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DT작업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6초

종합병원 VDT 작업 간호사들의 작업환경에 관한 연구 (Study of VDT Work Environment for Nurses in General Hospital)

  • 권영국;김순례;원종호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2000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577-580
    • /
    • 2000
  • 종합병원에서는 많은 환자들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각종 자료를 전 산화하고 있으며, 그곳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은 VDT (Visual Display Terminal) 앞에서 작업시간의 대부분을 보내야만 한다. 간호사들의 요통 유병률이 타 직종에 비해 높은 편이며, 업무와 관련해서 경험한 요통이 간과되는 경향이 있고, 사고보고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실제의 요통 발생률은 보고된 것보다 더 높을 수 있다[1]는 연구결과가 발표된 바 있으며, 이러한 이유에는 여러 원인이 있겠으나, 그 중에서 특히 VDT작업을 하는 간호사들과 작업환경과의 관계를 규명해 보고자 서울 지역의 일부 종합병원 VDT(Visual Display Terminal) 작업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VDT 작업 간호사들의 설문지 응답과 직무분석 그리고 작업자세와 작업환경조건 등을 고려하여 VDT증후군에 대한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VDT 관련 직업병 예방대책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설문지 분석결과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근무환경 및 업무활동과 통증발생 결과간에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RULA 프로그램 분석결과인 Level 5가 나왔으며, 이는 3단계 위험수준을 가리키는 것으로 곧 작업환경을 바꾸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VDT작업이 안 조절반응과 동공 대광반사에 미치는 영향 (Change on Lens Accommodation and Pupil Light Reflex in VDT works)

  • 김은아;김양호;진영우;채창호;최용휴;문영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0권3호
    • /
    • pp.599-608
    • /
    • 1997
  • 6명의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VDT작업으로 인한 조절반응 및 동공대광반사의 작업부과에 따른 변화와 다른 사무작업을 부과할 때와의 차이를 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VDT작업에서 작업부과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조절 수축속도가 감소했으며 1시간의 휴식시간 후에는 현저하게 증가했고 다시 작업을 부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절 수축속도의 변화보다는 뚜렷하지 않지만 이완속도도 VDT작업부과에 따라 감소되고 휴식에 의한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2. 일반 사무작업과 근거리 사무작업에서는 조절 수축속도에서 VDT작업부과때와 같은 반응은 보이지 않았으며, 근거리 사무작업에서 이완속도가 작업부과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휴식 후 회복되지 않았다. 3. 동공대광반사에서 최초동공직경, 최초동공면적은 VDT작업에서만 작업시간의 증가에 따라 유의한 감소를 보였는데 휴식 후 회복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조절 수축속도의 변화, 조절 이완속도, 동공직경과 면적의 변화가 VDT작업의 특성을 연구하는데 사용될 가능성을 보여주며, 이를 위해서 연구대상이 개인차, 생체리듬, 감정적 자극 등을 보정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VDT 물리적 조명환경에 관한 실태조사연구 (An Investigation of Lighting Environment in Offices Utilizing VDT)

  • 김정태;이영욱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지:조명전기설비
    • /
    • 제4권1호
    • /
    • pp.31-40
    • /
    • 1990
  • 사무작업의 자동화와 정보화 건물의 발달에 따라 VDT의 이용이 급격하게 증가됨에 따라 VDT를 사무작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사무실의 물리적 조명환경 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를 독일 기준과 비교할 때 VDT 화면중의 문자별 휘도비는 전체의 25.4%, 화면 전체의 휘도비는 28.6%가 기준에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을 마주보고 VDT작업을 할 경우 서류와 화면사이의 휘도대비는 매우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측창을 배경으로 VDT작업을 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작업면 사이의 휘도대비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도의 측면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VDT화면의 수직면 조도는 적절하게 나타났으나, 키보드와 서류의 수평면 조도는 외국기준의 1/2 정도로 나타나 보다 밝은 조명이 요구된다.

  • PDF

VDT 증후군의 환경적 요인과 관리에 관한 비교적 고찰 (Comparative Consideration for enviornmental factors and management of VDT syndrome)

  • 이일훈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93-97
    • /
    • 1996
  • 근래에 VDT증후군의 직,간접적인 사례가 여러 매체들을 통하여 알려지고 있다. VDT에 의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VDT 작업환경과 작업자를 관리하기 위한 기준과 모델을 제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VDT증후군은 단말기에 의한 직접적 자극뿐만 아니라 작업환경과 그 환경에서 작업자의 심리적 상태 등이 조합되어 영향을 주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로 인한 생산성의 변화는 무려 20%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된바있어서 VDT증군위의 영향은 작업자 개인 뿐만 아니라 조직의 운영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에 대하여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판단기준이 어떤 것인가를 고찰하였다.

  • PDF

현대제어 이론을 이용한 원전의 제어기술 연구현황 및 전망

  • 김동화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지:조명전기설비
    • /
    • 제4권3호
    • /
    • pp.26-36
    • /
    • 1990
  • 사무작업의 자동화와 정보화 건물의 발달에 따라 VDT의 이용이 급격하게 증가됨에 따라 VDT를 사무작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사무실의 물리적 조명환경 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를 독일 기준과 비교할 때 VDT 화면중의 문자별 휘도비는 전체의 25.4%, 화면 전체의 휘도비는 28.6%가 기준에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을 마주보고 VDT작업을 할 경우 서류와 화면사이의 휘도대비는 매우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측창을 배경으로 VDT작업을 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작업면 사이의 휘도대비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도의 측면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VDT화면의 수직면 조도는 적절하게 나타났으나, 키보드와 서류의 수평면 조도는 외국기준의 1/2 정도로 나타나 보다 밝은 조명이 요구된다.

