$) 및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양 앵두가 우수한 항균 활성과 항산화 활성을 가진 유용한 과일자원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폭염 브로일러 닭의 혈액지질 및 짧은 사슬지방산에 대한 폭염사료와 역전점등 효과 (Effects of inverse lighting and extreme heat diet on short chain fatty acid and blood lipid profile in extreme heat stress-exposed broilers)

  • 박상오;황보종;박병성;최희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00-410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eding the broilers that are exposed to extreme heat stress by control of inverse lighting times with night restricted feeding of extreme heat diet(EHD1, 2: extreme heat diet) containing different amount of soy oil, molasses, amino acids and vitamin C on short chain fatty acid and blood lipid profile. 300 broiler chickens(Abaica strain) were randomized into four dietary treatment groups according to a randomized block design on the day they were hatched. The four dietary treatment groups were: T1(EHD 1, 10:00~19:00 Dark, 19:00~10:00 Light), T2(EHD 2, 10:00~19:00 Dark, 19:00~10:00 Light), T3(EHD 1, 09:00~18:00 Dark, 18:00~09:00 Light), T4(EHD 2, 09:00~18:00 Dark, 18:00~09:00 Light). The body weight gain of the broilers was highest in T2, and high in order T1, T4, T3(p<0.05). Weights of the lymphoid organ, thymus and bursa of Fabricius were high in T1, T2 as compared to T3, T4 but spleen was lower in T4 than T1, T2, T3(p<0.05). Blood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glucose were higher in T1, T2 than T3, T4(p<0.05). LDL-C was high in orderT4, T3, T2, T1 but HDL-C showed the opposite trend(p<0.05). Blood concentrations of IgG, IgG and IgM were higher in T1, T2 than inT3, T4, but the corticosterone concentration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m. In T1 and T2, Lactobacillus in the feces increased, but total aerobic bacteria, E.coli, coliform bacteria was decreased rather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ose in T3 and T4(p<0.05). Concentrations of acetic acid, propionic acid and total SCFA in cecum were high in order T2, T1, T3, T4, but butyric acid, isobutyric acid, valeric acid, isovaleric acid were lower in T1, T2 than in T3, T4 (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