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

검색결과 1,247건 처리시간 0.025초

정상인에서 조도와 굴절이상도에 따른 시유발전위 검사 값의 변화 (The Changes of VEP Values According to the Luminance Conditions and Refractive Errors in Normal Persons)

  • 임현성;이군자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11-117
    • /
    • 2007
  • 약시의 진단 및 치료와 자각하지 못하는 영유아의 시력검사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VEP 검사는 검사실 조도와 굴절이상도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인에서 조도와 굴절이상도에 따라 나타나는 시유발전위(VEP) 검사값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안과 및 신경질환이 없는 시력이 1.0(20/20) 이상인 성인 41명(남자 24명, 여자 17명)을 대상으로 조도와 굴절이상도에 따라 VEP $P_{100}$ 잠복기와 진폭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Scotopic 상태에서 $N_{75}$ 잠복기는 $75.83{\pm}3.69$ msec, $P_{100}$ 잠복기는 $103.48{\pm}5.34$ msec, $P_{100}$ 진폭은 $14.86{\pm}2.43$ msec이며, photopic 상태에서 $N_{75}$ 잠복기는 $76.71{\pm}3.11$ msec, $P_{100}$ 잠복기는 $107.26{\pm}5.54$ msec, $P_{100}$ 진폭은 $10.35{\pm}1.75$ msec으로 측정되었다. Photopic 상태에서 $P_{100}$ 잠복기와 진폭은 scotopic 상태에서보다 모두 증가하였으며 두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p<0.01). 굴절이상을 유발한 경우 $P_{100}$ 잠복기는 scotopic 및 photopic 상태에서 모두 정시상태보다 지연되었으며(p<0.01), photopic 상태에서 더 많이 지연되었다. $P_{100}$ 진폭도 굴절이상을 유발한 경우 scotopic 상태와 photopic 상태에서 모두 정시상태보다 감소하였다. 정시상태의 $P_{100}$ 잠복기와 진폭은 scotopic 상태에서는 근시를 유발한 상태 값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정상인의 경우에 $P_{100}$ 잠복기와 진폭은 검사실 조도에 따라, 굴절이상도에 따라 측정값이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결과는 VEP 측정 시에 조도와 굴절이상도를 고려하여 측정값을 해석할 때 유용하게 사용되리라 생각된다.

  • PDF

비확공성 전향적 상완골 금속정 고정술후 견관절 기능에 대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평가: 초음파를 이용한 회전근 개 추시관찰 (Clinical and Radiographic Outcome of Shoulder Function after Unreamed Antegrade Intramedullary Nailing for Humerus Fracture: Ultrasonographic Evaluation for Rotator Cuff Integrity)

