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ntilation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635건 처리시간 0.026초

직화구이 음식점 방지시설의 오염물질 저감 효과 평가 - 전기집진방식을 중심으로 - (Evaluation of Removal Efficiency in Emission Pollutants by Air Pollution Prevention Facilities from Meat Grilled Restaurants - Focus o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

  • 서장원;김영일;이희선;김지훈;김영두;신진호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15-123
    • /
    • 2021
  • The emission gas from meat grilled restaurants has unpleasant odor and sticky particulate matters (PM) in form of oil mist. This affects the residents living nearby. In oder to decrease the odor and PM, electrostatic precipitators (ESP) were installed at several restaurants by support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PM and odor were investigated. The removal efficiency of odor and PM at before- and after-ESP was that total hydrocarbon (THC), NH3, H2S, acetaldehyde, butyraldehyde were not much decreased. Total suspended particles (TSP) emitted from the vent was below the value of 7 mg/m3 regardless of the concentration of before-ESP and removal efficiency was in the range of 64 ~ 86%. The ratio of PM1.0 to PM10 of emission gas was over 0.9. So it was revealed that most PM of emission gas was PM1.0. The PM concentration in the air of the street near the vent was higher than another street due to the emission gas and the PM of indoor air of restaurant grilling meats was measured very high compared to outdoor air. So it needs more powerful ventilation of indoor air.

인화성액체 취급 연구실의 폭발위험장소 구분에 관한 기준 적용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riteria for the Classification of Explosive Hazardous Areas in Flammable Liquid Handling Laboratories)

  • 김민호;이준서;김은희;마병철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8
    • /
    • 2022
  • 화학 산업의 발전에 따라 관련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그 가운데 화재·폭발 사고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화재 · 폭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인화성액체를 취급하는 장소 등은 관련 법령에 근거하여 한국산업표준(KS C IEC60079-10-1)에 따라 폭발위험장소를 구분하도록 하고 있다. 이는 인화성액체를 취급하는 연구실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실에서 인화성액체가 누출되어 증발 풀(pool)을 형성하는 경우 한국산업표준에 따른 폭발위험장소 구분 절차의 적용성과 환기속도의 변화가 누출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실과 같은 장소는 한국산업표준에 따른 폭발위험장소 구분에 대한 기준적용이 어려우며, 별도의 안전대책이 마련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신종 감염병 대비를 위한 기존 의료시설의 비상시 운영사례 조사 및 분석 (Investigations on the emergency operation status of existing medical facilities to prepare for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in the post-COVID-19 era)

  • 이세진;이원석;김은석;여명석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9권1호
    • /
    • pp.43-51
    • /
    • 2023
  • Purpose: To accommodate the increasing number of pati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numerous portable HEPA filter units (PHUs) were installed in the general wards of existing medical facilities(EMFs) to convert them into emergency conversion facilities (ECF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uild a dataset in preparation for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in the post-COVID-19 era by analyzing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ECFs. Methods: Field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during ECF operation periods based on the analysis of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HAVC) system design documents for six ECFs across Korea.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acility managers during the field investigations. Results: When constructing an ECF within an EMF, the installation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system should be considered. Field investigations and verifications of the operation of HAVC systems must be conducted beforehand for smooth ECF operations. If heating and cooling are required with indoor air circulation type equipment in an ECF zone, the implementation of a heating and cooling method that can satisfy the comfort requirements of the occupants while minimizing cross-contamination is essential. When using PHUs that do not meet the performance standards required by medical equipment, the noise level resulting from such equipment operation must be evaluated and improved. Implications: For EMFs, various guidelines that can be referred to for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ECFs must be developed to prepare for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in the future.

Outcomes of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in COVID-19: A Single-Center Study

  • Sahri Kim;Jung Hyun Lim;Ho Hyun Ko;Hong Kyu Lee;Yong Joon Ra;Kunil Kim;Hyoung Soo Kim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7권1호
    • /
    • pp.36-43
    • /
    • 2024
  • Background: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can lead to acute respiratory failure, which frequently necessitates invasive mechanical ventilation and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However, the limited availability of ECMO resources poses challenges to patient selection and associated decision-making. Consequently, this retrospective single-center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and clinical outcomes of patients with COVID-19 receiving ECMO. Methods: Between March 2020 and July 2022, 65 patients with COVID-19 were treated with ECMO and were subsequently reviewed. Patient demographics, laboratory data, and clinical outcomes were examined, and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to identify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mortality. Results: Of the patients studied, 15 (23.1%) survived and were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while 50 (76.9%) died during their hospitalization. The survival group had a significantly lower median age, at 52 years (interquartile range [IQR], 47.5-61.5 years), compared to 64 years (IQR, 60.0-68.0 years) among mortality group (p=0.016).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other underlying conditions or in factors related to intervention timing. Multivariable analysis revealed that the requirement of a change in ECMO mode (odds ratio [OR], 366.77; 95% confidence interval [CI], 1.92-69911.92; p=0.0275) and the initiation of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RRT) (OR, 139.15; 95% CI, 1.95-9,910.14; p=0.0233)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mortality. Conclusion: Changes in ECMO mode and the initiation of CRRT during management were associated with mortality in patients with COVID-19 who were supported by ECMO. Patients exhibiting these factors require careful monitoring due to the potential for adverse outcomes.