  • PDF

VDT 작업 전·후 시기능 변화 (The Investigation of the Changes of Visual Problems in VDT Workers)

  • 강명진;최오목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33-39
    • /
    • 2002
  • 18세에서 30세 중반 사이의 남자 35명 여자 21명 총 56명을 대상으로 2시간 동안 VDT 작업을 하도록 한 후, 안구 및 전신 증상 등을 조사하고 순목 횟수, 눈물층파괴시간(BUT), 안검열의 높이, 시력, 타각적 굴절력, 조절력 등을 측정하였다. 안구증상에서는 눈의 피로를 느끼는 사람이 34%로 가장 많았고 시기능증상에서는 물체가 흐려 보이는 증상이 83%, 전신증상에서는 어깨가 아픈 사람이 3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VDT 작업 중의 순목 횟수가 8/min로 휴식 때의 22/min에 비해 많이 감소했다. VDT 작업 직후의 눈물층파괴시간도 약 7초로 작업 전의 약 12초보다 현저히 감소되었다. 안검열의 높이는 작업 전 7.69mm보다 작업 중에는 9.04mm로 증가하였다. 평균 나안시력은 VDT 작업 전에 0.63에서 작업 후에는 0.57로 약 9.5%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타각적 굴절이상은 0.28D 정도 근시화 경향이 보였다. VDT 작업 후 조절력은 1.49D 정도 감소하였는데 주로 조절근점 굴절력의 감소가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 폭주근점 굴절력도 0.87D 감소하였다.

  • PDF

VDT 작업 후의 조절기능 변화 (Changes in Accommodative Function after VDT Work)

  • 서은선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85-291
    • /
    • 2012
  • 목적: VDT 작업이 조절기능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조절기능 이상과 전신 및 안질환이 없고 교정수술을 받은 경험이 없는 대학생 48명(남 16명, 여 32명)을 대상으로 VDT 작업 전과 2시간 작업 후의 굴절력, 조절래그, 조절용이성, 상대조절력과 최대조절력, 순목 횟수 값을 측정하였다. 원거리 굴절교정 도수를 착용한 상태에서 모든 검사를 실시하였고 VDT 증후군의 자각증상에 관련된 항목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2시간동안 VDT 작업 후의 굴절력변화는 0.23 D 증가하였고, 조절래그 변화량은 우안에서는 $0.17{\pm}0.42D$, 좌안에서는 $0.23{\pm}0.47D$(t=2.26, p=0.03) 만큼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조절용이성과 상대조절력과 조절력은 VDT 작업 후에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순목 횟수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VDT 작업 후 안정피로가 33.4%, 어깨통증이 33.3%의 자각증상을 보였다. 결론: 2시간 VDT 작업 시간에 따라 조절래그는 증가하였고, 전반적인 조절기능의 능력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시각적 부담을 주는 증상으로는 안정피로가 가장 높은 자각도를 보였다.

VDT증후군 예방 프로그램 개발

  • 최은진;김유창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1년도 공동학술대회
    • /
    • pp.94-98
    • /
    • 2001
  • 최근 급속한 사무자동화와 함께 컴퓨터의 사용이 보편화되어 가고 있다. 또한, PC보급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직장에서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누구나 쉽게 컴퓨터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컴퓨터 등 VDT(Visual Display Terminal)를 장시간 들여다보며 작업을 하는 경우가 늘어나게 되고, VDT작업으로 인한 피로, 시각장애, 경견완장애(목, 어깨 및 손목질환), 요통 등과 같은 새로운 재해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었다.(중략)

  • PDF

VDT 직무에 따른 단기기억에서의다중자원처리에의 영향 (The Effects of VDT Tasks on Multiple Resources Processing in Working Memory)

  • 윤철호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91-199
    • /
    • 1996
  • 단순 VDT 작업에 의한 인간의 시각정보처리에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특히 서로 다른 model에 대한 정보처리에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피험자는 시각감시 작업과 데이타입력작업을 각각 50분씩 2회 수행하였고 서로 다른 model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적업 전, 중 ,후에 걸쳐 MD 및 PD 방법에 의한 과제가 실 시되었다. 실험결과, 단순 VDT 작업이라고 하더라도 작업 수행 내용의 차이에 따라 서로 다른 model에 대한 정보처리에의 영향이 다르게 나타날 수도 있다는 점이 시사되었다.

  • PDF

VDT 작업을 위한 최적치수 및 작업자세에 관한 연구 (Preferred settings of the VDT workstation dimensions posture)

  • 박수찬;이남식;장명현;김철중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13
    • /
    • 1991
  • As the VDT work constrains work postures because of its work characteristics. VDT worksta- tions should be properly designed so as to be fitted to various types of physical conditions of op- erator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referred settings of VDT wrokstation dimensions of operator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referred settings of VDT workstation dimensions and work postures were studied in order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dimensions and the work postures for VDT operators which will alleviate the musculoskeletal troubles or visual fatigue. The scpoe of the study is as follows. 1. Measurement and analysis of the preferred settings of the height of workstation, keyboard, seat, and screen among the experienced VDT operators. 2. Ana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ferred settings of workstation height and the seat height control among the experienced VDT operators. 3. Analysis of the work postures of the experienced VDT operato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