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terine cervix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28초

자궁 경부암의 방사선 치료계획에서 자기공명 영상을 이용한 조사야 교정 (Treatment Planning Correction Using MRI in the Radiotherapy of Cervical Cancer)

  • 신세원;조길호;박찬원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2권2호
    • /
    • pp.203-209
    • /
    • 1995
  • 본 연구는 최근에 개발되어 임상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자기공명 영상상을 20명의 자궁 경부암 환자의 치료계획에 적용하여 전통적인 치료계획과 비교하여 아래의 결과를 얻었다. 1. 측방 조사야의 가로길이는 11 cm가 7명(35%)으로 가장 많았으며, 10 cm가 6명(30%), 9 cm와 12 cm가 각각 3명(15%)이었으며 13 cm는 1명(5%)이었다. 2. 측방 조사야의 중심 이동은 자궁의 크기나 골반의 횡경과는 무관하였다. 3. 자기공명 영상을 이용한 방사선치료계획을 한 결과 전통적인 방법으로 결정된 전골반 측방 조사야의 변경이 20명 중 5명(25%)에서 있었으므로 향후 자궁 경부암이나 자궁 체부암의 정확한 치료를 위해서는 자기공명 영상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하였으며 향후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자기공명 영상을 이용한 방사선치료 성적을 전통적인 방법에 의한 성적과 비교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 PDF

횡격막 아래 장기에서 발생한 악성 종양의 경부림프절 전이 사례 분석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form non-head & neck sites: below diaphragm)

  • 김진일;송슬기;석준걸;이민형;한성준;정영호;안순현;정우진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7-21
    • /
    • 2018
  • Background/Objectives: Cancers of the abdominal or pelvic organ rarely metastasize to the cervical lymph nodes. Although it indicates distant metastasis, perceivable prolongation of survival or cure may be possible in selected cases. We sought to identify patients with cervical metastasis from cancers below the diaphragm and identify patients who may benefit from aggressive treatment. Materials & Methods: From 2009 to 2017, patients with pathologically confirmed metastatic cervical lymph nodes originating from below the diaphragm were included for analysis. Patient demographics, cancer characteristics, treatment course, and clinical outcomes were analyzed. Results: 208 patients were identified. Left supraclavicular node (Virchow's node) was the most frequently involved. Irrespective of treatment, survival for uterine cervical and ovarian cancers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at of other primaries. Patients with isolated cervical metastasis (oligometastasis) had significantly longer median survival compared to patients with concomitant bone, lung, brain, and mediastinal metastases. Conclusion: Although cervical metastasis from cancers of the abdominal and pelvic organ represent distant metastasis, patients with uterine cervix and ovary primary and oligometastatic lesions may benefit from aggressive treatment. Prudent patient selection and further investigation is warranted.

자궁경부암의 방사선치료시 예후인자의 재분석 (Analysis of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with Carcinoma of Uterine Cervix)

  • 김재영;조철구;심재원;류성렬;김미숙;윤형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4권4호
    • /
    • pp.307-315
    • /
    • 1996
  • 목적 :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자궁경부암 환자들의 생존율을 예후인자별로 비교분석함으로써 방사선 치료의 지표로 삼고자 하였다. 방법 : 1987년 1월부터 1988년 12월까지 자궁경부암으로 진단받고 본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던 460명의 환자에 대한 치료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방사선치료 방법으로는 외부방사선 조사만 시행한 군이 103예, 외부방사선 조사 및 자궁강내 방사선 치료를 함께 시행한 군이 357예였다. 추적율은 88%, 총 추적 기간의 중앙값은 48개월이었다. 결과 :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66.2%였다. FlGO 병기에 따른 5년 생존율은 Ib 81.2%, IIa 76.3%, IIb 73.1%, IIIa 50%, IIIb 52.3%, IVa 11.5%였다. 예후인자에 대한 분석에서 종양의 크기(P=0.0002), 림프절의 전이여부(p=0.0001), 종양의 성장형태(p=0.003), 치료 당시의 혈중 혈색소 농도(p=0.0001), 종양 세포의 종류(p=0.0001)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예후인자였으며, 35세 미만의 조기 발병인 경우 생존율의 감소가 관찰되었다(p=0.03). 그외 편평상피세포암의 종양 세포의 각질화 유무, 강내 방사선 치료 회수 등에 의한 생존율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 자궁경부암의 방사선 치료시 주요 예후인자로는 종양의 크기 및, 성장형태, 림프절의 전이여부, 방사선치료시의 평균 혈중 혈색소치, 종양 세포의 종류등 이었다. 또한 35세 이전의 조기 발병 시에도 생존율이 감소하였다. 종양의 크기가 크면서 내장성 종양이거나, III기 이상이면서 종양이 큰 경우 등은 생존율의 향상을 위해 좀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 PDF

