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gor rate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9초

강전정에 의한 저수고 감나무의 시비량 조절에 따른 수체 생장 및 과실 생장 반응 (Responses of Tree Growth and Fruit Production of Persimmon after Lowering Height by Heavy Pruning to Fertilization Rates)

  • 최성태;박두상;안광환;김성철;최태민;노치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36-141
    • /
    • 2013
  • 노동력 절감을 위해 감나무의 수고 낮추기가 일반화되고 있지만 수고를 심하게 낮춘 해에는 나무 세력이 강해져 과원 관리가 어려워지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시험은 동계전정 때에 강전정을 하여 3 m 이상의 수고를 약 2 m로 낮춘 12년생 '상서조생' 단감나무를 대상으로 수세 안정을 위한 시비량 조절 효과를 검토하였다. 관행 시비량을 기초로 4월 기비 (주당 N 224 g, $P_2O_5$ 172 g, $K_2O$ 172 g), 6월 추비(주당 N 112 g, $K_2O$ 99 g), 10월 추비 (주당 N 112 g, $K_2O$ 99 g)를 시용하는 관행시비구와 각 시기마다 관행시비구의 1/3, 2/3씩 주는 시비구 및 무시비구 등 4처리구를 두었다. 처리 당년에 무시비구는 관행시비구에 비해 신초장이 작고 불필요한 2차생장지 발생이 39% 줄었으나 수량과 과실 크기, 색도, 경도, 당도는 감소하지 않았다. 또한 시비구들간의 신초 및 과실의 반응에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듬해 3월에 채취한 휴면 가지의 가용성 당, 전분, 질소, 칼륨농도는 전년도 시비량에 따른 차이가 명확하지 않았다. 시비량이 동일했던 이듬해 신초장, 도장지 및 2차 생장지 발생, 수량 및 과실 특성은 전년도 시비량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수세 관리 및 시비 비용 절감 측면에서 강전정에 의한 수고 낮추기 당년에는 시비량을 관행의 1/3 이하로 줄여도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Effect of Pre-Sowing Treatments on Germination and Initial Seedling Growth of Castanopsis Indica- An Endangered Tree Species in Bangladesh

  • Hasnat, G.N. Tanjina;Hossain, Md. Akhter;Hossain, Mohammed Kamal;Uddin, Mohammad Mai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5권4호
    • /
    • pp.223-231
    • /
    • 2019
  • Castanopsis indica (Sil Batna) is an ecologically valuable multipurpose indigenous tree species of Bangladesh. Considering its high value but poor natural regeneration due to seed dormancy, the authors conducted an experiment at the Institute of Forestry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ittagong University (IFESCU) during 2012-2013 to find out effective pre-sowing treatments. Ten pre-sowing seed treatments were applied on mature, even-sized seeds namely-control; sandpaper rubbing; nail clipping; immersion in normal water (at room temperature: 24℃) for 24 hrs., 48 hrs. and 72 hrs.; immersion in hot water (80℃) for 1 minute; soaking in 10% dilute H2SO4; soaking in 10% HCl for 5 minutes; and sowing in propagator house. Seeds sown after sandpaper rubbing at the distal end revealed best performances by providing highest germination percent (66.7%), germination energy (30%), germination index (0.17), germination rate (0.0145), germination value (30%) and plant percent (66.7%) within shortest period (38 days). The treatment also produced most vigor seedlings with 20.9 cm shoot height, 15 node number, and largest leaves (11.1 cm×2.9 cm). Hence, it is recommended to adopt sandpaper rubbing method for maximum germination and quality seedlings.

Enhancement of Seed Germination and Uniformity in Triploid Watermelon (Citrullus lanatus (Thunb.) Matsum. and Nakai)

  • Phat, Phanna;Sheikh, Sameena;Lim, Jeong Hyeon;Kim, Tae Bok;Seong, Mun Ho;Chon, Hyong Gwon;Shin, Yong Kyu;Song, Young Ju;Noh, Jaejong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6호
    • /
    • pp.932-940
    • /
    • 2015
  • One of the main factors restricting production of triploid seedless watermelon is poor germination due to weak embryos, thick seed coats, and larger air spac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iming effects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hemicals, including hydrogen peroxide ($H_2O_2$), fusicoccin, and gibberellic acid (GA) on germination and seedling uniformity of triploid watermelon (Citrullus lanatus). Three commercial triploid cultivars, Seedless Plus, Sinus, and Sizero, were pretreated with water and different levels of $H_2O_2$ (2 and 4%), fusicoccin (FC: 1, 5, and $10{\mu}M$), and GA (1, 5, and $10{\mu}M$). The present findings helped to find optimal priming conditions for improving germination of triploid watermelon. Treatment with $5{\mu}M$ GA and hydropriming helped to break seed dormancy, enhancing the final germination percentages in all triploid cultivars and increasing the germination index in Sizero. These seed-priming treatments could be used on large scale for industrial applications. Moreover, hydropriming provides a simple, effective, and costless method to improve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vigor of Sinus and Sizero varieties.

