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brio spp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28초

제주 차귀도 연안해역의 종속영양세균 분포 및 이화학적 특성 (Distribution of Heterotropic Bacteria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 the Chagwi-Do Coastal Waters, Jeju Island)

  • 문영건;여인규;허문수
    • 환경생물
    • /
    • 제25권4호
    • /
    • pp.336-341
    • /
    • 2007
  • 2004년 9월, 11월 그리고 2005년 2월 총 3회에 걸쳐 제주 차귀도 연안해역 10개 정점 표층수와 저층수에서 종속영양세균의 개체수를 조사하였고, 또한 해당 해역 수질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2004년 9월, 11월 그리고 2005년 2월에 종속영양세균의 수는 각각 표층수에서는 $3.5\times10^1\sim1.16\times10^3\;cfu\;mL^{-1}$, $0.4\times10^1\sim5.6\times10^1\;cfu\;mL^{-1}$, $0.4\times10^1\sim7.8\times10^1$ 그리고 저층수에서는 $4.5\times10^1\sim1.0\times10^3\;cfu\;mL^{-1}$, $1.2\times10^1\sim1.5\times10^2\;cfu\;mL^{-1}$, $0.4\times10^1\sim4.4\times10^1\;cfu\;mL^{-1}$가 검출 되었다. 또한 조사해역의 수온, pH, 염분 및 COD, DO, 총 인, 총 질소, 투명도 그리고 부유물질을 분석하여 보았는데 수온이 높은 2004년 9월에 그 수치가 조금 높았을 뿐 해역수질 환경기준에 있어 1등급에 만족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2004년 9월, 11월, 2005년 2월 각 정점별 표층수와 저층수에서 우점적으로 자란 colony를 순수 분리하여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종속영양세균의 우점종을 비롯한 종속영양세균 군집을 분석한 결과 표층수와 저층수에서 Vibrio spp.와 Pseudoalteromonas spp.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에 Psuedomonas spp, Bacillus spp., Alteromonas spp., Aeromonas spp., Psychrobacter spp., Flavobacterium spp.가 조사 되었다.

소라(Batillus cornutus)의 비브리오균 감염에 의한 폐사 (Mortality of the Horned Turban Shell, Batillus cornutus Caused by Vibrio spp)

  • 이정재;허문수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9-55
    • /
    • 1999
  • 양식장에서 폐사하였거나 실활 상태의 소라를 채집하여 호염성 세균을 분리하고 이들 세균중 건강한 소라에 병원성을 나타내는 두 종의 세균에 대하여 형태, 생리적 시험을 행한 결과 Vibrio alginolyticus와 Vibrio anguillarum biovar I으로 동정되었다. 이들 두 종의 세균은 공히 25-3$0^{\circ}C$ 부근에서 가장 잘 생육하였고, 염분농도는 해수보다 약간 낮은 3%내외가 최적 발육농도였다. 이들 두 종의 세균에 심하게 감염된 소라는 아가미의 괴사가 일어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두 종 세균의 급작스런 증식과 소라자체의 환경변화에 따른 활력의 상실 등 복합적인 제반 요인이 동시에 작용될 때 발병이 유발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Vibrio Species Using Whole-Cell Protein Pattern Analysis

  • Lee, Chae-Yoon;Hong, Yeun;Ryu, Jio;Kim, Young-Rok;Oh, Sang-Suk;Lee, Soon-Ho;Hwang, In-Gyun;Kim, Hae-Ye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8호
    • /
    • pp.1107-1112
    • /
    • 2012
  • Outbreaks of foodborne diseases associated with Vibrio species such as V. parahaemolyticus, V. vulnificus, and V. cholerae frequently occur in countries having a dietary habit of raw seafood consumption. For rapid identification of different Vibrio species involved in foodborne diseases, whole-cell protein pattern analysis for 13 type strains of 12 Vibrio species was performed using SDS-PAGE analysis. Pathogenic Vibrio species such as V. parahaemolyticus, V. vulnificus, V. cholerae, V. alginolyticus, V. fluvialis, and V. mimicus were included in the 12 Vibrio species used in this study. Each of the 12 Vibrio species showed clearly specific band patterns of its own. Two different strains of V. parahaemolyticus showed two different SDS-PAGE whole-cell protein patterns, giving the possibility of categorizing isolated strains in the same V. parahaemolyticus species into two subgroups. The 36 Vibrio isolates collected from sushi restaurants in Busan were all identified as V. parahaemolyticus by comparing their protein patterns with those of Vibrio type strains. The identified isolates were categorized into two different subgroups of V. parahaemolyticus. The whole-cell protein pattern analysis by SDS-PAGE can be used as a specific, rapid, and simple identification method for Vibrio spp. involved in foodborne diseases at the subspecies level.

