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atment Planning Correction Using MRI in the Radiotherapy of Cervical Cancer

자궁 경부암의 방사선 치료계획에서 자기공명 영상을 이용한 조사야 교정

  • Shin, Sei-One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Cho, Kil-Ho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Park, Chan-W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신세원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교실) ;
  • 조길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박찬원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5.12.30

Abstract

Purpose: To evaluate the role of MRI in the management of cervical cancer treated by conventional four-field whole pelvic irradiation. Method and material: Between 1993-march and 1994-february, 20 patients(4 Stage I B, 3 Stage II A, 13 Stage II B) with invasive cervical cancer were eligible for evaluation of accuracy of conventionally designed lateral treatment field without MRI determination. Results: 5 out of 20 Patients had inadequate margin without MRI. The position of uterine fundus was more important than cervix in correction of field size and the center of treatment field. Conclusion: This Preliminary data show MRI determination of uterine position prior to radiotherapy planning is essential in the case of four-field whole pelvic irradiation technique.

본 연구는 최근에 개발되어 임상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자기공명 영상상을 20명의 자궁 경부암 환자의 치료계획에 적용하여 전통적인 치료계획과 비교하여 아래의 결과를 얻었다. 1. 측방 조사야의 가로길이는 11 cm가 7명(35%)으로 가장 많았으며, 10 cm가 6명(30%), 9 cm와 12 cm가 각각 3명(15%)이었으며 13 cm는 1명(5%)이었다. 2. 측방 조사야의 중심 이동은 자궁의 크기나 골반의 횡경과는 무관하였다. 3. 자기공명 영상을 이용한 방사선치료계획을 한 결과 전통적인 방법으로 결정된 전골반 측방 조사야의 변경이 20명 중 5명(25%)에서 있었으므로 향후 자궁 경부암이나 자궁 체부암의 정확한 치료를 위해서는 자기공명 영상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하였으며 향후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자기공명 영상을 이용한 방사선치료 성적을 전통적인 방법에 의한 성적과 비교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