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P1

검색결과 662건 처리시간 0.027초

전염성 췌장괴저바이러스 DRT Strain VP1유전자의 Baculovirus Hyphantria cunea Nuclear Polyhedrosis Virus에 재조합과 발현 (Recombination and Expression of VP1 Gene of Infectious Pancreatic Necrosis Virus DRT Strain in a Baculovirus, Hyphantria cunea Nuclear Polyhedrosis Virus)

  • 이형환;장재혁;차성철;정혜경
    • 대한바이러스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39-255
    • /
    • 1997
  • 전염성 췌장괴저바이러스 (Infectious pancreatic necrosis virus) DRT 주의 VP1유전자를 대 장균 발현운반체와 Baculovirus에 삽입하여 대장균과 진핵세로에서 VP1단백질의 발현을 연구하였다. 재조합체 pMal-pol 클론 [7]에서 2.7 Kb 단편인 VP1 유전자를 제한효소 XbaI으로 절단하여 Baculovirus 운반체인 pBacPAK9에 클로닝하여 pBacVP1이라 명명하였다. 이 pBacVP1에 클로닝된 VP1유전자를 제한효소 SacI과 PstI으로 절단하여 대장균 발현 운반체인 pQE-30에 클로닝하여 pQEVP1이라 명명하였다. 또한 VP1 단백질의 C-말단에 6개의 히스티딘 $6{\times}His$이 붙어 있는 단백질을 만들기 위하여, pQEVP1 클론의 His부위를 EcoRI으로 절단하고, 또한 pBacVP1을 EcoRI으로 절단하여 생긴 부위에His-EcoRI DNA 단편을 교체시켜 재클로닝하여 pBacHis-VP1을 만들었다. pBacHis-VP1 DNA와 Bsu36I로 처리된 LacZ-Hyphantria cunea nuclear polyhedrosis virus (LacZ-HcNPV)를 함께 lipofectin을 이용하여 곤충세포 (Spodoptera frugiperda cell)에 동시 감염을 시켜서 재조합 바이러스를 선발하여, VP1-HcNPV-1이라 명명하였다. pQEVP1 클론은 6개의 히스티딘 단편이 부착된 VP1단백질을 Ni-NTA resin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SDS-PAGE와 Western blot으로 확인하였고, 단백질의 활성과 구조에 영향을 주지 않는 6개의 히스티딘 단편 ($6\;{\times}\;His$)이 부착된 94 kDa의 VP1단백질을 정제할 수 있었다. 또한 재조합 바이러스에 감염된 곤충세포에서 VP1 단백질이 발현된 것을 전기영동과 Western blot으로 검색을 한 결과 95 kDa VP1 단백질이 발현이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

흰반점바이러스(WSSV)의 중화를 위한 재조합단백질 rVP466의 항혈청 생산 (Production of the Antiserum against Recombinant Envelop Protein, rVP466 for the Neutralization of 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

  • 공수정;김영진;최미란;김성구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0호
    • /
    • pp.1427-1432
    • /
    • 2010
  • 본 연구는 WSSV의 재조합단백질 rVP466에 대하여 생산된 항혈청을 사용하여 WSSV에 대한 neutralization (중화) 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먼저 재조합단백질 rVP466의 생산을 위해 WSSV의 구성단백질 VP466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인 VP466을 포함하는 재조합 플라스미드 pCold-VP466을 제작한 다음 이것을 발현용 숙주인 E. coli RIPL에서 발현하였다. 발현된 rVP466에 대한 항혈청은 토끼를 사용하여 생산하였으며, 항원 rVP466에 대한 특이면역반응은 Western blot을 통해 확인하였다. WSSV에 대한 항혈청의 중화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항혈청과 반응시킨 바이러스액($1{\times}10^4$ 배로 희석된 WSSV)을 이용하여 실험용 새우(Penaeus chinensis)에게 주사 감염을 통해 공격실험(challenge test)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WSSV로 공격실험한 감염대조구(positive control)의 새우들은 감염 후 17일째에 100% 누적폐사율을 보였으며, preimmune serum과 WSSV의 혼합액을 challenge한 preimmune control의 새우들은 감염 후 25일째에 83%의 누적폐사율을 보였다. WSSV와 rVP466 항혈청을 1:0.01, 1:0.1, 1:1로 혼합한 액으로 challenge한 새우들은 감염 후 25일째에 각각 73%, 53%, 46%의 누적폐사율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WSSV가 rVP466 항혈청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neutralization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WSSV 감염과정에 VP466이 관여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문화재 방사선 조사에서 발생하는 산란 방사선의 특성과 영향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 of Scattering Radiation in Cultural Heritage Radiography)