Clinical Manifestations and Outcomes of Older Patients with COVID-19: A Comprehensive Review

  • Jeong Eun Lee;Da Hyun Kang;So-Yun Kim;Duk Ki Kim;Song I Lee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7권2호
    • /
    • pp.145-154
    • /
    • 2024
  • The consequences of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are particularly severe in older adults with a disproportionate number of severe and fatal outcomes. Therefore, this integrative review aim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management approaches, and prognosis of older patients diagnosed with COVID-19. Common clinical presentations in older patients include fever, cough, and dyspnea. Additionally, preexisting comorbidities, especially diabetes and pulmonary and cardiovascular diseases, were frequently observed and associated with adverse outcomes. Management strategies varied, however, early diagnosis, vigilant monitoring, and multidisciplinary care were identified as key factors for enhancing patient outcomes. Nonetheless, the prognosis remains guarded for older patients, with increased rates of hospitalization, mechanical ventilation, and mortality. However, timely therapeutic interventions, especially antiviral and supportive treatments, have demonstrated some efficacy in mitigating the severe consequences in this age group. In conclusion, while older adults remain highly susceptible to severe outcomes from COVID-19, early intervention, rigorous monitoring, and comprehensive care can play a pivotal role in improving their clinical outcomes.

중증 지역사회획득 폐렴의 임상상 및 예후 예측인자에 관한 연구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tic Factors of Severe Community-Acquired Pneumonia)

  • 오흥국;서지영;김동규;최정은;모은경;박명재;이명구;현인규;정기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5호
    • /
    • pp.1072-1082
    • /
    • 1997
  • 연구배경 : 중증 지역사회획득 폐렴은 진단방법의 향상, 항생제의 개발, 조기진단 및 치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중증 지역사회획득 폐렴의 임상적 특정을 분석하고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규명하여 치료 및 예후 판정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방 법 : 1989년 1월부터 1996년 7월까지 한림대학교 의료원에 내원한 40명의 중증 지역사회획득 폐렴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원인균 동정을 위해 객담배양, 혈액배양, 기관지폐포세척액배양 및 Mycoplasma pneumoniae에 대한 항체검사를 시행하였고, 초치료로 2세대 혹은 3세대 cephalosporin, amoxicillin/clavulanic acid 등이 사용되었으며 aminoglycoside와 macrolide가 상황에 따라 병용 투여되었다. 대상군을 생존군과 사망군으로 분류하여 연령, 흡연 및 알콜중독 유무, 기저질환 유무, 저산소 혈중, 기계적 환기의 필요, 흉부 방사선상 양측성 폐 침윤 소견, 분당 호흡수, 쇼크의 유무, 혈중요소질소 및 알부민 농도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남자가 2.07 : 1의 비율로 많았고 평균 연령은 $63.1{\pm}17.5$세(범위 : 25~90세)였으며 60세 이상이 65%로 다수를 차지하였다. 흡연자가 62.5%, 알콜중독자가 30%였고, 60%에서 기저질환이 발견되었으며 종류별로는 과거의 폐결핵 병변(12.5%), 만성 폐쇄성 폐질환(7.5%), 기관지 천식(5%), 기관지 확장증(2.5%), 당뇨병(22.5%) 등이었다. 가장 흔한 원인균은 S. Pneumoniae로 17.5%였으며 S. aureus 15%, K. pneumoniae 13.5%, Mycobacterium tuberculosis 7.5%였고 그 외에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 H. influenzae, P. aeruginosa, E. cloaceae, E. coli가 각각 2.5%씩 동정되어 65%의 동정율을 나타내었다. 단독 및 병용요법에서 흔히 사용된 항생제는 aminoglycoside계(75% : 30/40), 2세대 및 3세대 cephalosporin계(40% : 16/40, 27.5% : 11/40), macrolide계(27.5% : 11/4), amoxicillin/clavulanic acid(22.5% : 9/40)의 순이었다. 사망률은 37.5%였으며 사망환자의 50%가 입원후 72시간 내에 사망하였다.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기계적 환기의 필요, 흉부 방사선 소견상 양측성 폐침윤, 혈중 알부민 농도의 저하(3.0g/dl 이하)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나타난 중중 지역사회획득 폐렴의 임상적 특징과 예후인자를 바탕으로 적절한 항생제의 선택과 초기에 적극적인 진료로 치료성적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소아 주폐포자충 폐렴의 임상양상, 위험인자 및 예방요법의 효과 연구 (Clinical Characteristics, Prognostic Factors and Influence of Prophylaxis in Children with Pneumocystis jirovecii Pneumonia)

