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2,511건 처리시간 0.027초

웨이브릿 기반 텍스처 융합 영상을 이용한 위성영상 자료의 분류 정확도 향상 연구 (The Classification Accuracy Improvement of Satellite Imagery Using Wavelet Based Texture Fusion Image)

  • 황화정;이기원;권병두;류희영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03-111
    • /
    • 2007
  • 지금까지 위성영상 정보 처리 분야에서는 분광정보를 이용한 영상분석과 시각적 해석 및 자동 분류에 대한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으나, 최근에는 영상자료에서 시각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특성이나 공간정보의 추출을 위한 여러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정보의 특성 추출기법인 텍스처 영상 생성기법과 웨이브릿 변환을 연계하여 웨이브릿 기반 텍스처 융합 영상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이러한 영상이 분류 정확도에 어떻게 기여하는 가를 분석하기 위한 적용 사례로 도심지 공간분석과 칼데라 주변지역의 지질학적 구조분석을 수행하였다 영상 분석 시 공간정보 활용을 위한 텍스처 영상 생성기법과 웨이브릿 기반 텍스처 융합 영상 생성기법을 사용하면 원본영상만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높은 분류정확도를 보였다. 고해상도 영상을 사용한 도심지의 경우 원본영상에 텍스처영상과 웨이브릿 기반 텍스처 융합 영상을 모두 활용한 경우의 분류정확도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이는 상세화소의 변화가 매우 중요한 도심지의 특성상, 세밀한 공간정보가 최대로 활용되었기 때문으로 해석되어진다. 또한 중 저해상도 영상을 사용한 지질학적 구조분석의 경우 원본영상에 텍스처 영상만을 활용한 경우가 가장 높은 분류정확도를 보였다. 이는 칼데라를 중심으로 한 비교적 크기가 큰 지질학적 구조 분석 시 고도변화와 지열분포 등의 정보가 적당히 단순화 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이러한 기법들을 실제 연구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연구의 목적과 위성영상의 해상도 등의 정보를 모두 고려하여 적절한 기법을 잘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복최적화 무감독 분광각 분류 기법을 이용한 하이퍼스펙트럴 영상 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yperspectral Image Classification with the Iterative Self-Organizing Unsupervised Spectral Angle Classification)

  • 조현기;김대성;유기윤;김용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1-121
    • /
    • 2006
  • 분광각(Spectral Angle)을 이용한 분류는 같은 종류의 지표 대상물의 분광 특성이 대기 및 지형적인 영향으로 인해 원점을 기준으로 유사한 분광각을 가지며, 선형적인 분포 모양을 가진다는 가정에 기초한 분류 방식이다. 최근 분광각을 이용한 무감독 분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하이퍼스펙트럴 데이터의 특성을 반영한 효과적인 무감독 분류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하이퍼스펙트럴 영상 분류에 있어서 기존 무감독 분광각 분류(USAC, Unsupervised Spectral Angle Classification) 연구에서 나타난 문제점들을 보완한 반복최적화 무감독 분광각 분류(ISOUSAC, Iterative Self-Organizing USAC) 기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를 위해, 무감독 분광각 분류에 적합한 각 분할(Angle Range Division) 기법을 적용하여 군집 초기 중심을 설정하였고, 군집 중심 계산에 있어서 각 중심을 이용하였다. 뿐만 아니라 병합(Merge)과 분할(Split)를 통한 유동적인 군집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를 통해, 제안된 알고리즘이 기존의 기법보다 수행 시간뿐 아니라 시각적, 정량적인 면에서 우수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분광각을 이용한 군집 유효성 지수(Validity Index)를 제안함으로써 기존의 무감독 분광각 분류와 정량적 비교를 수행하였다.

학령전기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능력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Sensory Processing Ability of Preschool Children)

  • 김채현;김경미;장문영;정혜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1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군 아동과 스마트폰 정상사용군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을 비교하고, 중독군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3~6세 아동 324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스마트폰 중독군과 정상사용군을 구분하기 위해 유아동 스마트폰 중독 관찰자 척도를 사용하였고, 감각처리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단축감각 프로파일을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스마트폰 중독군과 정상사용군의 감각처리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 중독군에서의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스마트폰 중독군과 스마트폰 정상사용군은 감각처리능력 중 촉각 민감성(p=.020), 맛/냄새 민감성(p=.021), 움직임 민감성(p=.042), 과소반응/특정자극 찾는 행동(p=.000), 청각 여과하기(p=.000), 활력이 부족하고 허약함(p=.000), 시각/청각민감성(p=.000), 총점(p=.000)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스마트폰 중독군은 감각처리 영역 중 청각여과하기(r=-.293), 시각/청각민감성(r=-.393)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3~6세 학령전기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은 스마트폰 정상사용군과 감각처리능력에 차이가 있었고, 스마트폰 중독은 감각처리능력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감각처리 특성과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복분자 발사믹식초 제조를 위한 식초증류공정 도입 가능성 분석 (Analysis of distillation process adoptability for Rubus coreanus balsamic vinegar production)