  • 백승훈;최창혁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9
    • /
    • 2013
  • 목적: 상완골 골절에 대한 비확공성 전향적 금속정 내고정술 시행 후, 초음파을 이용하여 회전근 개 상태 및 영향 인자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대상 및 방법: 상완골 골절로 골수강 내 금속정 내고정술을 시행받고 견관절의 초음파 검사를 시행한 17례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55.7{\pm}18.6$세였으며, 최초 수술 후 평균 추시 기간은 $43.5{\pm}32.2$개월이었다. 전 례에서 술중 회전근개 상태를 확인하였고, 4례(24%)에서 피부절개 후 회전근 개의 파열이 관찰되어 금속 봉합나사못을 이용하여 단열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visual analogue scale (VAS), 운동범위, Korean Shoulder Scoring System (KSS) 및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ociety (ASES) 점수를 측정하였다. 회전근개의 상태에 대한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고, 견관절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사선학적 유합 시기, 금속정 근위 첨부 돌출 및 근위 교합 나사의 이동을 평가하였다. 금속정 근위 첨부 돌출에 대해서는 방사선학적 검사와 함께 초음파적 검사도 병행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시 VAS는 평균 $1.65{\pm}1.84$, 운동 범위는 전방 굴곡 평균 $137.0{\pm}33.5^{\circ}$, 외회전 평균 $43.5{\pm}12.7^{\circ}$, 내회전 평균 $16.4{\pm}2.0^{\circ}$이었다. KSS점수는 평균 $79.6{\pm}20.7$점이었으며, ASES점수는 평균 $83.7{\pm}17.0$점이었다. 방사선학적 평가상 전례에서 골유합을 얻었으며, 골유합 기간은 평균 $3.4{\pm}1.3$개월이었으며, 근위 교합 나사의 이동이 6례(35%) 관찰되었다. 견관절 초음파 검사상 회전근 개는 정상 8례(47%), 굴곡변화 4례(24%) 및 부분파열 5례(29%)가 관찰되었으나 완전파열은 관찰되지 않았다. 금속정 첨부 돌출은 방사선 검사상 8례(47%), 초음파 검사상 총 11례(65%)에서 관찰되었고, 고령의 환자에서 호발하였다(p=0.038). 회전근 개의 굴곡 변화 및 부분파열은 첨부 돌출과 관련이 있었으나(p=006), 술전 파열의 봉합여부와는 관련이 없었다(p>0.05). 결론: 금속정 삽입술시 회전근 개 손상을 피하기 위하여 금속정 첨부의 연골하골 내 적절한 함입을 요하며, 초음파를 이용한 경과 관찰은 단순 방사선 검사상 파악하기 곤란한 금속정 첨부의 돌출 및 회전근 개 손상을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진단 및 평가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회전근 개 파열의 관절경하 봉합에서 새로운 봉합 방법의 이용 (The Use of Arthroscopic UU Stich for Rotator Cuff Tear and Clinical Results)

  • 고상훈;신승명;최영진;차재룡;박한창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1호
    • /
    • pp.67-72
    • /
    • 2011
  • 목적: 관절경하 회전근 개 봉합술은 여러 가지 봉합술이 알려져 있으나 저자들은 새로운 봉합법인 UU 봉합법의 임상적 결과와 해부학적 결과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0년 5월까지 본원에서 회전근개 파열에 대해 UU 봉합술을 시행한 156명 (남자: 88명, 여자: 6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는 55세 (38~75세)였으며 추시 관찰 기간은 평균 12개월 (6~23개월)이었다. 결과의 판정은 최초 내원 시점과 6개월, 1년과 최종 추시에 시행한 ASES 점수 중 통증에 대한 VAS, 기능에 대한 일상 (ADL), UCLA 점수 및 KSS 점수로 평가하였다. 추시 기간 중 술 후 3개월에서 6개월 사이에 MRI 촬영에 동의하는 환자에 한하여 MRI를 시행하여 재파열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결과: 통증 지표인 VAS는 술 전 평균 7.0에서 술 후 평균 2.7로 감소하였다 (p<0.05). UCLA 및 KSS score는 각각 22.2에서 32.5로, 83.7에서 91.5로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0.05). 능동적 관절 운동 범위는 전방 굴곡이 평균 125도에서 175도, 측방 외 회전이 평균 38도에서 58도, 외전이 평균 104도에서 169도로 향상되었다. 전체 환자 156예 중 술 후 3개월에서 6개월 사이에 MRI 촬영에 동의하여 시행한 117예 (75%) 중 재파열은 총 4예 (3%)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회전근 개 파열의 관절경하 봉합술로 UU 봉합법은 우수한 임상결과와 낮은 재파열을 보이는 방법이다.

해부학적 봉합이 불가능한 회전근 개 파열에서 관절경하 모서리 맞춤 술식을 이용한 봉합의 결과 (The Result of Rotator Cuff Repair Using Arthroscopic Margin Convergence Technique in Irreparable Large and Massive Rotator Cuff Tears)