  • 송정일;박영환;유지혜
    • 보존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39-548
    • /
    • 2018
  • 본 연구는 문화재 방사선 조사에서 고려하지 않았던 산란 방사선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관전압 (kVp)과 필름-바닥 거리(film-floor-distance: FFD) 납스크린 배치를 달리하여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시편의 투과농도와 산란 방사선의 투과 농도는 관전압에 따라 증가되었다. 실험시편의 투과농도는 평균 1.4 D의 편차를 보이며, 60 kVp에서 0.17 D, 160 kVp에서 1.54 D, 220 kVp에서 2.97 D로 확인되었다. 산란 방사선의 평균 투과농도는 60 kVp에서 0.10 D, 160 kVp에서 0.40 D, 220 kVp에서 0.46 D로 확인되었다. FFD 거리가 바닥면과 멀어질수록 관전압(60 kVp-160 kVp)구간의 경우 투과농도 (D)가 커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고전압(160 kVp-220 kVp)구간은 FFD 거리 증가에 따른 투과농도 변화가 확인되지 않았다. 납스크린 없는 조건과 바닥면(floor)을 납스크린으로 대체한 경우는 FFD 50 mm, 100 mm, 200 mm 거리에서 산란 방사선이 확인되었고, FFD 0 mm 거리는 확인되지 않았다. 식별률은 관전압 160 kVp에서 FFD에 따라 2.08~2.67% 범위이며, 관전압 220 kVp에서는 2.67~3.33% 범위로 측정되었다.

파노라마 촬영시 두경부 주요기관에 대한 흡수선량 분포 (DISTRIBUTION OF ABSORBED DOSES TO THE IMPORTANT ORGANS OF HEAD AND NECK REGION IN PANORAMIC RADIOGRAPHY)

  • 김병삼;최갑식;김진수
    • 치과방사선
    • /
    • 제20권2호
    • /
    • pp.253-264
    • /
    • 1990
  • PanelipseⅡ 파노라마 방사선사진 촬영시 두 경부 주요기관의 방사선 흡수선량 분포를 평가하기 위하여 LiF(TLD-100/sup R/) 열발광선량계를 phantom (RT-210 Humanoid Head & Neck Section/sup R/)내부의 중요 해부구조물과 피부표면에 위치시켜 관전류 4㎃와 노출시간 20초의 조건하에서 관전압변화(65kVp. 75kVp, 85kVp)에 따른 방사선 흡수선량을 측정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내부해부구조물의 방사선 흡수선량은 비인강부위에서 104mGy, 1.065mGy, 2.09mGy로써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하선의 내엽부위에서는 0.525mGy, 0.579mGy, 1.108mGy로, 악하선부위에서는 0.481mGy, 0.608mGy, 1.191mGy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85kVp에서만 흡수선량이 측정된 안구와 갑상선부위는 0.172mGy와 0.128mGy로써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피부표면의 방사선 흡수선량은 제1경추 후방부위에서 1.263mGy, 1.538mGy, 2.952mGy로써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하선부위에서는 0.267mGy, 0.401mGy, 0.481mGy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인중부위는 0.057mGy, 0.068mGy, 0.081mGy, 85kVp에서만 흡수선량이 측정된 턱의 중앙부위는 0.059mGy로써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관전압 증가에 따른 내부해부구조물의 방사선 흡수선량 증가는 65kVp에서 75kVp로 증가함에 따라 1.1배로 나타났으며, 76kVp에서 85kVp로 증가시에는 1.9배로 나타났다. 관전압 증가에 따른 피부표면의 방사선 흡수선량 증가는 65kVp에서 75kVp로 증가함에 따라 1.3배로 나타났으며, 75kVp에서 85kVp로 증가시에는 1.6배로 나타났다.

