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Spatial Working Memory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7초

대상- 및 공간-기반 주의가 작업기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bject- and Space-Based Attention on Working Memory)

  • 민윤기;김보성;정종욱
    • 인지과학
    • /
    • 제19권2호
    • /
    • pp.125-142
    • /
    • 2008
  • 본 연구는 공간-기반 주의(space-based attention)와 대상-기반 주의(object-based attention)가 공간 및 시각 작업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두 가지 주의 자원 양상이 모두 관여하는 공간 스트룹 과제를 이용하여 작업기억의 재인율을 측정하였다. 작업기억과 공간 스트룹 과제의 자극 배열의 유사성 조건은 작업기억 과제 수행 시 공간 시연에 미치는 공간-기반 주의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구성되었으며, 스트룹 조건은 작업기억 과제 수행시 대상에 대한 시연에 미치는 대상-기반 주의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공간 작업기억과 공간 스트룹 과제의 자극 배열의 유사성이 높은 조건에서 공간 작업기억의 재인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룹 조건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시각 작업기억의 재인율은 스트룹 일치조건보다 불일치조건에서 더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사성 조건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작업기억에서 요구되는 자원의 양상과 선택적 주의 자원의 양상이 동일한 경우에만 선택적 주의가 작업기억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 PDF

스마트 토이를 활용한 아동용 인지능력 증진 프로그램의 예비 효과 연구 (A Preliminary Study of Computerized Cognitive Ability Enhancement Program Using Smart-Toy for Children)

  • 신민섭;이정은;이지현;이진주;권은미;전혜진;이승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8권2호
    • /
    • pp.106-114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computerized cognitive ability enhancement program (CCAEP) using Smarttoy. The CCAEP using Smart-toy which can interact with children via bluetooth is a kids-friendly and convenient method for improving children's cognitive abilities by increasing their motivation for performing the program. We developed the CCAEP which designed to train auditory-verbal memory, visual-spatial memory, auditory-verbal working memory, and visual-spatial working memory. Methods: Eighteen children aged 8 to 10 participated in CCAEP individual training composed of 8 sessions of 40 minutes each for 4 weeks. The effect of the training was measured with Smart Toyweb's cognitive assessment tasks (smart device based assessment) as well as traditional neuropsychological tests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Results: Children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auditory-verbal memory, visual-spatial memory, auditory-verbal working memory and visual-spatial working memory abilities after the training.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promising results suggesting the effectiveness of CCAEP using Smart-Toy in clinical settings as well as school and home situations. Further controlled study with larger sample size including various clinical groups is needed to confirm the present results.

학령기 아동용 스마트기기를 사용한 기억력 평가과제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연구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emory Tasks Using Smart Devices for School Aged Children)

  • 신민섭;이진주;어윤정;오서진;이정은;김일중;홍초롱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7권2호
    • /
    • pp.130-138
    • /
    • 2016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uditory-verbal and visual-spatial memory tasks using smart devices for children aged 8 to 10 years and examine their validity. Methods: One-hundred and fourteen school-aged children were recruited through internet advertising. We developed memory tasks assessing auditory-verbal memory, visual-spatial memory, and working memory, and then examined their construct validity by examining the developmental trend of the children's mean scores with age. In order to examine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tasks, we conducted correlation analyses between the children's scores on the newly developed auditory-verbal, visual-spatial memory and working memory tasks and their scores on well-known standardized tests of memory and working memory, including the auditory-verbal memory subtests of the Korean Luria-Nebraska Neuropsychological Battery for Children, Korean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Test, digit span and arithmetic subtest of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Revised, and Corsi block test. Results: The memory and working memory scores measured by the newly developed tasks tended to increase with age. Further,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scores of the four cognitive tasks and the corresponding scores of the standardized assessment tools.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promising evidence for the validity of the memory tasks using smart devices, suggesting their utility for school-aged children in research and clinical settings.