근칙적 절제술과 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자궁경부암 환자의 치료성적, 예루인자와 실패양상 (Adjuvant Radiotherapy Following Radical Hysterectomy and Bilateral Pelvic Lymph Node Dissection for the Uterine Cervical Cancer : Prognostic Factors and Failure Patterns)

  • 최두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5권4호
    • /
    • pp.357-367
    • /
    • 1997
  • 목적 : 근치적 절제술과 골반림프절 절제술을 시행한 자궁경부암 환자 중에서 치료실패의 위험인자가 있어서 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성적, 예후인자, 실패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FIGO 병기 IB, IIA와 IIB 환자 중에서 근치적 수술과 방사선치료를 시행하고 추적조사가 가능하였던 1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은 1985년 3월부터 1994년 3원까지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최소 추적기간은 24개월이었다. 모든 환자는 4-MV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외부방사선치료를 전골반에 50-6OGy를 조사하였고 일부 환자는 코발트를 이용한 고선량율 강내치료를 추가하였다. 결과 :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과 5년 무병 생존율은 각각 $75.4\%,\;73.5\%$였고, 단변수 분석상 5년 무병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림프절 전이 유무, 개수와 위치, 종양의 크기, 자궁체부 침운, 자궁주위조직 침윤, 병기, 자궁경부벽 침윤정도, 질 절제면 양성, 그리고 치료 관계 인자로 방사선량, 강내치료, 항암제 등이 통계상 유의하였으며, 다변량 분석상 림프절 전이와 종양의 크기, 질 절제면 양성이 유의하였다. 치료 실패는 33명이었고 2명은 다른 원인으로 사망하였고 부위별로는 국소재발이 13명, 원격전이 13명 국소-원격 동시 실패가 7명이었고 추적 종료시점까지 5명이 생존하였다. 국소재발은 병기 IB, 림프절 전이 양성 또는 질 절제면 양성 환자에서 많이 발생하였으며 림프절 전이 음성환자에서는 빈도는 낮았으나 원격전이가 상대적으로 더 많았다. 그리고 병기 lIB에서 5년 생존율 은 $56\%$ 였고 22명 중에서 9명이 재발하였다. 결론 : 수술후 방사선치료는 비교적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다수의 재발 위험인자들을 가진 환자에게 술후 방사선치료만으로는 재발을 막기가 충분하지 않으므로 방사선감작제의 추가나 동시방사선-항암치료 등의 보다 효과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성각되며, 술혹 방사선치료의 효율을 정하기 위하여 무작위 표본 추출에 의한 전향적 연구가 필오하다. 그리고 병기 IIB는 항암치료와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해도 치료 성적이 나쁘므로 일차적으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해야한다.

  • PDF

자궁경부암의 방사선치료 및 방사선항암화학 병용치료에 따른 유전자발현 조절양상 (Gene Expression Profiles in Cervical Cancer with Radiation Therapy Alone and Chemo-radiation Therapy)