  • PDF

유전자 인공합성을 이용한 구제역 유전자 VP1의 제작과 Agrobacterium Vector System을 이용한 담배 형질전환 (Construction of FMDV VP1 Gene Using Artificial DNA Synthesis and Transformation of Nicotiana tabacum Using Agrobacterium Vector System)

  • 이은정;임희영;김성훈;강경선;박영두;윤충효;윤병수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1권4호
    • /
    • pp.285-293
    • /
    • 2004
  • FMDV는 동물에서 구제역을 일으키는 병원체이며, VP1은 이 바이러스의 주요 capsid단백질이므로 구제역의 진단과 단백질 백신의 개발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료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FMDV taiwan O형과 베트남에서 분리된 FMDV의 VP1 sequence를 기반으로 식물에서 VP1 유전자의 발현을 위하여 633 bp의 VP1유전자로 재편집하였으며, 이를 long-nucleotide를 사용한 multiple fragment extension 방법을 사용하여 인공적인 DNA 단편을 합성하였다. 또한 새로운 식물 형질전환 벡터로 pBI121 과 pCAMBIA1390의 장점을 수용하여, hygromycin 저항성과 CaMV 35S promoter를 포함하는 pCAMBIA II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벡터와 VP1 유전자 및 GFP유전자를 사용하여 담배를 형질 전환시켰고, 각각의 형질전환식물체내에서 전체길이의 target gene(VPl)의 성공적인 삽입을 확인하였다. 각 유전자의 발현은 RT-PCR과 Real-Time PCR의 결과로 측정하였으며, VP1 유전자의 전사가 담배 내에서 이루어졌음과 고효율의 전사체를 만드는 형질전환체 VP1-4를 선별하였다.

사료급이(oral feeding)에 의한 vaccination을 통한 흰반점바이러스(WSSV)에 대한 재조합단백질 rVP19+28의 백신효능의 확인 (Vaccination of Shrimp (Litopenaeus vannamei) against 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 by Oral Vaccination of Recombinant Fusion Protein, rVP19+28)

  • 응위엔 호아이;김영진;최미란;김성구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8호
    • /
    • pp.1181-1185
    • /
    • 2010
  • 본 연구는 WSSV의 주요 구조단백질인 VP19와 VP28을 모두 포함하는 VP19+28 fusion protein을 제조하여, Litopenaeus vannamei에서 WSSV에 대한 백신으로서의 효능을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VP19와 VP28 유전자를 fusion하여 제작한 VP19+28 유전자를 pET-28a(+) vector에 삽입하고 단일단백질로서 제작된 VP19+28 유전자를 E. coli BL21 (DE3)에서 발현시켰다. 백신실험을 위해 새우에게 2주 동안 실험용 사료를 급이하였으며, 그 후 바이러스액($1{\times}10^2$배로 희석한 WSSV)을 이용하여 새우에게 주사 감염에 의해 in vivo 공격실험(challenge test)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vaccination을 하지 않은 새우들은 감염 후 11일째에 100%의 누적폐사율을 보였으며, host control로써 E. coli BL21을 사용하여 vaccination한 새우들은 감염 후 17일째에 100%의 누적폐사율을 보였다. rVP19, rVP28, rVP19+28을 이용하여 vaccination한 새우들의 경우 감염 후 21일째에 각각 66.7%, 41.7%, 41.7%의 누적폐사율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rVP28과 rVP19+28이 WSSV에 대해 높은 백신효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감염 후 21일째에 fusion protein rVP19+28과 rVP28의 누적폐사율은 동일하였지만 공격실험기간 동안 폐사율이 rVP19+28을 투여 한 실험군이 낮게 나타나는 것을 보아 WSSV에 대한 새우의 방어효능은 rVP19+28이 더 높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전기자재에 대한 역돔의 심전도 (Response of Electrocardiogram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to Electric Stimulus)