  • 성지연;이익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185-19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보다 간단하고 신속한 공정으로 생산량 증가 및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한국형 복분자 발사믹 식초 생산공정 개발을 위한 증류과정 도입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증류과정을 통해 생산된 농축식초분획의 발사믹식초로서의 활용가능성과 증류식초분획의 증류식초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증류과정에서 얻어진 식초 분획을 대상으로 총산도, 산도pH 및 비중을 측정하였다. 총산도가 서로 다른 4종류의 식초(총산도; 4.42, 4.84, 5.61, 및 6.35)를 60%까지 증류했을 때 농축식초분획의 총산도는 증류 전 식초보다 평균 38.1% 증가하였다. 특히 최종 농축식초분획의 총산도 및 산도pH는 발사믹식초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증류식초분획 역시 총산도가 증가하여 최종 분획의 총산도는 각각 4.41%, 4.95%, 5.88%, 및 6.72% 이었으며 증류식초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증류공정을 통해 식초를 효과적으로 농축시킬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동시에 증류식초를 생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식초분획별로 유기산 함량 및 항산화활성 측정 등 추가적인 생화학적 특성 분석이 이루어져야 증류공정 도입여부를 결정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두피근막이완기법과 도수치료가 긴장성두통 환자의 통증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6개월 추적연구 (Effects of Scalp Myofascial Technique and Manual Therapy on Pain and Quality of Life in Tension Type Headache Patients : Six Month Follow-up Results)

  • 이화경;김성열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9-130
    • /
    • 2021
  • Purpose : We aimed to validate a new manual therapy to treat tension type headache(TTH) by applying myofascial release techniques to the scalp and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headache characteristics after treatment and at the 6-month follow-up. Methods : Thirty patients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and were assigned to two groups through simple random sampling. Fifteen patients were assigned to the manual therapy group (MT) and 15 patients to the scalp myofascial release technique (SMT) group. However, five patients from the MT group and one from the SMT group were excluded. Therefore, 24 patients with TTH (10 males, 14 females) participated in the study. Patients underwent either MT or SMT. The procedures were performed by a physical therapist twice per week for 4 weeks. The quality of life [using the brief pain inventory (BPI) and the headache impact test (HIT)], and the frequency, duration, and intensity of the headache [on a visual analog scale (VAS)]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and at the follow-up. Results : After 4 weeks of SMT, the frequency (p<.001), duration (p<.05), and intensity (p<.001) of the headache and the quality of life (HIT; p <.001, BPI; p<.001)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patients with TTH. The improvement in these parameters remained significant even after 6 months of follow-up. Similarly, After 4 weeks of MT, the frequency (p<.05), duration (p<.05), and intensity (p<.01) of the headache, and the quality of life (HIT; p<.05, BPI; p<.001)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patients with TTH. The improvement in these parameters remained significant even after 6 months of follow-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se parameter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 It has been suggested that MT using the SMT can be used as a non-invasive treatment to treat the frequency, duration, and intensity of the TTH,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산국 에센셜오일을 함유한 화장품의 주름개선 임상효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i-wrinkle Properties of Cosmetics Containing Essential Oil from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 최인호;황대일;김도윤;김하빈;이환명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42-446
    • /
    • 2019
  • 산국 에센셜오일의 채취시기별 특성과 in vitro 항산화, 미백, 피부재생 및 주름개선 활성이 본 연구진에 의해 최근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산국 에센셜오일(0.1%, v/v)이 함유된 크림제형의 화장품에 대해 주름개선 효능 및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피시험자는 자연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42세에서 60세까지의 22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8주 동안 산국 에센셜오일 함유 화장품을 눈가주변에 도포하였다. 인체 피부 안전성은 피부과 전문의의 육안관찰 소견을 확보하고, 피부 주름개선 효능은 visiometer를 이용하여 roughness를 측정 하였다. 산국 에센셜오일 함유 화장품 및 대조시료는 시험기간 동안 인체에 홍반, 알러지 등의 이상반응을 유발하지 않았으며, 시험부위(test)는 대조부위(placebo)에 비해 roughness 지수 감소의 폭이 더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R1, R2, R3 지수는 크림 사용 2주 후부터 시험부위가 대조부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p<0.05)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산국에센셜오일 함유 화장품"은 인체 안전성이 확보되었으며, 피부주름 개선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어 향후 비고시 주름개선 기능성화장품으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앤디 워홀의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Andy Warhol's Archive, )

  • 이혜린;박주석
    • 기록학연구
    • /
    • 제55호
    • /
    • pp.73-96
    • /
    • 2018
  • 본 논문은 앤디 워홀(Andy Warhol, 1928-1987)의 작품