인삼의 출아 및 생육 특성에 대한 생장조절물질의 영향 (Effects of the Growth Regulators on the Emergence and Growth of Panax ginseng C.A. Meyer)

  • 정찬문;안상득;권우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68-374
    • /
    • 1985
  • 생장조절물질인 GA, Kinetin 및 2,4-D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출아 및 생육특성을 조사하므로서 출아에 필요한 장기 저온기간의 단축 가능성을 탐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아의 출아는 처리물질중 GA효과가 가장 컸으며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조기출아되어 출아기간이 단축되었고 출아율도 높았다. 2. GA처리는 지상부 생육을 크게 신장시켰으며 특히 경장 엽병장의 신장을 촉진시켰다. 3. GA 50ppm, 100ppm처리구는 근중을 크게 증가시켰다. 4. GA처리농도가 높을수록 조기에 지상부 생육이 완료되었다. 5. 뇌포제거구는 무제거구에 비하여 출아가 다소 빠른 경향이나 생육은 대체로 비슷하였다.

  • PDF

배추 유식물의 생장과 항산화효소의 활성도에 미치는 저선량 방사선의 효과 (Effects of Low Dose Gamma Radiation on the Growth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of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L.) Seedlings)

  • 김재성;이영근;백명화;김동희;이영복
    • 환경생물
    • /
    • 제18권2호
    • /
    • pp.247-253
    • /
    • 2000
  • 저선량 ${\gamma}$선이 시판중인 배추 신규종자인 "만점" 배추와 묵은 종자인 "서림엇갈이" 배추의 발아와 초기생육 및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배추종자의 발아와 초기생육에 있어 신규종자에서는 별효과가 없었으나 묵은 종자에서는 촉진효과가 있었고 그 적정 선량은 1.0Gy와 2.0Gy였다. 배추유식물체의 엽록소 함량은 저선량 조사구가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조사선량의 증가에 따라 대체로 증가하였고, 저선량 조사에 의한 배추유식물체의 항산화효소 활성은 증가하였으나 낮은 선량에서 증가하였고 높은 선량에서는 감소하였다.가하였고 높은 선량에서는 감소하였다.

  • PDF

인삼에서 조기 화경출현개체의 생육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Early Peduncle Developing Plant in Korean Ginseng(Panax ginseng C.A. Meyer))

  • 정찬문;남기열;김요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92-97
    • /
    • 1989
  • 2년생 인삼에서 화경출현 개체와 비화경출현 개체를 구분 선정하여 이들 개체간의 년생별 생육 및 개화특성 그리고 형질간 상관관계를 비교 조사하여 화경출현 개체의 육종소재로서 활용성을 모색하고자 시험하였던 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년생에서 화경출현 개체는 비화경출현 개체에 비하여 경장, 엽장이 크고 장엽수가 많으 개체군에서 화경출현률이 높았다. 2. 2년생 시 화경출현 개체는 3,4년생에서도 2년생과 같은 경향으로 비화경 개체에 비하여 지상부 생육이 양호하였고 염실률, 근량도 증가되었다. 3. 착과수 및 근종과 상관이 높은 지상부 형질은 경직경, 경장, 엽장, 장엽수 등이었다. 4. 2년생 화경출현 개체의 3년생 지상부 형질 상관은 2년생 비화경 출현 개체의 4년생 지상부 형질상관과 진상을 보였다.

  • PDF

몇가지 식물에 있어서 어린순의 식품학적 가치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Basic Research of Development for Food of Seedling in Some Plants)

  • 박석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35-339
    • /
    • 1995
  • 최근 소비자들의 신선한 채소 요구에 따른 수요증가로 볼 때 어린순의 소비는 크게 늘어 날 것으로 보나 국내에서는 무순외에는 거의 개발이 안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약용식물중에서 어린순을 채소로 개발할 수 있는 것을 선발하고자 기초연구로써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실험에 사용된 12종의 식물중에서 가걱은 들깨, 메밀, 무등이 낮은 값을 보였다. 2. 발아율은 전체적으로 낮았으나 그중 무, 소엽, 메밀, 항금 및 들깨가 상대적으로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3. 발아세는 발아율보다 낮으며 그중 소엽, 무, 메밀 및 황금이 상대적으로 높은 발아세를 보였다. 4. 식미특성중 외관상으로 무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5. 맛은 황금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6. 조직감은 메밀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7. 기호도는 소엽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 PDF