  • 한규환;양용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8권4호
    • /
    • pp.278-283
    • /
    • 2002
  • 전기자극에 대한 역돔, Oreochromis niloticus[Linnaeus]의 심전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어체내에 전극을 삽입하여 3 가지 전기자극원(20, 30, 40 Vp ; 10 msec)으로 실험어에 자극을 가하였을 때의 심전도를 서간과 야간으로 구분하여 60분간 조사한 심박수와 생체전위를 자극 전(마취상태, 안정상태)과 자극 후(자극-회복상태, 회복상태)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역돔은 마취 후 3 분 뒤에 안정상태에 도달하였고, 안정상태에서의 평균상심박수는 서간에 45.8 beat/min, 야간에 45.0 beat/min였고, 평균생체전위는 서간에 1.76 $\mu\textrm{V}$, 야간에 1.75 $\mu\textrm{V}$였다. 2. 자극별 평균심박수는 \circled1 자극-회복상태에서 전기자극이 20 Vp인 경우, 서간에 34.9 beat/min, 야간에 33.4 beat/min였고, 30 Vp인 경우, 서간에 36.8 beat/min, 야간에 36.0 beat/min였으며, 40Vp인 경우 서간에 38.0 beat/min, 야간에 36.4 beat/min로 나타났다. \circled2 회복상태에서 전기자극이 20 Vp인 경우, 서간에 45.5 beat/min, 야간에 45.1 beat/min였고, 30 Vp인 경우, 서간에 47.9 beat/min, 야간에 49.0 beat/min 였으며, 40 Vp인 경우, 서간에 51.4 beat/min, 야간에 50.7 beat/min로 나타났다. 3. 자극별 평균생체전위는 \circled1 자극-회복상태에서 전기자극이 20Vp인 경우, 서간에 2.54$\mu\textrm{V}$ 야간에 2.39$\mu\textrm{V}$였고,30Vp인 경우, 서간에 3.30$\mu\textrm{V}$, 야간에 2.30 $\mu\textrm{V}$였으며, 40Vp 인 경우 서간에 6.05 $\mu\textrm{V}$, 야간에 3.23 $\mu\textrm{V}$로 나타났다. \circled2 회복상태에서 전기자극이 20 Vp인 경우, 서간에 1.92 $\mu\textrm{V}$, 야간에 1.95 $\mu\textrm{V}$ 였고, 30 Vp인 경우, 서간에 2.78 $\mu\textrm{V}$, 야간에 2.21 $\mu\textrm{V}$ 였으며, 40 Vp인 경우 서간에 3.60$\mu\textrm{V}$ 야간에 2.98$\mu\textrm{V}$로 나타났다.

CT 검사 시 관전압과 BMI 변화에 따른 화질 및 피폭평가 (Evaluation of Image Quality and dose with the Change of kVp and BMI in the Liver CT)