  • 최의성;박경진;김용민;김동수;손현철;조병기;박지강;이형준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1호
    • /
    • pp.46-52
    • /
    • 2011
  • 목적: 해부학적 봉합이 불가능한 대파열 및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서 관절경하 모서리 맞춤 술식을 이용한 봉합술의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대파열 및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 환자 중에서 관절경하 모서리 맞춤 술식을 이용하여 비해부학적 봉합을 시행한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 견관절 전후 방사선 사진 상 상완 골두의 상방 전이를 측정하였고, 수술 후 6개월에 MRI 검사와 최종 추시 시에 KSS, UCLA score, Visual analogue scale (VAS)을 이용한 기능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22예의 환자 중 11예에서 수술 후 6개월에 시행한 MRI 검사상 양호한 치유 3예, 부분적 치유 4예, 재파열 4예였다. 술 전 및 술 후 최종 추시 시의 KSS는 평균 45.0${\pm}$8.014점에서 77.1${\pm}$10.151점으로, UCLA score는 평균 10.8${\pm}$2.302점에서 30.0 ${\pm}$1.521점으로 전반적으로 향상되었고, VAS는 평균 7.7${\pm}$0.616점에서 3.0${\pm}$1.021점으로 감소하였다. 술 전 MRI 상 fatty degeneration 정도가 Grade 3 이상일 경우 기능적 결과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해부학적 봉합이 힘든 대파열 및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서 관절경하 모서리 맞춤 술식을 이용한 부분적 봉합은 유의한 통증 감소와 좋은 기능적 결과를 보였다.

시험관내에서 captafol이 혈액학, 적혈구막 및 혈장생화학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ptafol on the hematological value, erythrocyte membrane and plasma biochemical value in vitro)

  • 김성훈;황화선;차신우;한상섭;노정구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07-511
    • /
    • 1993
  • Captafol은 phthalimide계통의 항진균제로써 difolatan이란 상품명으로 개발되어 과일, 채소의 탄저병 및 원목 등의 곰팡이 구제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국내에서도 두번째로 많이 생산, 사용되는 품목이나 독성실험에 관한 보고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aptafol 자체에 대한 독성기전의 일부를 확인하고자 동물체내에서 일어나는 여러가지 대사작용이 배제된 시험관내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랫트 혈액을 후대정맥으로 부터 채혈하여 4개의 시험관에 $2.5m{\ell}$씩 분주한 후 captafol 농도가 $0.1{\times}10^{-4}M$, $1{\times}10^{-3}M$, $1{\times}10^{-2}M$이 되도록 한 ethanol용액 $25{\mu}{\ell}$씩 넣고 $CO_2$ incubator에서 2시간 동안 부드럽게 혼합하여 혈액학적 성상 및 적혈구 취약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혈장에서 생화학적 성상 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적혈구수 및 hematocrit치는 captafol 투여량에 비례적으로 유의한(p<0.05) 감소를 나타내었다. 2. 적혈구막 취약성 실험에서 $1{\times}10^{-3}M$$1{\times}10^{-2}M$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p<0.01) 증가를 나타내었다. 3. 혈장내 potassium이온의 농도는 captafol의 투여량에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4. Total bilirubin 및 creatine kinase가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증가 및 감소하였다.

  • PDF

중국(中國) 소수민족(少數民族)의 민족복식(民族服飾)에 관(關)한 연구(硏究)(I) - 운남성(雲南省)의 소수민족(少數民族)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raditional Costume of China's Minorities (I) - Centering Around Yunna Province Minorities -)