텍스트 유형과 작업기억이 읽기 정상 아동과 읽기 지진 아동의 텍스트 이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xt Types and Working Memory on Text Comprehension in Reading Normal and Reading Deficient Children)

  • 도경수;이은주
    • 인지과학
    • /
    • 제17권3호
    • /
    • pp.191-206
    • /
    • 2006
  • 언어 작업기억과 시공간 작업기억이 아동의 글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읽기 정상 아동과 읽기 지진아동들에게 두 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 정상 아동에 비해 읽기 지진 아동들이 읽기 폭과 연산 폭은 작았으나 시공간 폭은 작지 않았다. 또 정상아동은 설명글과 묘사글의 이해 정도의 차이가 없었지만, 읽기 지진 아동들은 묘사글보다 설명글의 이해 정도가 낮았다. 실험 2에서는 청각 기억과제와 시각 기억과제가 글 이해에 미치는 간섭효과를 알아보았다. 정상 아동들은 설명글과 묘사글 모두에서 시각 기억과제를 할 때보다 청각 기억과제를 할 때 이해 정도가 떨어졌으나, 읽기 지진 아동들은 묘사글을 읽을 때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시각 기억과제 조건에서 글 이해정도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이 결과는 글을 읽을 때, 특히 묘사글을 읽을 때 시공간 작업기억도 관여할 수 있으며, 이 가능성은 정상아동에게서 보다 읽기 지진 아동에게서 더 클 것으로 해석되었다.

  • PDF

시각 탐색과 공간적 작업기억간 상호 간섭의 원인 (Main Cause of the Interference between Visual Search and Spatial Working Memory Task)

  • 안지원;김민식
    • 인지과학
    • /
    • 제16권3호
    • /
    • pp.155-174
    • /
    • 2005
  • 최근 연구들은 공간적 작업기억 과제를 수행하면서 시각 탐색 과제를 수행했을 때 시각 탐색의 효율성과 작업기억 과제의 정확률이 동시에 낮아지는 결과를 보고하였다(Oh & Kim, 2004; Woodman & Luck, 2004). 이러한 결과는 두 과제의 처리 과정이 동일한 인지적 자원을 요구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 동일한 인지적 자원은 공간적 주의(공간적 주의 부하 가설)나, 공간적 작업기억(공간적 작업기억 부하 가설), 혹은 이 둘과 모두 관련될 가능성이 있다. 시각 탐색과 공간적 작업기억 간 상호 간섭의 기제를 밝히기 위해 작업기억에 유지해야 하는 위치와 공간적 주의를 사용해야 하는 시각 탐색의 자극 위치를 변화시켜 2개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공간적 작업기억 과제의 자극을 탐색 자극이 제시될 수 있는 주변 영역에 제시하는 경우에도 두 과제간의 간섭이 나타남을 보임으로써 이전 연구 결과들을 재확인하였다. 실험 2에서는 기억 자극과 탐색 자극을 모두 동일한 사분면에 제시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서 시각 탐색과 작업기억 과제 수행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시각 탐색의 효율은 시각 탐색 과제만을 수행한 조건과 동일 위치 조건에 비해 비동일 위치 조건에서 유의미하게 저하되었다. 공간적 작업기억 과제의 정확률역시 다른 조건보다 비동일 위치 조건에서 더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선행 연구들에서 밝혀진 공간 기억과 시각 탐색간의 상호 간섭이 작업기억의 과부하보다는 공간적 주의의 과부하로 인한 것임을 시사한다.

