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getable crop

검색결과 344건 처리시간 0.027초

국내 주요 시설채소 부산물의 메탄 생산 퍼텐셜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of Agricultural Byproduct in Greenhouse Vegetable Crops)

  • 신국식;김창현;이상은;윤영만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252-1257
    • /
    • 2011
  • 본 연구는 안성시 관내에서 발생하는 농산부산물 바이오매스 중 오이, 토마토, 파프리카 작물 잔사를 수거하여 실험에 공시하고 각 부산물의 발생특성과 메탄 생산 퍼텐셜을 조사 분석하였다. 농산부산물의 에너지 자원화 기준으로는 메탄생산량을 설정하고, 부산물별 메탄 퍼텐셜을 시험하였으며 측정된 메탄 퍼텐셜을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단위면적당 바이오매스 발생량, 바이오가스 생산량 및 비료가치를 조사 분석하였다. 실험적 메탄 퍼텐셜은 농산부산물별로 $0.170{\sim}0.354Nm^3\;kg^{-1}\;VS_{added}$의 값을 보였으며, 그중 파프리카 열매가 가장 높은 메탄 생산 퍼텐셜을 보였으며, 오이 줄기가 가장 낮은 메탄 생산 퍼텐셜을 보였다. 시설 원예에서 기인하는 바이오매스별 메탄생산량은 줄기 부위가 잎이나 열매 부위 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다. 시설 재배지의 단위면적당 바이오매스 발생량은 오이 30.5 > 토마토 28.3 > 파프리카 $21.5Mg\;ha^{-1}$순 이었으며, 단위면적당 메탄생산량은 오이 782.5 > 파프리카 686.8 > 토마토 $645.0Nm^3\;ha^{-1}$순 이었다.

충남지방의 시설채소 재배동향과 앞으로의 방향 (Suggestion for the Future of Protected Vegetable Crops Culture in Chungnam)

  • 이영복;강재철
    • 농업과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18-25
    • /
    • 1990
  •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vegetable crop production using vinyl houses continously increases. However, technical support and facility improvement are still insufficent to establish a full production system. In order to improve the cultural environment in facilities for better vegetable culture, several facters should be considered. 1. Facility design and arrangement should be made to improve micro-environments for crop growth and development because direction of facility and covering materials can affect the amount of light trasmitted into vinyl houses. 2. Cultivation of several leading varieties in each crop may not provide stable production and profit especially under undesir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Thus, it is required to grow not only leading varieties but also other cultivars to decrease the economic losses. 3. Crops should be carefully managed when planted in early season not to experience low temperatures which induce growth retards. Early season cultivation requires proper selection of cultivars which are resistant to low temperture. 4. Active control of micro-environment in facilities should be made via improving the ventilation and irrigation systems.

  • PDF

Effect of Vermicompost in Combination with Bacterial and Mineral Fertilizers on the Yield of Vegetable Soybean

  • Bajracharya, S.K.;Shercahn, D.P.;Bhattarai, S.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00-103
    • /
    • 2007
  •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gronomy farm at an altitude of 1350 m. above sea level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and eight treatments on vegetable type soybean in 2005. The objective was to see the effect of vermicompost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Rhizobium inoculum and mineral fertilizers on the yield of vegetable soybean. The result showed higher number of nodules from the non inoculated plot, however, the nodules weight was highest from the inoculated plot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ice statistically on roots and shoots dry weight. Soybean grain was obtained highest (32.3%) over the non inoculated plot followed by vermicompost plus inoculated, however, there was non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a slight increment on grain and straw yield from the inoculated plots over the non inoculated.

주요 채소 작물 대상 작물 모형 모수 추정 및 검증을 지원하기 위한 생육 조사 프로토콜 분석 (Analysis of Crop Survey Protocols to Support Parameter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for Crop Models of Major Vegetables)

  • 김광수;김준환;현신우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68-78
    • /
    • 2020
  • 생산자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 상당한 경제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채소 작황 정보를 사전에 예측하기 위해 작물 모형들이 사용될 수 있다. 채소의 생육과 수확량을 추정하기 위한 모형들은 대다수 작물에 대해 개발되어 있지 못하며 이는 고품질의 생육 관측 자료들이 축적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배추, 무, 마늘, 양파 및 고추의 5대 채소들을 대상으로 작물 모형 개발과 검증을 위한 생육 자료를 수집할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작물 모형의 모수추정을 위해 사용되는 관측 프로토콜은 통계청과 농촌진흥청 프로토콜들의 단점을 보완하는 방식으로 개선될 수 있다. 작물모형은 기상조건에 따른 작물의 생육 반응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신뢰도 높은 기상 관측 자료를 확보할 수 있는 지역에서 표본 필지를 선정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또한, 최소한의 표본 조사 필지에서 상세한 관측자료 수집하기 위해 관심 작물이 재배되고 있는 지역 중에서 기후 특성이 상이한 지점들을 대상으로 표본 조사 필지들을 선정하는 것이 권장된다. 작물 생육 모형의 개발 및 검증을 위해서는 시계열적으로 얻어지는 작물 생육 모의값과 비교하기 위해 일정 시간 간격별로 관측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기존의 프로토콜에 제시되지 않았던 생육 초기의 관측값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병해충 조사항목들과 기상재해 양상과 관련한 항목들이 작물모형 개발을 위한 관측 프로토콜에 포함된다면, 작물모형과 병해충 모형을 개발하고 이들 모형들을 통합하는 방식으로 실제 수량과 가까운 작황예측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표본조사 필지에서 다수의 구역을 설정하고, 이로부터 샘플을 채취하는 것이 관측자료의 신뢰도를 높일 수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얻어진 관측자료들이 자료 공유 플랫폼을 통해 제공된다면 채소 작물의 작황 예측을 위한 작물 모형 개발이 활성화될 것이다.

주산지 기상정보를 활용한 주요 채소작물의 단수 예측 모형 개발 (Development on Crop Yield Forecasting Model for Major Vegetable Crops using Meteorological Information of Main Production Area)

  • 임철희;김강선;이은정;허성봉;김태연;김용석;이우균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93-203
    • /
    • 2016
  • The importance of forecasting agricultural production is receiving attention while climate change is accelerating. This study suggested three types of crop yield forecasting model for major vegetable crops by using downscaled meteorological information of main production area on farmland level, which identified as limitation from previous studies. First, this study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with seven types of farm level downscaled meteorological informations and reported crop yield of main production area. After, we selected three types of meteorological factors which showed the highest relation with each crop species and regions. Parameters were deducted from meterological factor with high correlation but crop species number was neglected. After, crop yield of each crops was estimated by using the three suggested types of models. Chinese cabbage showed high accuracy in overall, while the accuracy of daikon and onion was quiet revised by neglecting the outlier. Chili and garlic showed differences by region, but Kyungbuk chili and Chungnam, Kyungsang garlic appeared significant accuracy. We also selected key meteorological factor of each crops which has the highest relation with crop yield. If the factor had significant relation with the quantity, it explains better about the variations of key meteorological factor.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methodology of future studies by estimating the crop yield of different species by using farmland meterological information and relatively simplify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