  • 김영신;홍정민
    • 패션비즈니스
    • /
    • 제2권3호
    • /
    • pp.137-156
    • /
    • 1998
  •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studied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traditional culture about dress and ornament of Yunnan Province of Chin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Dress and personal ornaments of the Va peoples vary with the locality. Their traditional dress and adornment is characterized by those in the Ximeng area. Men usually wear black or dark blue collarless jackets and black and dark blue loose and short bagged trousers with folding waist. Women usually wear close-fitting sleeveless pullover blouses with V-shaped necks and straight skirts with patterns of red and black cross stripes. 2. Jingpo men have changed to wear shirts with button down the front and trousers. They also entwine white turbans with red bobbles on both ends, and carry diagonally long knives, firelocks and red woolen figured satchels on their shoulders. Women usually wear black velvet blouses with silver bowl-shaped ornaments and chains around collars and on the fronts. They also wear red straight skirts with overlapped slit on the right, waistbands and waist hoops made of rattan and bamboo. 3. The Naxi nationality has a long history and excellent traditional culture. In modern times, women like to wear red, blue or purple laced blouses, long double-layered pleated skirts, waistbands and embroidered shoes. They wear their hair in buns with either hats or kerchiefs over them. While working or going out, they put on their "seven-star" capes made of sheepskin and embroidered with two big circles and seven small ones, while is a symbol of their frog totem. 4. The dress and adorment of the Jinuo people is simple, elegant and has its own unique characteristics. Men usually wear white buttonless shirts with round necks and an opening on the front, knee-length bagged trousers and legging. They wear cloth turbans, earrings and also put small bamboo or silver pipes in the holes of their earlobes. Women wear short buttonless blouses with round necks and seven coloured stripes and thin tight-fitting or embroidered triangular underwear. 5. The dress and ardorment of the Benglong (De' ang) nationality has its own strong national colour. Most of the men wear jackets with buttons arranged diagonally on the front, loose, short trousers and black or white turbans. Some young men like to wear eardrops and silver necklaces. Women's dress and adornment differs according to various branches. For example, the women of the Bielie and Liang branches have their hair shaved and wear black turbans. They use large square silver tablets as buttons and wear blue or black blouses with buttons down the front. 6. Oai men usually wear trousers, white or blue cloth turbans and round-necked shirts with buttons down the front or arranged diagonally on the front. Women usually wear long straight skirt and blouses. But dress and adornment varies in regions. 7. The Bai nationality dress and adornment has unique national style. The dress fabrics are mainly cotton cloth, silk and velvet. Men usually wear red velvet vests over white shirts with buttons down the front or black velvet vests over light blue shirts. They also wear white of blue turbans and carry satchels with beautiful embroidered designs over their shoulders. Women usually wear red velvet vests over white blouses, or black vests over light-coloured blouses.

  • PDF

기관지확장증의 흉부고해상전산화단층촬영소견과 폐기량 및 폐확산능과의 관계 (Lung Volumes and Diffusing Capacity in Bronchiectasis: Correlation with the Findings of High Resolutional CT)

  • 김연재;박재용;원준희;김창호;강덕식;정태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4호
    • /
    • pp.489-499
    • /
    • 1999
  • 연구배경: 기관지확장증은 폐쇄성환기장애와 더불어 반복적인 폐감염으로 인한 주위 폐실질의 섬유화 및 흉막유착 등으로 인하여 경한 제한상 환기장애가 동반될 수 있다. 그리고 주위 폐실질의 과팽창이나 폐기종성변화도 관찰되어 이로 인한 폐용량 및 폐확산능의 변화가 예상된다. 방 법: 저자들은 1994년 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호흡기내과에서 고해상전산화단층촬영으로 기관지확장증으로 진단된 40예를 대상으로 기관지확장증의 형태, 중증도, 범위 및 동반된 폐기종유무와 폐기량, 폐확산능의 관계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 과: 남자가 18예, 여자가 22예였으며 연령은 평균 53세였다. 고해상전산화단층촬영소견상 원통형이 24예, 낭종형이 16예였으며, 기관지확장증이 있는 평균 폐 구역수는 원통형과 낭종형에서 각각 4.7개 및 7.0개로 낭종형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p<0.05). 확장증의 형태 및 중증도에 따른 VC는 낭종형에서 그리고 기관지확장증의 중증도가 심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고 RV, TLC, RV/TLC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LCI는 원통형에 비해 낭종형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기관지확장증의 중증도에 따를 차이는 없었다. $\triangle$N2/L은 확장증의 형태 및 중증도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개인차가 심하였다. $D_{LCO}$$D_{LCO}/V_A$는 원통형에 비해 낭종형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각각 p<0.1, p<0.05), 확장증의 중증도에 따라서 뚜렷히 감소하였다 (p<0.05). 기관지확장증의 범위와 폐기능성적들과의 상관계수는 VC, $D_{LCO}$ 및 LCI가 각각 -0.322, -0.339, 0.487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으나 RV, TLC, RV/TLC, $\triangle$N2/L와 $D_{LCO}/V_A$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고해상전산화단층촬영상의 폐기종의 범위와 폐기능성적들과의 상관계수는 VC 및 $D_{LCO}$는 각각 -0.574, -0.381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으며 RV, RV/TLC, LCI와 $\triangle$N2/L도 각각 0.435, 0.552, 0.333과 0.427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결 론: 이상의 결과로 낭종형과 기관지확장증의 중증도에 따른 폐활량 및 폐확산능의 감소와 흡기의 폐내분포는 기관지확장증의 범위 및 동반된 폐기종의 범위와 관계가 있고, 잔기량은 동반된 폐기종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한국인에서 XPC 유전자의 다형성과 원발성 폐암의 위험도 (Polymorpshisms of XPC Gene and Risk of Primary Lung Cancer in Koreans)