  • PDF

시공간 작업기억 수행능력에 따른 안정상태에서의 뇌파 특성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EG in Resting State on Visuo-Spatial Working Memory Performance)

  • 정철우;이협의;위현욱;최남숙;박병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351-360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표준화된 종합주의력검사(CAT)의 소검사인 시공간 작업기억력 검사를 통해 얻어진 실험대상자의 안정상태 뇌파 활성차이로 시공간 작업기억력 수행능력을 예측할 수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실험 대상자는 2014년 12월 1개월 동안 학업 성취도와 무관한 31명의 일반적인 중학생 중 시공간 작업기억력 검사 후 순방향과 역방향 공간폭 결과에서 표준편차를 벗어난 7명과 6명이 선별되었고, 선별된 대상자를 각각 작업기억력 우수 집단(EWM)과 저하 집단(PWM)으로 구성하였다. 뇌파 측정과 뇌파 밴드별 상호 연관성을 통한 뇌기능 지수의 하위요소를 알아보기 위해 뇌기능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위한 통계 처리는 Mann-Whitney Test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순방향 작업 기억력 검사 결과 EWM과 PWM 집단 간 고베타파 활성도에서 좌뇌와 우뇌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저베타파 활성도에서는 우뇌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세타파와 알파파 활성도는 통계적 유의수준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결론적으로 시공간 작업기억 수행능력과 안정 상태시 고베타파와 저베타파 활성도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며 특히 시공간 작업기억 수행능력과 우뇌의 정신적 활동 및 사고능력과는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시공간 작업기억 수행능력을 안정 상태에서도 베타파의 활성도를 통해 예측할 수 있다는 점이 본 연구가 갖는 의의이다. 향후 뇌파의 활성도가 작업기억력 평가 도구와 근거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수량민감도와 시각작업기억 및 시각적 주의 간 개인차 연구 (A Study of Individual Differences across Numerosity Sensitivity, Visual Working Memory and Visual Attention)

  • 김기연;조수현;현주석
    • 감성과학
    • /
    • 제18권2호
    • /
    • pp.3-18
    • /
    • 2015
  • 인간의 수량지각은 선천적인 능력으로 생각되지만 그 민감도에 있어서는 개인차가 존재할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는 시각작업기억과 시각탐색 효율성 그리고 수량민감도 능력 간의 상관 여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변화탐지 수행 능력에 기초해 개인의 작업기억 저장용량을 정량화시킨 K-값, 시각탐색 효율성의 지표인 탐색함수의 기울기 그리고 두 점 배열내의 점 개수 간 수량 차이에 대한 민감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이들에 대한 상관 관계분석 결과 시각작업기억 고용량 개인의 경우 점 배열 간 위치 정보가 보전되었을 때 수량 차이에 상대적으로 저용량 개인에 비해 민감했던 반면, 시각탐색 고효율 개인의 경우 점 배열 간 위치 정보가 보전되지 않았을 때 수량 차이에 상대적으로 민감했다. 이러한 결과는 작업기억 고용량 개인들의 경우 점배열을 소수의 점 패턴 형태로 군집화하는 책략을 사용했을 가능성과 함께, 고효율 시각탐색이 가능한 개인들은 배열 내의 개별 점들에 대해 초점 주의를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이용하는 책략을 사용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종합해 볼 때, 개인들의 수량 민감도는 개인의 작업기억 용량 및 초점주의 이동의 효율성에 의존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 4판(K-WPPSI-IV)의 지능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e of Intelligence Measured by the K-WPPSI-IV)

  • 이경옥;박혜원;이상희
    • 아동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07-117
    • /
    • 2016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construct validity of K-WPPSI-IV. Factor structures of the structures of the K-WPPSI-IV full scale as well as primary index scales for two age ranges (2 years, 6 months to 3 years, 11 months; 4 years to 7 years, 7 months) were examined.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700 children aged 2 years, 6 months to 7 years, 7 months during the K-WPPSI-IV standardiza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K-WPPSI-IV subtest performances with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using Amos 18. Results: First, the three-factor model (verbal comprehension, visual spatial, and working memory) fitted best for the younger age range. However, the five-factor model (verbal comprehension, visual spatial, fluid reasoning, working memory, and processing speed) fitted best for the older age range. Residuals suggest the presence of two nested subfactors within the verbal comprehension factor (broad/expressive and focused/simple). Seco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primary index subtests identified factors that account for the intercorrelations among the reduced sets of primary index subtests. Conclusion: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theoretical structures of WPPSI-IV subtests were confirmed within K-WPPSI-IV.