  • 김동현;고성진;강세식;김정훈;최석윤;김창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331-338
    • /
    • 2013
  • 간질환을 주소로 추적검사를 위해 내원한 CT(Computer Tomography, 이하 CT) 검사자를 대상으로 체질량 지수와 관전압 변화에 따른 영상의 화질 및 방사선 피폭선량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0년 3월부터 2011년 6월까지 부산 P대학병원에 복부 CT 를 검사한 환자 중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이하 BMI)가 25이하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대상자는 48명이었다. 영상의 질의 객관적 평가로 신호대 잡음비와 유효선량을 비교하였다. 복부 영상의 화질평가는 영상의학과 의사2명이 한국의료영상품질관리원에서 선정한 임상영상 평가의 기준을 근거로 해 1점에서 20점까지 점수를 매겨 평가하였다. 피폭선량분석에서 CTDIvol값은 관전압이 100kVp일 때 120kVp보다 약44.1%가 감소하였다. 그리고 유효선량은 관전압 100kVp일 때 120kVp보다 약43%가 감소하였다. 영상의 화질 평가는 반복적으로 CT검사를 위해 내원한 총48명의 검사자 영상 중 Good 1명, Excellent 47명으로 평가되었다. 추적검사를 시행하는 환자 중 BMI지수가 25이하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저관전압을 적용한 복부 CT검사 시 영상의 질적 저하없이 진단 가치가 있는 영상의 획득과 피폭선량 감소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사료된다.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vian rotavirus isolated in Korea

  • Wang, Jun-Hui;Koo, Bon-Sang;Mo, In-Pil;Kang, Shien-Young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3-30
    • /
    • 2013
  • An avian rotavirus (AvRV-2) was isolated from feces of broilers suffering from acute gastroenteritis in 2011. It was the first avian rotavirus isolated in Korea. To investigate the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AvRV-2, the VP4, VP6, VP7 and NSP4 gene nucleotide sequences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rotavirus strains available in the GenBank database. The phylogenetic tree of VP7 gene showed that AvRV-2 had a high degree of nucleotide sequence homology (93.4% to 94.7%) with those of rotaviruses belonging to genotype G19 cluster. The phylogenetic tree of the VP4 gene revealed a high degree of nucleotide sequence homology (95.8% to 95.9%) with genotype P[30] rotaviruses isolated from chickens. The VP6 and NSP4 gene nucleotide sequences showed the highest identities with those of avian strains with 95.3% to 96.4% and 90.3% to 92.2%, respectively. Genetic characterization of the VP4, VP6, VP7 and NSP4 showed that AvRV-2 strain was most closely related to chicken rotavirus strains from Germany and Japan. Comparative nucleotide sequences and phylogenetic analysis indicated that avian rotavirus isolated from broilers belonged to genotype G19P[30] and it was the first report on avian rotavirus infection in Korea.

IBDV에 대한 단크론항체 생산 및 진단적 응용 (Production and diagnostic application of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infectious bursal disease virus)

  • 류민상;송윤기;이승철;모인필;강신영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12
    • /
    • 2011
  • Infectious bursal disease (IBD) caused by infectious bursal disease virus (IBDV) is a highly contagious viral disease in chicken. It causes heavy economic loss by immune suppression and high mortality. The IBDV, designated Avibirnavirus in the Family Birnaviridae, has a double-stranded RNA genome formed by two segments, segment A and segment B. Segment A encodes a 108 KDa polypeptide that is self-cleaved to produce pVP2, VP3 and VP4, and later pVP2 is cleaved to VP2. The VP2 contains the antigenic regions responsible for elicitation of neutralizing antibodies and VP3 is a major immunogenic protein of IBDV. In this study, monoclonal antibodies (MAbs) specific for IBDV were produced and characterized. All 15 MAbs were specific for IBDV and did not react with other viruses used in this study. The protein specificity of MAbs wa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reactivity patterns of each MAb with IBDV VP2 and VP234 recombinant baculoviruses and Western blot analysis. As a result, 7 MAbs (1F5, 2C8, 2F4, 3C7, 4C3, 6F11, 6G5) and 5 MAbs (2A4, 2G2, 3F5, 3G2, 4F10) were specific for VP2 and VP3, respectively. The protein specificity of 3 MAbs (2B8, 3F7, 3F8) were not determined. Five (2C8, 2F4, 4C3, 6F11, 6G5) of the VP2-specific MAbs had a neutralizing activity against IBDV. Some MAbs reacted with IBDV-infected bursa of Fabricius by indirect fluorescence antibody (IFA) and immunohistochemistry (IHC) assay. The MAbs produced in this study would be used for diagnostic reagents for the detection of IBDV inf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