해수에서의 Vibrio spp. 의 분리ㆍ동정

  • 박미연;박찬웅;장동석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2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44-145
    • /
    • 2002
  • 어패류를 날 것으로 즐겨먹는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매년 여름철이면 병원성 비브리오균에 의한 식중독 사고가 많이 발생한다.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40 여종의 비브리오균 중 12종이 사람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주로 문제를 일으키는 것은 Vibrio parahaemolytius, V. vulnificus 등 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V. cholerae non-Ol의 병원성에 관한 연구도 많으며, 특히 2001년에는 우리나라에서 발생율이 희박하던 V. cholerae Ol에 의한 환자가 140명을 상회하는 대형사고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중략)

  • PDF

Vibrio fluvialis의 세포외 Hemolysin(용혈소)에 관한 특성

  • 허문수;송춘복;이제희;여인규;이미헌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455-456
    • /
    • 2000
  • 병원성 Vibrio spp등의 추정되는 병원성 인자들로서는 Hemolysin(용혈소) Protease, Phospholipase와 Siderophores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이 가운데 Hemolysin 은 공통인자로 중요시되어 왔다. V. fluvialis는 자연환경에서도 분리가능 하였지만, 임상에서도 분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병원성 비브리오속인 V. fluvialis의 용혈소를 분리정제하여 그 물리화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중략)

  • PDF

ANALYSIS AND MANIPULATION OF CANDIDATE GENES FOR DIARRHEAL DISEASE VACCINE DEVELOPMENTS

  • Kim Young-Chang
    • 한국미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학회 2000년도 International Meeting 2000
    • /
    • pp.58-65
    • /
    • 2000
  • Diarrheal diseases are a major cause of both illness and death in developing countries and are caused by rotavirus, Shigella spp., Salmonella spp.,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ETEC), and Vibrio spp. In this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vaccine against diarrheal diseases caused by Shigella sonei, Salmonella typhimurium, E. coli O157, and Vibrio cholerae, cloning and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of genes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gene products in E. coli were performed. For construction of attenuated strain of S. sonnei KNIH104 and Salmonella typhimurium KNIH100, the aroA genes were cloned, respectively. The recombinant plasmid $_pJP{\Delta}A45$ containing aroA deleted region and suicide vector $(_pJP5603)$ was constructed. The aroA gene deleted mutants were constructed using this recombinant plasmid. For cloning gene encoding antigenic region of E. coli O157 KNIH317, the O-antigen synthesis gene cluster and sit gene was cloned. The E. coli XL1-Blue cells harboring this recombinant plasmid showed cytotoxicity in Vero cells. The ctx gene was cloned for tile purpose of antigenic region against V. cholerae KNIH002. Sequenc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virulence gene cassette was consisted of ace, zot, ctxA and ctxB genes.

  • PDF

광양만에서 TBTCl (Tributyltin Chloride) 내성세균의 분리 및 분해활성 (Isolation and Degradation Activity of a TBTCl (Tributyltin Chloride) Resistant Bacteriain Gwangyang Bay)

  • 정성윤;손홍주;정남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24-431
    • /
    • 2011
  • 본 연구에서 우리는 광양만의 해수와 표층 퇴적물에서 TBTCl 내성세균의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광양만에서 TBTCl 내성세균의 개체수는 해수에서 $2.5{\times}10^3-3.8{\times}10^3$ cfu/mL 범위였으며, 표층 퇴적물에서 TBTCl 내성세균의 개체수는 $3.2{\times}10^5-9.1{\times}10^5$ cfu/g 범위였다. 광양만에서 TBTCl 내성세균의 종조성은 Vibrio spp. (19.2%)가 가장 높은 우점종으로 나타났고, Bacillus spp. (16.2%), Aeromonas spp. (15.2%), Pseudomonas spp. (13.1%), Klebsiella spp. (11.1%), Alteromonas spp. (9.1%), Pantoea spp. (6.1%), Proteus spp. (3.0%), Listeria spp. (2.0%), unidentified (5.0%)의 순으로 우점하였다. 또한 11개의 대표적인 TBTCl 내성균주는 여러 중금속들(Cd, Cu, Hg 및 Zn)에도 내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중에서 가장 강한 TBTCl 내성을 보이는 T7 균주를 선별하여, API 20NE등을 이용하여 본 균주의 형태학적, 생리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들을 조사하였다. T7 균주는 16S rRNA gene 염기서열 분석에 의해 Pantoea 속으로 동정되어 Pantoea sp. T7으로 명명되었다. 또한 본 균주는 $500{\mu}M$의 TBTCl 농도에서도 60시간 배양 후에 정상 균주 성장의 50.7%까지 증식하였다. Pantoea sp. T7의 생물학적 TBTCl 분해활성은 GC-FPD 분석에 의해 측정되었는데, $100{\mu}M$의 TBTCl 농도에서 배양 40시간 후에 TBTCl 제거 효율은 62.7%로 나타났다.