Percutaneous Vertebroplasty versus Conservative Treatment Using a Transdermal Fentanyl Patch for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 Oh, Younggyu;Lee, Byungjou;Lee, Subum;Kim, Junghwan;Park, Jinho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2권5호
    • /
    • pp.594-602
    • /
    • 2019
  • Objective : Although surgical intervention, such as percutaneous vertebroplasty (PVP), is the standard treatment for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OVCFs), its effectiveness and safety are unclear.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the safety and efficacy of conservative treatment with that of PVP for acute OVCFs. Methods : Patients with single-level OVCFs who were treated conservatively with a transdermal fentanyl patch (TFP) or with PVP between March 2013 and December 2017 and followed-up for more than 1 year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Patients with pathologic fractures, fractures of more than two columns, or a history of PVP were excluded. Clinical outcomes (visual analog scale [VAS] scores) and radiographic factors were evaluated, including changes in the compression rate of the corresponding vertebral body at onset and after 12 months, sagittal Cobb angle at onset and after 6 and 12 months, and the incidence of adjacent compression fractures. Results : Of the 131 patients evaluated, 75 were treated conservatively using TFPs and 56 underwent PVP.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TFP and PVP groups. Their baseline characteristics (including sex, level of fracture, and bone mineral density T-scores) were similar, but the TFP group was significantly younger. The overall VAS score for pain showed a greater decrease during the first month (1 week after PVP) in the PVP group but remained similar in the two groups thereafter. The compression rate after 12 months increased in the TFP group but decreased in the PVP group. Five patients in the PVP group, but none in the TFP group, experienced adjacent compression fractures within 12 months. Conclusion : We compared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between the TFP and PVP groups. The immediate pain reduction effect was superior in the PVP group, but the final clinical outcome was similar. Although the PVP group had a better-preserved compression rate than the TFP group for 1 year, the development of adjacent fractures was significantly higher. Although TFPs seemed to be beneficial in reducing the failure rate of conservative treatment, the possibility of side effects (22.6%, 17 out of 75 patients, in this study) should be carefully monitored.

노년층의 글쓰기 특성 -이야기문법과 구문구조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Writing in Normal Aging: Story Grammar and Syntactic Structure)

  • 김현아;원새롬;이보은;윤지혜
    • 재활복지
    • /
    • 제21권1호
    • /
    • pp.193-212
    • /
    • 2017
  • 노년층은 이야기를 산출하면서 주제로부터 벗어나는 이야기를 하거나 문장구조를 단순화하기도 하며 문법 형태소의 오류를 보일 수 있다. 이야기를 말하는 능력과 글로 쓰는 능력은 서로 다를 수 있는데, 글을 쓰는 능력은 복잡한 인지과정을 필요로 하므로 노화에 더 취약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상 노년층 32명과 청년층 32명을 대상으로 이야기 쓰기 능력을 살펴보았다. 과제는 전래동화('흥부놀부')에 대한 그림들을 보고 자유롭게 이야기를 구성하여 써보도록 하였다. 자료 분석 시에는 이야기 구성적 측면과 이야기 구문구조적 측면으로 나누어 그 특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노년층은 청년층에 비하여 이야기 구성적으로는 이야기문법과 완전한 에피소드의 수가 유의하게 적었으며 주제에서 벗어난 문장을 더 많이 산출하였다. 구문구조적으로는 복문의 사용빈도는 청년층과 차이가 없었으나 관형절과 부사절 내포문의 사용이 저하되고 부적절한 결속표지를 많이 산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노년층이 이야기 글쓰기를 할 때 주제의 유지가 저하되고 수식적으로 꾸며주는 표현의 사용이 부족하게 되면서 전체적인 글의 응집성이 저하되지만 쓰기 활동의 시각적 피드백에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되므로 긴 복문의 사용이 가능할 수 있었음을 시사한다.

치매 환자에게 적용된 비약물적 인지중재방법에 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the Application Nonpharmacological Cognitive Interventions in Patients With Dementia)

  • 곽호성;박지혁
    • 대한작업치료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3-26
    • /
    • 2018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고찰을 통해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사용된 비약물적 인지중재방법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임상영역에서 치매 환자 중재 시 기초자료를 삼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3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국내 국외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KISS, PubMed와 Sciencedirect을 통하여 검색하였으며, 주요검색 용어로는 '치매 OR dementia', '인지 자극 OR cognitive stimulation', '인지재활 OR cognitive rehabilitation', '인지 훈련 OR cognitive training'을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10개의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선정된 10편의 논문 중 7편에서 중재 후 인지기능에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으며, 3편의 연구에서는 인지기능의 향상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뇌파의 활성화, 간병인과 환자와의 관계 및 간병인의 삶의 질 향상, 시각적 운동 기술 향상이 나타났다. 인지기능 개선효과를 확인을 위한 평가도구는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가 가장 많았으며, 4편의 논문에서는 치매환자의 삶의 질을 중재 효과로 측정하였다. 인지중재의 주 대상자는 경도에서 중등도 사이의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사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토대로 임상에서 치료사들이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치료할 때 치매환자의 특성에 따라 중재방법, 기간, 평가도구 등을 선정하는데 필요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