  • 김경록;이수연;최진은;김경미;장상수;정치영;강경희;전경녀;차승익;김창호;감신;정태훈;박재용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3권2호
    • /
    • pp.113-126
    • /
    • 2002
  • 연구배경 : 폐암의 80-90%는 흡연과 관계가 있으나 흡연자의 일부에서만 폐암이 발생하는 현상은 개체의 유전적 소인이 폐암발생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임을 시사한다. 저자들은 한국인에서 DNA 회복 유전자인 XPC 유전자의 codon 499와 codon 939 다형성 그리고 intron 9에 존재하는 poly(AT) 삽입/결손 (PAT) 다형성에 따른 폐암의 위험도를 조사하였다. 방 법 :1998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내과에서 병리학적으로 폐암으로 확진된 남자 폐암환자 21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악성종양으로 진단받은 과거력이 있는 사람은 제외하였다. 대조군은 1998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40세 이상의 검진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호흡기질환이나 악성종양이 있는 경우는 제외하였다. 대상인의 나이, 성, 흡연력, 과거력 등은 면접이나 병력지를 통해 얻었으며, 시료는 전혈 5cc에서 DNA를 추출하고 PCR 혹은 PCR-RFLP법을 통해 XPC 유전자의 다형성을 조사하였다. 결 과: 조사한 3부위의 XPC 유전자의 유의한 관계가 없었으며 연령, 흡연력, 흡연 인-년등으로 구분한 경우에도 다형성에 따른 폐암의 위험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폐암의 조직형을 구분하여 비교한 경우에도 XPC 유전자의 다형성과 폐암의 위험도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XPC 유전자의 Va1499Ala, PAT, Lys939Gln 다형성은 다형성간에 연관비평형 (lingkage disequilibrium) 있었으며, 특히 PAT 다형성과 Lys939Gln 다형성은 kappa 치가 0.87로 높았다. XPC 유전자의 3부위다형성의 haplotype도 폐암과 유의한 관계가 없었으며, 연력, 흡연력, 흡연 안-년, 조직형을 구분한 경우에도 haplotype에 따른 폐암의 위험도는 유의차이가 없었다. 결 론: 한국인에서 XPC 유전자의 codon 499와 codon 939 다형성과 PAT 다형성은 폐암의 위험도를 결정하는 주요 인자는 아닌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 여성에서 중증자궁내막증과 CYP1B1 유전자 다형성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Association of the CYP1B1 Gene Polymorphism with the Risk of Advanced Endometriosis in Korean Women)