Biological Control of Alternaria Fruit Rot of Chili by Trichoderma Species under Field Conditions

  • Begum, Most. Ferdousi;Rahman, M.A.;Alam, M. Firoz
    • Mycobiology
    • /
    • 제38권2호
    • /
    • pp.113-117
    • /
    • 2010
  • Trichoderma strains were evaluated under field conditions to assay their efficacy in suppressing Alternaria fruit rot disease and promoting chili plant growth.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t the Botanical Garden, Rajshahi University, Bangladesh from July 2006 to March 2007. Application of Trichoderma harzianum IMI 392432 significantly (p = 0.05) suppressed the disease compared to Alternaria tenuis (T2) treatment and improved both growth and yield. The treatment T4 (T. harzianum IMI-392432 + A. tenuis) was most effective in reducing disease percentage (72.27%) compared to A. tenuis (T1) treatment. The highest seed germination rate (85.56%) and the highest growth and yield (12.5 g/plant) was also recorded in the same treatment (T4), followed by T5 (T. harzianum IMI-392433 + A. tenuis), T6 (T. harzianum IMI-392434 + A. tenuis), T2 (T. virens IMI-392430 + A. tenuis), and T3 (T. pseudokoningii IMI-392431 + A. tenuis) treatment, while single treatment with A. tenuis significantly decreased these values.

Effect of Cold Stratification and Gibberellin Treatment on Androsace septentrionalis L. Seed Germination

  • Dong-Hak Kim;Seungju Jo;Jung-Won Sung;Jung-Won Yoo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80-587
    • /
    • 2023
  • Androsace septentrionalis is a grass species restricted to North Korea; however, it is at the brink of extinction due to habitat loss and environmental changes caused by natural disasters and anthropogenic activit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haracterize the dormancy conditions of A. septentrionalis in an effort to conserve this North Korean plant resource. For this purpos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vigor of A. septentrionalis seeds were examined, and its germination characteristics under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15/6℃ and 25/15℃ ), low-temperature stratification, and gibberellin (GA3) treatment were determined. The results revealed that A. septentrionalis exhibits non-deep type morpho-physiological dormancy, and low-temperature stratification treatment was not effective in breaking the dormancy of A. septentrionalis seeds. Meanwhile, GA3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mean germination time, rate, and speed of the seeds.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germination of A. septentrionalis seeds were 25/15℃ fluctuating temperature and 500 mg·L1 GA3 trea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useful for the mass propagation of A. septentrionalis.

토양수분(土壤水分)이 Populus alba × P. glandulosa 및 교배양친수(交配兩親樹)의 삽목발근(揷木發根)과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Soil Moisture Content Affecting Rooting of Cutting and Height Growth of Populus alba × P. glandulosa and Parents)

  • 손두식;신종복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6권1호
    • /
    • pp.74-78
    • /
    • 1984
  • P. alba ${\times}$ P. glandulosa 및 P. glandulosa의 삽목발근(揷木發根)과 생장(生長)에 가장 적합한 Soil water potential (${\Psi}_s$)은 -0.05 bars이었고, 토양수분(土壤水分)이 적합할 때는 생장(生長)이 양호(良好)하였으나 ${\Psi}_s$=-0.5bars 이하(以下)에서는 모두 불량(不良)한 생장(生長)을 하였고 수종간(樹種間)에 큰 차(差)가 없었다. 특(特)히 P. alba ${\times}$ P. glandulosa는 토양수분(土壤水分)이 충분할 때는 생장(生長)에 대한 잡종강세(雜種强勢)의 현상(現象)이 나타났으나 토양수분(土壤水分)이 부족할 때는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aspen은 삽목발근(揷木發根)이 전연(全然) 안되는데 반하여 P. glandulosa는 삽목발근율(揷木發根率)이 낮기는 하지만 23%나 되는 것은 P. alba의 삽목발근인자(揷木發根因子)가 유인(流人)된 것으로 간주된다. 그리고 P. glandulosa는 외부형태적(外部形態的)으로 사시나무와 은백양의 잡종으로 간주하고 있다. 또한 생장(生長)도 은백양과 사시나무의 중간 정도이며 토양수분(土壤水分)에 대한 생장(生長)의 민감도는 은백양과 비슷한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P. glandulosa가 은백양과 사시나무의 자연잡종임을 뒷받침 해주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