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2max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3초

다른 운동 강도의 지구성 및 저항성 운동 중재가 내당능 장애 쥐들의 당뇨관련 혈액인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fferent intensity endurance and resistance exercise on diabetic-related blood profiles in impaired glucose tolerance mice)

  • 박찬호;우진희;노희태;신기옥;김도연;윤병곤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571-58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내당능장애를 유도한 쥐들을 대상으로 다른 운동 강도의 지구성 및 저항성 운동을 중재하여 당뇨관련 혈액인자들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37주령 C57BL/6 쥐 54마리를 (1) 일반식이대조군(CO, n=9), (2) 내당능장애군(IGT, n=9), (3) 내당능장애 + VO2max 50% 지구성운동군(IGT50A, n=9), (4) 내당능장애 + VO2max 75% 지구성운동군(IGT75A, n=9), (5) 내당능장애 + 1RM의 50% 저항성운동군(IGT50R, n=9), 그리고 (6) 내당능장애 + 1RM의 75% 저항성운동군(IGT75R, n=9)으로 분류하였다. 지구성 운동 프로그램은 동물 실험용 트레드밀을 사용하여 주5일, 1일 40분씩 8주간 트레드밀운동을 실시하였다. 저항성 운동은 주5일 8주간 사다리 저항 운동을 반복사이 2분간의 휴식을 주어 총 8번의 Climbing을 실시하였다. 운동 프로그램 후 인슐린은 통계적으로 모든 그룹간의 차이가 없었다. 공복 혈당은 대조군보다 IGT 유도군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운동군들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IGT군이 IGT75R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보였다. HOMA-IR은 대조군과 IGT군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당화혈색소 검사에서는 IGT군이 다른 모든 집단들에 비해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IGT75A군과 IGT50R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총 콜레스테롤은 대조군이 내당능장애 유도군들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반면 중성지방은 그룹간의 차이가 없었다. HDL-C는 지구성 운동군들이 대조군과 IGT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저항성 운동군들과의 차이는 없었다. LDL-C는 대조군이 IGT군과 운동군들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IGT75A군은 IGT군과 IGT50R군에 비해 낮은 수치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75%의 저항성 운동은 혈당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75%의 지구성 운동은 당화혈색소와 LDL-C의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구성 운동은 저항성 운동에 비해 HDL-C의 증가에 보다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폐기능이 저하된 폐암환자에서 폐절제술후 합병증의 예측 인자 평가에 관한 전향적 연구 (Preoperative Evaluation for the Prediction of Postoperative Mortality and Morbidity in Lung Cancer Candidates with Impaired Lung Function)

  • 박정웅;장성환;남귀현;김호철;서지영;정만표;김호중;권오정;이종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1호
    • /
    • pp.14-23
    • /
    • 2000
  • 연구배경: 폐암은 근치적 폐절제술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이지만 폐암 환자들은 흔히 고령이면서 흡연으로 인한 폐 기능저하가 동반된 경우가 많고 정상 폐조직을 광범위하게 절제하게 되므로 다른 수술보다 수술후 사망률 및 폐합병증이 더욱 문제시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폐기능이 저하된 폐암환자에서 폐절제술후 사망 및 합병증과 관련된 수술전 인자를 일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95년 10월부터 1997년 8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폐절제술을 시행받는 환자중에 $FEV_1$ 이 2L 이하이거나 예측치의 60% 이하인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고 수술후 최종진단이 폐암이 아니거나 폐절제가 시행되지 않았던 환자는 최종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수술 전에 대상환자의 성별, 연령, 체중 감소의 정도, 동반질환, 폐쇄성 폐렴여부를 조사하였고, 헤마토크릿, 혈청알부민, 심전도, 안정시동맥혈가스, $FEV_1$, DLco를 비롯한 폐활량검사, 운동부하 폐 기능검사를 시행하였으며 폐관류주사를 이용하여 수술후 폐기능예측지표를 산출하였다. 수술시 집도의, 폐절제술범위, 수술시간, 수술후 병기, 수술후 중환자실 체류시간을 기록하였고 사망 및 합병증은 수술후 30 일내의 사망, 폐렴이나 호흡부전 등과 같은 폐합병증, 48시간 이상의 중환자실 입원, 심장계 합병증, 농흉, 출혈, 반회후두신경손상 등 기타 합병증으로 분류하여 수술 후 발생여부를 확인하였다. 결 과: 최종 대상환자는 36명이었고 연령은 44-82세로 중앙값은 65세였으며 $FEV_1$$1.78\pm0.06L$이었다. 수술은 14예가 엽절제술, 8예가 이엽절제술, 14예가 전폐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수술후 사망이 2예에서 있었고 폐합병증이 10예, 48 시간이상의 중환자실 입원이 12예, 심장합병증이 3예, 기타 합병증이 4예에서 각각 발생하였으며 사망과 관련된 수술전 인자로는 혈청 알부민, DLco, 체중감소정도, ppo-DLco, ppo-DLco%, Wmax, 폐절제 정도, ppo-$VO_2$max등 이었고(p<0.05), ppo-$VO_2$max가 10ml/kg/min 이하인 환자 2명은 모두 사망한 반면 10ml/kg/min 이상인 환자에서는 사망이 없었다(p<0.01). 수술 후폐합병증은 체중감소정도, 호흡곤란정도, DLco, ppo-DLco, Wmax, MVV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p<0.05). 그러나 다변량분석에 의해 사망과 관련하여 유의한 지표는 없었으며 폐합병증과 관련하여 유의한 지표는 MVV(p<0.05) 였다. 결 론: 폐기능이 저하된 폐암환자의 수술후 사망 및 폐합병증과 관련하여 유용한 예견지표는 체중감소 정도, 호흡곤란 정도, 폐절제범위 등 폐기능검사와 관련되지 않은 지표들이 중요한 예견지표였고 운동부하폐기능검사지표들은 수술후 사망 및 합병증을 예측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ppo-$VO_2$max가 10ml/kg/min 이하인 환자는 수술후 사망률이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중년기 비만여성에 있어서 건강지표를 위한 비만연령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Obesity Age (OA) for Health Index of Middle Aged Obese Women)