  • 이규찬;김명곤;김주영;황유진;최명선;김철용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1권1호
    • /
    • pp.54-65
    • /
    • 2003
  • 목적 : 동시에 대량으로 유전자발현 양상을 검사할 수 있는 cDNA microarray 기법을 이용하여 자궁경부암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유전자발현 양상을 알아보고, 방사선치료 및 방사선 항암화학요법 병용치료시의 유전자발현 변화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자궁경부 편평상피암으로 확진된 후 근치목적 방사선치료를 단독으로 시행한 8명과 항암화학요법을 병행한 8명에서 채취한 종양조직을 대상으로 하고, 정상 자궁경부 3례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조직 생검은 치료 전과 외부 방사선치료 16.2$\~$27 Gy에 두 번하였다. 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한 경우, 5-FU 1,000 mg/m$^{2}$을 제 1일부터 5일까지 정주하고, clsplatin 60 mg/m$^{2}$을 제 1일에 정주하였다. cDNA microarray는 종양조직에서 추출한 total RNA를 역전사(reverse transcription)방법을 이용하여 (P-33)을 표지한 cDNAS를 제작, nylon membrane에 hybridization하였다. 이후 membrane을 phosphor-imager screens에 옮겨 1$\~$5일 동안 노출시킨 후 이미지를 스캔하였다. 유전자의 발현정도는 각 스팟(spot)들의 방사능 강도로 나타나는데, 각 스팟의 픽셀(pixel)을 Arrayguage를 사용하여 산출한 후 엑셀파일로 저장하였다. 유전자의 발현정도 비교는 원 자료(original data)를 Z-변환을 통해 보정(normalized)한 후 Z-ratio값을 산출하여 시행하였다. 결과 : 대조군에 비해 자궁경부암에서 Z-ratio 2.0 이상으로 유의한 발현증가를 보인 유전자들은 integrin-linked kinase, CDC28 protein kinase 2, Spry 2, ERK 3 등 15개로 주로 세포성장과 증식, 세포주기, 신호전달 등에 관련된 유전자들이었으며, Z-ratio -2.0 이하의 유의한 발현감소는 G protein-coupled receptor kinase 6외 6개였다. 방사선 단독치료를 시행한 후 Z-ratio 2.0 이상 발현이 증가한 것은 cyclic nucleotlde gated channel외 3개의 Expressed sequence tags (EST)들이었고, Z-ratio -2.0 이하의 발현감소를 보인 것들에는 치료전 종양세포에서 발현이 증가되었던 세포성장과 증식, 세포주기, 신호전달 등에 관련된 유전자들이 포함되었다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요법을 병용했을 때는 방사선 단독치료에 비하여 세포성장과 증식 및 신호전달 관련 유전자들이 상대적으로 높게 발현되었으며, 이외에도 혈관형성(angiopoietin-2), 면역반응(formyl peptide receptor-like 1), DNA 손상회복에 관련된 유전자(CAMP phosphodiesterase)의 발현은 증가되고 세포고사(death associated protein kinase)에 관련된 유전자는 발현 감소를 보였다. 결론 : 자궁경부암에서분열과 증식 및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여러 종류의 유전자들 발현이 동시다발적으로 증가되어 있다는 것과 방사선치료를 시행하면 이들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하여 종양세포의 분열과 증식이 저해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방사선 단독치료와 항암화학요법 병용치료를 비교하면 그 유전자 발현양상이 다르므로 향후 이번연구에서 나타난 유전자들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이는 개별화된 맞춤형 치료법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궁목질 바른표본에서 비정형 편평세포의 p16에 대한 면역세포화학염색 (Immunocytochemical Staining for p16 of Atypical Squamous Cells in Cervicovaginal Smear)

  • 김활웅;이종실;이정희;고경혁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8-32
    • /
    • 2004
  • It was reported that the main cause of intraepithelial neoplasm an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is human papilloma virus infection, and that the expression of p16 is increased in cells infected by human papilloma virus. We performed an immunocytochemical staining for protein p16 in 17 cases of cervocovaginal smears initially diagnosed as atypical squamous cells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to know whether the staining could help the differentiation of neoplastic cells from reactive atypical cells. Of 17 smears, 6 were diagnosed finally as high grade intraepithelial neoplasm or 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by follow-up biopsy and smear, and 5 of the 6 were positive for p16. Three were diagnosed as koilocytosis, and one of them was weakly positive for p16. Eight were diagnosed as reactive atypical cells, and all of them were negative for p16. We thought that immunocytochemical staining of p16 in cervocovaginal smears could help the differentiation of neoplastic cells from reactive atypical cells.

Changes of Sex Hormones and Cervical Mucus in Estrus-synchronized Himalayan Tahrs (Hemitragus jemlahicus) in Non-breeding Season