  • 김서희;유리나;성흥섭;이진아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3권1호
    • /
    • pp.31-39
    • /
    • 2016
  • 목적: 국내 소아에서 발생한 PCP의 예후와 관련된 인자들과 PCP 예방요법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방법: 2002년 1월부터 2015년 4월까지 최근 13년간 서울아산병원 어린이병원에서 면역형광법 및 PCR 검사를 통해 PCP로 확진된 18세 이하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PCP 예방요법 유무에 따른 임상경과의 차이 및 PCP 관련 사망의 위험 요소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24명의 PCP 확진 환자의 진단시 나이는 5세 3개월(범위, 3개월-18세)였고, 모두 기저질환을 동반하였으며, 23명(95.8%)은 혈액질환 또는 조혈모세포이식(15명), 고형장기 이식(4명) 및 일차성 면역결핍 질환(4명) 등의 면역저하 환자였다. PCP 진단시 기침과 빈호흡이 가장 흔한 증상이었으며(각각 92%), 79%에서 발열이 동반되었다. 호흡부전 및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발현한 경우는 19명(79%) 및 6명(25%)이었고, PCP 경과 중 8명(33%)은 기계환기가 필요하였으며 PCP 관련 사망률은 21% (5명)였다. 진단시 다발성 장기부전 동반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사망 예측 인자였다(OR, 17.1 [95% CI 1.13-257.67]; P=0.04). 진단 1개월 이내에 적절한 PCP 예방요법이 시행된 경우는 12명(50%)였고, PCP 예방요법을 시행한 군에서 진단시 다발성 장기부전 동반이 적었으며(P=0.014), 치료 중 기계적 환기요법의 사용한 경우 및 재원일수가 유의하게 적었다(각각 P=0.027, 0.021). 고찰: PCP 진단시 다발성 장기부전이 동반된 경우 사망률이 높았으며, PCP 예방요법을 시행한 군에서도 PCP가 발생하였으나 상대적으로 양호한 임상 경과를 보였다. 추후 소아의 PCP 발생의 위험 요인 및 적절한 예방요법의 구축을 위한 장기적인 전향적 연구가 필수적이다.

한남금북·금북정맥 일대의 찬공기 특성 분석을 통한 청주시 찬공기 관리방안 (Analysis and Management Strategies of the Cold Air Characteristics in Hannamgeumbuk-Jeongmaek and Geumbuk-Jeongmaek)

  • 손정민;엄정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52-171
    • /
    • 2019
  • 본 연구는 한남금북정맥과 금북정맥을 대상으로 정맥에서 생성되는 찬공기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였다. 또한 한남금북정맥에 위치한 청주시를 대상으로 상세 찬공기 흐름을 파악한 후 관리전략을 제안했으며, 청주시 내에 설치된 지상기상관측소의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정맥의 야간기온저감 특성을 분석하였다. 찬공기 특성 분석을 위해서 독일에서 개발된 KALM(Kaltluftabflussmodell) 모형을 활용하여 야간 6시간 동안 생성되는 찬공기 흐름 및 풍속, 그리고 찬공기 층 높이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정맥에서 생성되는 찬공기는 강해졌으며, 특히 한남금북정맥의 서쪽과 금북정맥의 북쪽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찬공기 생성 360분 경과 후에는 평균적으로 약 0.45m/s의 찬공기 풍속이 분석되었으며, 최대 2.70m/s의 풍속이 관찰되었다. 찬공기 층 높이는 평균적으로 104.27m, 최대 255.00m의 두께로 쌓였다. 청주시의 찬공기 흐름의 풍속은 상당구가 0.51m/s로 평균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찬공기 층의 높이는 흥덕구가 48.87m로 높게 분석되었다. 야간기온저감 효과 분석 결과는 찬공기 층이 높은 청남대관측소($-3.8^{\circ}C$)에서 저감정도가 가장 크게 나타남으로써, 정맥에서 생성된 찬공기의 영향이 야간기온저감에 효과를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찬공기 특성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찬공기 생성이 활발한 정맥의 주요 산지 일대를 '온도조절기능 보전지역'으로 지정하여 현재의 산림 및 지형 보전에 대해 제안했으며, 생성된 찬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주는 지역을 '온도조절기능 확대지역'으로 지정하여 정맥의 기능을 보완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남금북정맥과 금북정맥의 체계적인 관리계획을 수립하고, 향후 청주시의 바람길 계획 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와 라이노바이러스의 단독 혹은 동시감염의 역학 및 임상적 특성: 강원 지역 단일 기관의 후향적 연구 (Single or Dual Infection with Respiratory Syncytial Virus and Human Rhinovirus: Epidemiolog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in Hospitalized Children in a Rural Area of South Korea)