  • 이동준;박태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0호
    • /
    • pp.1403-140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중년비만여성을 대상으로 비만의 발생요인으로 예상되는 요인을 이용하여 비만의 상태를 연령 척도화하여 비만연령(Obesity Age: OA)이라는 연령 추정식을 산출함과 동시에 비만도(비만연령)를 실제의 역연령과 검토하였고 비만연령의 추정식은 다음과 같다. OAS (Obesity Age Score)=$0.106*X_1+0.035*X_2+0.048*X_3+0.041*X_4+0.003*X_5-0.037*X_6-10.66$ (1) ($X_1$: BMI, $X_2$: 체중, $X_3$: 체지방률, $X_4$: 배둘레, $X_5$: 중성지방, $X_6$: $VO_{2max}$) OA (Obesity Age)=7.3*OAS+49.6*(-1) (2) Z=(CA-49.6)(1-0.03) (3) OAc (Obesity Age corrected)=1.03*CA-7.3*OAS+1.47 (4) 그리고 역연령과 추정된 비만연령(Obesity Age corrected: OAc)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타당성이 확인되었으며, 총 6개의 측정항목으로 구성된 비만연령을 통해 비만자 개개인의 비만건강도(상태)를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추후에는 다른 집단에서의 적용가능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타당성을 검토해야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현장근로자의 생체부하에 관한 인간공학적 연구 (An Ergonomic Study on the Work Loads of Manual Workers)

  • 이상도;우동필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74-180
    • /
    • 199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rrying postures and weight of load carried one time on a worker when carrying heavy loads. Six mal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perform a manual materials carrying task as subjects. To make comparison of work loads with physical work capacity, maximal oxygen uptake measurement tests were performed with submaximal test. The average oxygen consumption for the tasks of this study was 27.59~31.93% $VO_2$max.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eight of load carried one time affects on working heart rate and oxygen consumption($VO_2$). It was found that the workload was significantly lower when handling a 20kg load at a frequency rate of 3times/min than when handling a 40kg load at a frequency rate of 1.5 times/mi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arrying postures. It is conclud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the workload can be reduced by controlling conditions of a manual materials handling task.

  • PDF

중년 비만여성들의 가압 트레이닝이 체성분, 호흡·순환계 기능 및 심혈관 반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Pressurization Training with Walking on Body Composition, Respiratory Function, and Cardiovascular Response in Middle-Aged Obese Women)