물체 내부 윤곽선의 시각 작업기억 표상: 구멍이 있는 물체를 중심으로 (How is the inner contour of objects encoded in visual working memory: evidence from holes)

  • 김성호
    • 인지과학
    • /
    • 제27권3호
    • /
    • pp.355-376
    • /
    • 2016
  • 이차원 표면에 난 구멍은 이를 둘러싼 물체에 의해 경계 지워진 빈 배경임에도 불구하고, 구멍의 모양은 다른 물체만큼 쉽게 지각된다. 즉, 구멍은 전경-배경 조직화의 깊이-형태 간 연결 관계(depth-shape coupling)를 예외적으로 위반하여, 깊이 상으로는 배경임에도 불구하고 형태를 갖는 준-전경적(quasi-figural) 사례처럼 보인다. 구멍의 준-전경적 속성을 지지하는 연구들은 구멍과 물체의 재인율이 유사하다는 기억 과제 결과에 주로 의존하고 있으므로, 구멍 모양의 기억이 지각적 처리에 기반하고 있는지는 불분명하다. 본 연구는 재인 과제보다 즉각적인 지각 처리를 반영하는 변화탐지 과제를 이용하여, 구멍을 경계 짓는 물체의 안쪽 윤곽선이 시각 작업기억에 어떻게 표상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물체 내부에 다른 물체가 중첩된 접합 물체 조건과 구멍이 있는 물체 조건에서 안쪽 윤곽선과 바깥 영역의 색에 대한 변화탐지 수행을 비교하였다. 시각 작업기억의 선행 연구들은 형태나 방향과 같은 물체의 윤곽선 속성(boundary feature)이 표면 속성(surface feature)과 함께 통합되어 하나의 물체로 저장됨을 시사한다. 만일 구멍의 경계선이 구멍을 둘러싼 물체에 지각적으로 할당된다면, 이 경계선과 물체의 표면색이 통합적으로 부호화되는 물체 중심적 처리 이득으로 인해, 구멍 자극 조건에서 접합 자극 조건보다 높은 변화 탐지 수행이 예측되었다. 두 실험의 결과, 구멍 자극 조건의 변화 탐지 수행은 접합 자극 조건과 다르지 않았다. 이는 물체 내부의 윤곽선(구멍의 경계선) 속성이 물체의 표면 속성과 통합적으로 부호화되지 않으며, 구멍을 둘러싼 물체와 독립적으로 처리됨을 시사한다.

The Effects of Computerized Gaming Program on Cognition in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 Case Study

  • Kim, Seon Chil;Heo, Ju Young;Shin, Hwa Kyung;Kim, Byeong Il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30권5호
    • /
    • pp.193-198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f effectiveness between cognitive function assessment scores and gaming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impairment. Methods: Five children (male=5, $age=10.00{\pm}0.80$) with intellectual impairment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 that played (received) gaming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Neuroworld). The children were applied 2 times a week for 30 minutes during 3 months. The children were assessed K-WSIC-VI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fourth edition) and recorded that gained score in gaming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K-WSIC-VI contained five primary index scores: verbal comprehension index, visual spatial index, fluid reasoning index, working memory index, and processing speed index. Gaming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scoring was composed visual recall, target recall, sequence recall, selective attention, continuous attention, and exploration. Results: In the intelligence quotient (IQ) of K-WSIC-VI,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d in all children. The visual recall item was highest effective in all children. However, sequential recall showed the lowest improvement in all children. The performance speed of selective attention item was decreased, this means that children's skills have improved. Also, their ability to explore has improved significantly. Conclusion: In conclusion, gaming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was significant effectiveness in cognitive function in some categories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impairment. However, the visual recall and performance speed don't represent of all cognitive function. Therefore, further studies will need to verify by applying more subject and longer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