제주도 내 제주시 해안가 저지대용천수의 미생물학적 오염도 조사 (Microbiological Pollution Investigation of Lowland Spring Water at the Jeju City Waterfront, Jeju Island)

  • 김만철;한용재;허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24-331
    • /
    • 2012
  • 본 연구는 2010년 1월부터 4월까지 제주도 제주시 해안가에 위치한 21곳의 용천수를 대상으로 하여 미생물학적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용천수의 이화학적 분석 및 수질환경기준에 포함되는 병원성 미생물외에 식중독 유발 및 인체에 유해한 식품병원성 미생물 중 총대장균군수, 분원성대장균,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spp., Shigella spp., Vibrio parahaemolyticus를 조사하였다. 이화학적 검사 결과 용천수의 평균 수온 값은 $15.4{\pm}0.63^{\circ}C$를 나타냈으며, 염분농도의 평균값은 $1.6{\pm}3.01$‰, pH 조사결과 $7.86{\pm}0.43$로 전반적으로 pH 7~8 범위안의 조사결과를 얻었으며, 용존산소량(DO)은 조사결과 $6.06{\pm}1.86$ mg/l로 대부분의 지점에서 평균 6~7 mg/ml의 용존산소량을 보였다. 용천수의 미생물학적 검사 결과 전체 정점별로 총대장균군 범위는 <1.8->1,600 MPN/100 ml로 조사되었으며, 분변계대장균의 경우 <1.8->1,600 MPN/100 ml를 나타냈다. 분변계대장균수의 범위를 정점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용천수 정점 1번, 2번, 10번, 11번을 제외한 모든 정점에서 기하평균치가 14 MPN/100 ml 이상의 평균값을 나타냈으며, 그중 3번, 16번 정점에서 기하평균치값 100 MPN/100 ml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조사한 21곳의 용천수에서 E. coli O157:H7은 검출되지 않았다.

전처리 방법이 무청의 표면 미생물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treatment Method on the Surface Microbes of Radish (Raphanus sativus L.) leaves)

  • 구경형;이경아;김영림;이명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649-654
    • /
    • 2006
  • 품종별 무청의 표면 미생물 분포와 중심합성계획과 반응 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물세척, 마이크로웨이브처리 및 스팀처리를 독립변수로 두고, 이들 전처리 조건에 따른 표면미생물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무청 품종에 관계없이 병원성 미생물인 Salmomella spp., Camphylobacter spp., Vibrio spp., Shigella spp., Staphylococcus spp., Enterococcus spp. 및 Pediococcus spp.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총균수의 경우는 품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었는데, $3.90{\times}10^5{\sim}1.20{\times}10^7CFU/g$의 범위를 보였고, 대장균군은 $1.10{\times}10^2{\sim}2.00{\times}10^5CFU/g$, 효모/곰팡이는 $2.40{\times}10^3{\sim}3.55{\times}10^6CFU/g$을 보인 반면 젖산균은 검출되지 않은 시료도 있었다. 또 전처리 방법에 따른 무청의 잔존 미생물의 감균 효과가 가장 좋은 전처리 방법은 스팀처리 방법이었다. 원료 무청의 각각의 전처리 방법을 독립변수(independent variables)로 하고, 총균수, 젖산균수 및 효모/곰팡이균수를 종속변수(dependent variables)로 하여 회귀 분석한 결과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R^2$값이 각각 0.89, 0.87, 0.85로 상관성이 높았으며, 물세척 횟수에 의한 감균 효과는 제한적이므고 마이크로웨이브처리나 스팀처리를 병행하여야 효과적이었다.

In vitro에서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damselae와 Vibrio 속 세균의 병원성 비교 (Comparative study of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damselae and Vibrios on pathogenicity in vitro)

  • 권문경;김명석;조병열;김진우;박수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1-81
    • /
    • 2007
  •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병어에서 분리된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damselae와 Vibrio spp.(V. anguillarum, V. splendidus, V. harveyi and V. ordalii)의 병원성을 in vitro에서 조사하였다. Extracellular products (ECPs)의 성상은 효소 활성, 양과 넙치 적혈구에 대한 용혈능과 cell-line에 대한 세포 독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세균의 internalization에서 signal transduction pathways를 signal transduction inhibitor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P. damselae는 phospholipase 활성, 넙치 적혈구에 대한 용혈능, 세포독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분리된 vibrios 균주에 비하여 internalization에서 다양한 경로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러한 활성은 P. damselae의 병원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