  • 최현민;이동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45-551
    • /
    • 2012
  • 중년 비만여성들을 대상으로 다리 근육의 정맥 혈류를 제한한 가압 걷기 트레이닝 그룹 15명으로 연구대상자를 선정하여 3주간의 가압 걷기 트레이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가압 걷기 트레이닝을 통해 LBM에서 트레이닝 전보다 후에 1.2 kg이 증가, FM과 %fat에서는 각각 2.8 kg, 3.3%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둘째, 가압 걷기 트레이닝을 통해 $VO_2max$와 VEmax에서 트레이닝 전보다 후에 각각 3.6 ml/kg/min, 6.0 l/min 증가하였고, HRmax에서는 7 beat/min으로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셋째, 가압 걷기 트레이닝을 통해 심혈관 반응에서 트레이닝 전보다 후에서 운동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CO과 TVC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가압 걷기 트레이닝을 통해서 호흡 순환계 및 심혈관 기능의 증가와 근육량 증가에 따른 체성분의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의 범위를 넓혀 노년층까지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와 3주 이상의 운동을 적용시키면 보다 높은 임상학적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판단된다.

비만여성의 지방연소를 위한 최적운동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al Exercise Intensity for the Fat Oxidation of Fat Women)

  • 최영덕;오경환;임종수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39-1045
    • /
    • 2001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results which we analyse the interrelation among the physiological variable elements. We survey thirty fat women who don't do exercise regularly and are thirties. in order to offer basic data for setting the optimal exercise intensity through the efficient fat oxidation. We use RAMP II protocol of the Ever Green Hospital. The results are followings: 1. When the optimal exercise intensity for fat oxidation is done, there's a meaningful relation among the fat oxidation, $O_2$ max, and respiratory change. 2. When the optimal exercise intensity for fat oxidation is done, there's no meaningful relation statistically in $O_2$ max, heart rate, respiratory change, and caloric rate. 3. When the optimal exercise intensity for fat oxidation is done, there's a meaningful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in %$VO_2$ max. However, there'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group C and group A. B, and there'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group B and group A.

  • PDF

Effects of bone-specific physical activity on body composition, bone mineral density, and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in middle-aged women

  • Kim, Sung-Woo;Jung, Sung-Woo;Seo, Myong-Won;Park, Hun-Young;Song, Jong-Kook
    • 운동영양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6-42
    • /
    • 2019
  • [Purpose] The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bone-specific physical activity on body composition,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in middle-aged women. [Methods] One hundred eighty-six middle-aged women aged 31-49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ertile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low-score group, n=62; middle-score group, n=62; high-score group, n=62). Bone-specific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was assessed using the bone-specific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Body composition and BMD were measured using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test included isometric muscle strength (grip strength), muscular endurance (sit-ups), flexibility (sit and reach), and cardiorespiratory fitness (maximal oxygen uptake [VO2max]). [Results] The high-score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fat-free mass (p=.045, partial eta-squared value[ηp2]=.033) than the middle- and low-score groups, whereas the high-score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percent body fat (p=.005, ηp2=.056) than the other two groups. Whole-body BMD (p=.034, ηp2=.036) and lumbar BMD (p=.003, ηp2=.060)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igh-score group than in the low-score group. The high-score group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for grip strength (p=.0001, ηp2=.101), sit-ups (p=.0001, ηp2=.108), and VO2max (p=.0001, ηp2=.092) than the other two groups.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bone-specific physical activity could be useful in improving body composition, BMD, and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in middle-aged women, significantly enhancing their BMD and health conditions.

다른 강도의 유산소성 및 저항성 운동이 제2형 당뇨 마우스의 항당뇨, 지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Intensity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on Anti-diabetic and Lipid Profile Improvement in Type 2 Diabetic mice)

  • 윤병곤;박찬호;우진희;신기옥;노희태;김도연;김정숙;하수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108-1118
    • /
    • 2019
  • 제2형 당뇨 마우스로 8주간 50%, 75% 강도의 유산소성 및 저항성 운동을 수행하여 항 당뇨 및 지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39주령 C57BL/6 마우스 48마리를 일반식이정상군(Normal, n=8)을 제외하고, Streptozotocin (STZ)으로 당뇨를 유발하여 제2형 당뇨군(DM, n=8), 제2형 당뇨+VO2max 50% 유산소운동군(DM50A, n=8), 제2형 당뇨+VO2max 75% 유산소운동군(DM75A, n=8), 제2형 당뇨+1RM 50% 저항운동군(DM50R, n=8), 그리고 제2형 당뇨+1RM 75% 저항운동군(DM75R, n=8)으로 구분하였다. 유산소성 운동은 주 5일, 1일 40분씩 8주간 트레드밀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DM50A군은 1~4주는 8m/min, 5~8주는 8~10m/min으로, DM75A군은 1~4주는 12m/min, 5~8주는 12~14m/min으로 점증하여 실시하였다. 저항성 운동은 주5일 8주간 사다리 저항운동을 실시하였으며, DM50R군은 1RM의 50%, DM75R군은 1RM의 75%로 운동 반복 사이 2분간의 휴식을 주어 총 8번의 Climbing을 실시하였다. 8주간의 운동 후 공복 혈당은 DM군에 비해 DM운동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인슐린은 운동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HOMA-IR은 DM군에 비해 DM운동군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HbA1c는 DM군에 비해 DM50R 및 DM75R군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콜레스테롤과 LDL-C는 DM운동군 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HDL-C는 DM75A군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중성지방은 DM75R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심혈관 위험 지수는 Normal군 및 DM75A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T2DM 마우스에서 중강도의 저항성 운동은 혈당 및 인슐린 저항성 조절에 더 나은 개선을 보여주었으며, 중강도의 유산소성 운동은 HDL-C 수준 증가를 통한 심혈관 위험 지수를 감소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사상체질과 ACE 유전자 다형성 분류에 따른 유·무산소성 능력비교 (Comparison of Aerobic and Anaerobic Capacity between Sasang Consititutions and ACE Gene Polymorphismn)