  • 권예림;조원제;김황민;이정민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6권2호
    • /
    • pp.99-111
    • /
    • 2019
  • 목적: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와 라이노바이러스(hRV)는 소아의 호흡기 바이러스감염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본 연구는 RSV 혹은 hRV 감염으로 입원하는 소아의 역학, 임상적 특성, 혈액 검사 결과를 분석하고, 각 바이러스 단독 감염과 동시 감염 간의 임상적 특성 및 혈액 검사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4년 10월부터 2017년 4월까지 매년 10월부터 4월 사이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소아청소년과에 호흡기 증상으로 입원한 만 5세 미만의 환아 중, 비강인두도말 검체로 다중 역전사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를 시행하여 RSV 혹은 hRV가 검출된 사례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강원 지역 소아 호흡기 환자의 multiplex RT-PCR 바이러스 검출 패턴 상, RSV는 늦가을부터 초봄 사이, hRV는 연중 고르게 분포하였다. RSV 혹은 hRV가 검출된 총 384례 중 RSV는 258례(R group), hRV는 99례(H group)에서 단독으로 검출되었고, RSV와 hRV의 동시 검출은 27례에서 있었다(RH group). R군의 연령 중앙값은 6개월이었으며, 248례(96.1%)가 하기도 감염이었다. 산소치료는 14례(5.4%)에서 있었다. 12개월 미만의 영아가 반수 이상을 차지하였고(63.2%) 호흡곤란, 산소치료가 많았다. H군의 연령 중앙값은 16개월이었으며, 56례(56.6%)가 하기도 감염이었다. 산소치료는 4례(4.0%), 기계 호흡은 1례(1.0%)에서 시행하였다. 영아(40.4%)는 12개월 이상 환자보다 재원기간이 길었다(5 vs. 4 days, P<0.05). RH군의 경우 24례(88.9%)가 하기도 감염이었고, 산소치료는 2례(7.4%)에서 있었다. RH군은 R군 및 H군과 비교하여 재원기간, 산소치료 및 기계 호흡의 비율에 차이가 없어, 동시 감염과 단독 감염의 유의한 중증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RSV는 hRV보다 더 어린 연령에서 잘 이환되고 하기도 감염의 비율이 높았다. 동시 감염된 환자의 임상증상은 RSV 감염의 특성이 보다 반영되었고, 단독 감염에 비해 중증도에 차이는 없었다.

대학건물 실내 에어로졸입자의 입경별 질량농도 특성 (Characteristics of Size-segregated Mass Concentrations of Indoor Aerosol Particles in University Buildings)

  • 서정민;왕빈;장성호;박정호;최금찬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53-461
    • /
    • 2014
  • Objective: Based on the fact that fine particles are more likely to produce negative influences on the health of occupants as well as the quality of indoor air compared to coarse particles, it is critical to determine concentrations of aerosol particles with different sizes. Thus, this study focused on the size distribution and concentrations of aerosol particles in university buildings. Method: Aerosol particles in indoor air were collected from four areas: corridors in buildings(In-CO), lecture rooms(In-RO), laboratories(In-LR), and a cafeteria(In-RE). Samples were also collected from outside for comparison between the concentrations of indoor and outdoor particles. For the collection of the samples, an eight stage non-viable cascade impactor was used. Result: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PM_{10}$ in the samples collected from indoor areas was $34.65-91.08{\mu}g/m^3$,and the average for $PM_{2.5}$ was $22.65-60.40{\mu}g/m^3$. The concentrations of the aerosol particles in the corridors, lecture rooms, and laboratorie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e concentrations collected from other areas. Furthermore, in terms of mass median aerodynamic diameter(MMAD), the corridors and lecture rooms had higher numbers due to their characteristics, showing $2.36{\mu}m$ and $2.11{\mu}m$, respectively. Laboratories running an electrolysis experiment showed $1.58{\mu}m$, and the cafeteria with regular maintenance and ventilation had $1.96{\mu}m$.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M_{10}$ concentrations of all samples did not exceed indoor air quality standards. However, the $PM_{2.5}$ concentration was over the standard and, in particular, the concentration of fine particles collected from the laboratories was relatively higher, which could be an issue for the occupant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indoor air in university buil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