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ly impaired researcher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맹학교 학습공간의 물리적 환경 요소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The Design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Analysis of Physical Environmental Elements in the Learning Spaces for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 정회란;천진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99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83-86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interior environment which can support the education effectively through acceptance of the requirements of users about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learning spaces for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For them, researcher investigated the literature cited and did the field survey. And also, this researcher analyzed user's satisfaction extent for structure, design, and technical environment factors by the evaluation elements.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analysis, Two rooms which had big problems for physical environment were selected. And then the design recommendations focusing on environmental factors - circulation, furniture arrangement, colour, lighting etc. - were proposed by this researcher on the basis of space user's requriement.

  • PDF

시각장애 연구자의 학술정보 획득 및 활용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Visually Impaired Researchers in the Acquisition and Use of Scholarly Contents)

  • 박성의;심원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61-189
    • /
    • 2017
  • 이 연구는 시각장애 연구자의 학술정보 획득 및 활용에 대한 경험을 시각장애 연구자의 관점에서 기술하고, 그 경험의 내재된 본질을 탐색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시각장애 연구자 12명을 심층 면담하고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107개의 의미 있는 진술과 이를 통해 구성된 의미에서 44개의 주제, 12개의 주제묶음을 확인하여 구분한 결과, 총 4개의 범주가 최종적으로 도출되었다. '학술정보 확보 및 활용' 범주는 학술정보 제공 사이트의 웹 접근성 및 원문 접근성 수준이 낮아 시각장애 연구자들이 자료 검색-확보-활용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보여준다. '인식 및 감정의 변화' 범주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시각장애 연구자의 인식 및 감정을, '지원인력과의 관계' 범주는 지원인력 확보의 어려움, 지원인력의 역량 문제, 지원인력 관리와 관련하여 시각장애 연구자가 겪는 고충을 보여준다. '개선요구사항 범주'는 연구 참여자들이 학술정보 획득 및 활용과 관련하여 개선되기를 희망하는 내용이 무엇인지를 기술하고 있다.

시각장애인도서관 직원들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mployees Working in Libraries for the Visually Impaired)

  • 박성호;조미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85-304
    • /
    • 2021
  • 이 연구는 시각장애인도서관 직무에 종사하는 직원들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개인적 배경, 감정노동, 역할, 직무특성, 조직문화, 조직공정성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요인들은 양적 검증에 질적 검증을 보완한 혼합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양적 검증은 수집된 설문지를 대상으로 통계와 분석을 진행하였다. 질적 검증으로는 희망하는 현직자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지 내용을 면담지로 재구성한 후에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감정노동, 직무특성, 조직문화, 조직공정성이 직원들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직무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담당업무에 대한 조직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재량권 확대를 통한 자율성 보장해 주어야 하며, 직원들의 감정노동에 대해 조직 차원의 집중 관리와 업무성과에 대한 공정한 절차를 거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1학년 시각장애대학생의 대학진학의 의미와 학교생활 경험에 관한 현상학 연구 : 휴학의 기로에서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the Meaning of Visually-impaired Undergraduate Freshmen's University Entrance and their School Life Experiences: At a crossroads before taking a leave of absence)

  • 최선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36-50
    • /
    • 2018
  • 본 연구는 부산시 소재의 S대학교 1학년 과정을 마치고, 현재 휴학을 고려하고 있는 3명의 시각장애대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3월부터 7월 동안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대학진학의 의미와 학교생활경험에 대한 본질적 의미와 구조를 탐색 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대학진학의 의미는 무엇인가? 둘째, 입학 후 학교생활 경험은 무엇인가? 이며, 연구결과 "캠퍼스생활의 설렘과 대학생이라는 이름", "부모의 권유", "안마사 말고 다른 무엇", "누구나 들어가는 곳 인가? 특별한 곳인가?","대중 속의 고독", "모든 것이 장애물","포기한건 아니지만 여전히 애매한 시간 속으로", "또 다시 갈등 시작", "대학재학은 현재가 아닌 미래를 위한 것". 이라는 10개의 중심주제가 도출되었으며, 대학에 진학한다는 것, 그 의미(범주1), 대학생활 적응과 현실(범주 2), 입학 1년후: 대학 재학의 의미(범주 3)라는 주제로 범주화 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이 시각장애인학생들의 초기 대학생활적응을 위해 무엇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시각장애 중고등학생의 물의 상태변화 개념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Visually Impaired Secondary Students' Conception of the Changes of State of Water)

  • 김학범;차정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43-51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시각장애를 가진 중고등학생의 물의 상태변화 개념을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열린 시각장애학생 대상의 과학탐구 활동에 참여한 중학생 16명과 고등학생 15명으로, 이 중 14명은 전맹, 13명은 저시력이었으며 나머지는 파악되지 않았다. 탐구활동은 이 연구를 위해 제작한 물과 얼음의 분자모형을 참여 학생들에게 개별적으로 탐색하면서 연구자와 대화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이 모형에 대한 탐색을 마친 후 물의 상태변화 개념과 관련지어 설명하도록 하였으며, 모형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면담을 실시하였다. 모든 대화는 녹음되었고 그 자료를 전사한 뒤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시각장애학생들은 활동에 사용된 모형의 재료와 개수에 대해서는 정확히 대답하였지만 무엇을 표현한 모형인지 설명하기 어려워하였다. 물의 분자와 상태변화에 대해 배운 경험이 있다고 대답하였으나 그 개념에 대해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거나 현상적인 경험에 기초한 수준에 불과했다. 활동을 통해 시각장애학생들은 물과 얼음의 분자구조와 상태변화에 대해 이해하게 되었고, 연구에서 사용된 모형이 필요하며 유용하다고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