  • 석동선;박규정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340-353
    • /
    • 2015
  • Purpose. This study of purpose was to to compare of Aerobic and Anaerobic Capacity between Sasang Constitutions and ACE Gene Polymorphism. Methods. 24 healthy males were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who were in their twenties and had no disease, then they were divided by ACE type and by Sasang constitutions with QSCC II. According to these group, the body compositon, Aerobic capacity including VO2max, Anaerobic Capacity were measured. Results. In this study, According to ACE type, ID type were 8, II were 8 and DD type were 8 persons. According to ACE typ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ype, especially, II, ID type more than DD. II type is more higher than any type and DD type is lower in the ratio of Blood Lactic recovery. DD type was more excellent than other type in Anaerobic power.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s, there were 8 SoYang, 5 Taeum, 11 Soeum and then no TaeYang constitution. In Aerobic capacity, Taeum constitution had significantly high means and Anaerobic threshold. In the ratio of Blood lactic recovery, Taeum constitution was excellent and SoYang had poor recovery capacity. SoYang had more excellent than other constitution significantly in Anaerobic capacity. Comparing ACE type with Sasang constitution, Soyang constitution included 4 ID types, Taeum inclued 2 II types and 2 ID types then Soeum included 6 DD types. Compared of Aerobic and Anaerobic capacity between Sasang constitutions and ACE type, Soyang constitutions were similar to ID type, Taeum similar to II type and ID type and then Soeum were DD type. Conclusions. This study had made it clear that there were similar feature between ACE type and Sasang constitutions. Also it's possible to predict the Aerobic capacity that may be foreseen by ACE type with Sasang questionnaire method but not Anaerobic capacity.

육상과 선박내에서의 Circuit Weight Training 이 근기능 및 심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ircuit Weight Training on the Muscular Function and Cardiopulmonary Function)

  • 하해동;신군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63-185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hysiology changes by circuit weight training(CWT). The subject of this study consists of 16 student on ship(experimental groups(SE) N=8, control group(SCa) N=8) and 16 students on land (experimental groups(LE) n=8, control groups(LCb) N=8). The items of measurement were the changes of CWT time and heart rate per week, musclear functino and cardiopulmonary function.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 1. Muscular fuction 1) Back strength in SE and LE group was increased significantly (p<.01, p<.05, 8.86% and 7.08%).Grip strength was increased slightly in 4 groups but there was no significance. 2) In push-ups, all 4 group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p<.05, p<.01), sit-ups also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SE and LE group (p<.05, 6.71% and 9.62%). 3) In SE and LE group , standing long jump was in significantly (p<.01, p<.05, 4.49% and 6.09%), but only in LE group , side step was increased significantly (p<0.1, 5.84%). 2. Cardiopulmonary function 1) HRrest was decreased slightly in all 4 groups but was not significant changes. HRmax was increased only in LE group significantly (p<.05, 2.81%), treadmill running tim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SE and LE group respectively (p<.01, p<.05, 10.78% and 11.07%). 2) VEmax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SE and LE group(p<.05, p<.01, 10.59% and 13.68%), but only in LE group Rfmax was increased significantly (p<.01, 4.83%). 3) In VO2max, LCb group was increased significantly (p<.05, 6.835), but SCa group was decreased significantly (p<.05, 4.32). VO2max/kg$.$min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LE and LCb group respectively (p<.01 p<.05. 4.75% and 3.98%).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