  • Yong, Hwan-Yul;Kim, Myoung-Ho;Ha, Yong-Hee;Kim, Han-Woong;Kim, Mi-Young;Cho, Dong-Gil;Oh, Chang-Sik;Kim, Doo-Hee;Lim, Yang-Mook;Yoo, Mi-Hyun;Bae, Bok-Soo;Kim, Seung-Dong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19-222
    • /
    • 2011
  • Eight female Himalayan tahrs (Hemitragus jemlahicus) were estrus-synchronized, and transcervically inseminated with frozen-thawed semen in September, 2009, about 2 to 3 months earlier than their natural breeding season. Intravaginal progesterone-releasing devices were inserted into vaginas of six Himalayan tahrs on September 7, and the other two on September 8 to suppress luteal function of ovaries. The devices had been placed deep inside the vagina prior to withdrawal on September 23. A day before CIDR removal, a combination of PMSG 400 IU and hCG 200 IU was intramuscularly injected. Forty hours later, frozen-thawed semen was transcervically inseminated. Pregnancy diagnosis was performed 39 days later by analyzing progesterone level of serum. Every treatment was done under anesthesia inducted by xylazine injection. In conclusion, vaginal discharge of cervical mucus, hormonal changes induced by implant-typed or muscularly injectable hormones and widening of cervix enough to insert an insemination gun into uterine body were achieved in non-breeding season. Moreover, the first inseminated Himalayan tahr, 36 hours after CIDR removal was assumed to be pregnant but the fetus may have been lost due to the use of anesthetic drug.

Multifocal kaposiform hemangioendothelioma of soft tissue with bilateral pulmonary involvement in an adolescent

  • Azma, Roxana;Alavi, Samin;Khoddami, Maliheh;Arzanian, Mohammad Taghi;Nourmohammad, Armin;Esteghamati, Sadaf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7권11호
    • /
    • pp.500-504
    • /
    • 2014
  • Kaposiform hemangioendothelioma (KHE) is a rare, locally aggressive vascular tumor of intermediate malignancy with resemblance to Kaposi sarcoma. It occurs predominantly in pediatric age groups as a cutaneous lesion with focal infiltration into the adjacent soft tissue and bone. Although visceral involvement is very uncommon, several cases with bone, retroperitoneal, or mediastinal involvement have been described. KHE has been reported to occasionally occur in unusual sites such as the thymus, tonsils, larynx, paranasal sinuses, deltoid muscle, spleen, uterine cervix, thoracic spine, and even the breast. Multifocal KHE is an extremely rare entity with few reports available in the literature, none of which describes pulmonary involvement. Herein, we report a unique case of multifocal KHE in a 13-year-old boy presenting with a huge soft tissue mass in the upper extremity complicated by bilateral pulmonary nodules that developed into large, necrotic tumor masses.

증상완화목적의 방사선치료 (Palliative Radiotherapy)

  • 이창걸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2권1호
    • /
    • pp.1-4
    • /
    • 2009
  • 방사선치료의 목적은 완치목적 그리고 증상완화목적 두 가지로 나뉜다. 전체 암환자의 약 45%는 방사선치료를 받으며 이중 25${\sim}$30%는 증상완화목적의 치료를 받고있다. 방사선치료는 비록 생존기간의 연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증상완화효과는 대단히 우수하며 임종시까지 삶의 질을 유지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증상완화 방사선치료의 적응증으로는 골전이에 의한 통증, 뇌전이, 척수압박으로 인한 신경학적 증상, 암으로 인한 기관지, 식도, 상대정맥 폐쇄 증상, 기관지, 비뇨생식기계 직장의 암성출혈 등이다. 이 중 골전이에 대한 치료가 가장 흔한 적응증이며 통증조절 외에 병적골절예방 및 척수압박예방의 효과를 가지며 약 70${\sim}$80%의 증상 완화효과를 나타낸다.

  • PDF

Human papilloma virus in oral cancer

  • Kim, Soung M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2권6호
    • /
    • pp.327-336
    • /
    • 2016
  • Cervical cancer is the second most prevalent cancer among women, and it arises from cells that originate in the cervix uteri. Among several causes of cervical malignancies, infection with some types of human papilloma virus (HPV) is well known to be the greatest cervical cancer risk factor. Over 150 subtypes of HPV have been identified; more than 40 types of HPVs are typically transmitted through sexual contact and infect the anogenital region and oral cavity. The recently introduced vaccine for HPV infection is effective against certain subtypes of HPV that are associated with cervical cancer, genital warts, and some less common cancers, including oropharyngeal cancer. Two HPV vaccines, quadrivalent and bivalent types that use virus-like particles (VLPs), are currently used in the medical commercial market. While the value of HPV vaccination for oral cancer prevention is still controversial, some evidence supports the possibility that HPV vaccination may be effective in reducing the incidence of oral cancer. This paper reviews HPV-related pathogenesis in cancer, covering HPV structure and classification, trends in worldwide applications of HPV vaccines, effectiveness and complications of HPV vaccination, and the relationship of HPV with oral cancer preval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