  • 조연진;허성은;이지영;송인옥;궁미경;문혜성;정혜원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3권2호
    • /
    • pp.85-95
    • /
    • 2006
  • 목 적: CYP1B1은 자궁내막증의 발생과 관련된 에스트로겐의 대사 및 dioxin의 대사 모두와 관련이 있는 유전자로 생각하여 자궁내막증의 발생위험과 CYP1B1의 codon 119G${\rightarrow}$T, 432G${\rightarrow}$C, 449T${\rightarrow}$C, 453A${\rightarrow}$G의 유전자 다형성과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병리조직학적으로 자궁내막증 III기와 IV기임을 확인한 여성 199명과 대조군으로 자궁내막증 환자군과 연령이 비슷한 여성에서 양성 난소 낭종으로 수술을 시행하여 자궁내막증이 없음을 육안으로 확인한 183명을 대상으로 PCR 및 RFLP를 시행하여 CYP1B1의 codon 119G${\rightarrow}$T, 432C${\rightarrow}$G, 449T${\rightarrow}$C, 453A${\rightarrow}$G의 다형성을 조사하였다. 결 과: CYP1B1에서 $Ala^{l19}Ser$, $Va1^{432}Leu$, $Asn^{449}(T^{449}{\rightarrow}C)$, $Asn^{453}Ser$ 각각의 유전자 다형성은 그 분포와 위험도에 있어서 자궁내막증 환자와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CYP1B1에서 앞서 밝힌 4가지 codon의 다형성을 조합한 결과 GG/CC/CC/AA의 유전자형을 갖는 여성에 비해 GG/GC+GG/TC+TT/AA의 유전자형을 갖는 경우만이 자궁내막증의 위험도가 2.056 (95% CI: 1.003-4.216)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이상으로 볼 때 한국인 여성에서 중증자궁내막증 발생은 CYP1B1의 유전적 다형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향후 자궁내막증의 발생 기전을 밝히는데 주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본다.

만성 경추 동통 환자에서 초음파를 이용한 후관절 차단술의 진단 및 치료적 유용성 (Diagnostic and Therapeutic Utility of Ultrasonography-guided Facet Joint Block in Chronic Cervical Spinal Pain)

  • 김태균;심대무;오성균;최병산;한상수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54-58
    • /
    • 2010
  • 목적: 만성적으로 경추 동통을 호소하는 환자의 통증의 근원은 대부분 후관절인데, 증상을 일으키는 관절의 정확한 위치 확인의 어려움과 합병증 및 위약효과의 가능성으로 인해 임상에서의 적용에 의구심을 가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만성 경추 동통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후관절 동통의 유병율을 평가하고 진단 및 치료적 목적의 초음파를 이용한 후관절 차단술의 유용성에 대해 보고한다. 대상 및 방법: 만성적이면서 비특이적인 경추 동통을 6개월 이상 호소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통을 동반한 추간판 탈출 관련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는 그 대상에서 제외되었으며, 물리 치료나 척추 교정 요법, 약물 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 요법에 실패한 환자 1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경추 동통에 대한 진단적 후관절 차단술은 1% 리도카인(lidocaine)을 사용하여 시행하였으며, 리도카인에 양성 반응을 보인 환자에 대해서는 2주 뒤 0.25% 부피바카인(bupivacaine)을 사용하였으며, 후관절 차단술 시행 이후 경추 운동시 75% 이상의 통증 감소를 보일 경우를 양성 반응으로 고려하였다. 결과: 만성 경추 동통을 호소하는 환자 160명 가운데 리도카인을 이용한 후관절 차단술에 96명, 60% 양성반응을 보였으며, 리도카인에 음성반응을 보인 환자 64명 가운데 부피바카인에 48명, 75% 양성반응을 보였다. 리도카인에 양성반응을 보였으나 부피바카인에 음성반응을 보인 가양성 환자는 48명, 50%에 해당하였다. 총 160명의 환자들의 시술 전 VAS는 평균 8.5이었으며, 2주 추시시 2.7 (p=0.001), 4주 추시시 3.6 (p=0.001)로 감소하였다. 초기 시술로 증상의 호전이 만족스럽지 않았던 8명과 경과 관찰 도중에 악화되었던 3명은 4주째 후관절 차단술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여 통증의 완화를 보였다. 결론: 만성 경추 동통을 호소하는 환자에 대해 초음파를 이용한 단일 차단술은 가양성 반응이 높아 진단적 가치가 상대적으로 낮으며, 후관절에 시행한 두 번의 차단술은 만성 경추 동통 환자의 중재적 통증 조절에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