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 of Libraries

검색결과 882건 처리시간 0.026초

공공도서관의 효율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iciency Evaluation of the Public Libraries)

  • 윤혜영
    • 정보관리연구
    • /
    • 제41권3호
    • /
    • pp.67-84
    • /
    • 2010
  • 본 연구는 대전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17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DEA기법을 사용하여 상대적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투입요소로는 직원수, 면적, 장서수가 사용되었으며 산출요소로는 이용책수와 이용자수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공공도서관의 평균 효율성은 64.15%로 평가되었다. 효율적인 도서관은 4개관으로 전체의 24%에 불과하였으며, 전반적으로 비효율적인 도서관들의 비효율성은 투입물에 비해 산출물의 과소사용에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의학도서관의 웹페이지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실태조사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Webpage in the Medical Libraries in Seoul)

  • 조찬식;한혜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33-151
    • /
    • 2005
  • 인터넷의 보급으로 웹페이지가 일상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면서 도서관에서도 웹페이지를 통한 정보봉사와 홍보 등이 일반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도서관 웹페이지의 운영 및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가고 있다. 본 연구는 웹페이지와 그에 대한 운명 및 관리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서울시에 소재한 의학도서관의 사서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도서관의 웹페이지 운영 및 관리에 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 PDF

공공도서관의 순회전시 운영 방식과 이용자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Method and Users' Perception of Traveling Exhibition in Public Libraries)

  • 지선혜;이지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95-117
    • /
    • 2020
  • 공공도서관에서 이용자의 지적·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제공하는 문화 프로그램의 하나로 전시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에서 운영하는 순회전시 운영 방식과 홍보 방법의 차이를 알아보고 순회전시의 이용 정도에 따른 이용자의 인식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책 속 인물에게 보내는 한글 손 편지' 수상작 순회전시를 연구 프로그램으로 선정하여 5개 공공도서관의 이용자 총 38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순회전시의 운영 방식에 따라 전시 이용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시홍보물'과 '도서관 홈페이지'는 순회전시 홍보를 위한 유용한 수단으로 나타났다. 또한 순회전시를 적극적으로 이용한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 순회전시 효과, 순회전시 평가가 소극적인 이용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통해 순회전시의 이용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 대학도서관 학생 관외대출제도에 관한 조사연구 (A Survey Research on the Circulation System for Students of College and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 손정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9권
    • /
    • pp.145-178
    • /
    • 1982
  • This is a survey of the circulation system for students in college &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The survey used a questionnaire with 14 questions on 6 items concerning the various aspects of the circulation system in 82 libraries responded among 85 college & university libraries as of 1981. The survey results discovered many problems needing improvement. The following list describes the measures needed to better the problems found in the survey results of 82 libraries. 1. 67.1% of the libraries shows the restricted volumes loaning less than 2 volumes, and 81.7% of the libraries shows the loan periods less than a week, but it is desirable to extend them, when comparing with the size of holdings and the higher educational system at present. 2. It is desirable that the number of a staff in charge of circulation works places one person per average 75-85 books borrowed a day, when calculating an adequate number of the staff on the ba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books borrowed a day and number of the staff. 3. 59.8% of the libraries does not have reserved book system, but it is desirable to take it for increasing reliability about the circulation services. 4. More than half of the libraries takes a method of a public announcement on a notice-board for claims of overdue books, but it is desirable to send a claim notice to the individual in viewpoint of keeping their privacies. 5. More than half of the libraries to take the open access system uses a call slip, but it is desirable not to use it in viewpoint of simplic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charging system, because of demanding the unnecessary records. 6. Most of libraries shows many problems of the charging system, especially in factors of the records and filing system, but it is desirable to improve it on the basis of 4 basic factors of the charging system, that is, simplicity, economical efficiency, promptitude and accuracy.

  • PDF

국가도서관과 지역대표도서관의 도서기호 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Book Numbers in the National Libraries and Regional Central Libraries in Korea)

  • 정연경;장윤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79-97
    • /
    • 201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2개 국가도서관과 9개 지역대표도서관, 서울시립정독도서관을 대상으로 담당 사서들의 도서기호에 대한 인식 및 문제점을 조사하고 각 도서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도서기호의 현황을 분석하여 도서기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도서기호의 가장 큰 문제점은 도서기호의 중복으로 인해 길어지는 도서기호의 길이로 나타났으며 도서기호 현황 분석을 통해 도서기호의 중복과 함께 직관성 부족이라는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이용자 친화적이면서 간단하게 부여할 수 있는 저자명순과 연대순 방식을 조합한 새로운 도서기호법의 구성 요소를 제안하였다.

디지털 자본의 형성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역할 (The Roles of Public Libraries for the Formation of Digital Capital)

  • 이승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521-540
    • /
    • 2021
  • 본 연구는 개인적, 사회적으로 축적되는 디지털 자본의 형성 요인을 디지털 접근과 디지털 역량으로 구분하고, 디지털 자본의 형성에 공공도서관의 이용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공도서관의 프로그램 참여와 정보서비스의 이용, 디지털 장서의 이용은 개인적, 사회적 차원에서의 디지털 자본 형성과 축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공도서관의 디지털 장서 이용은 디지털 콘텐츠의 생성이나 온라인 네트워크 기반의 협업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이 사회적 자본으로서의 디지털 자본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지식정보의 제공 역할뿐만 아니라 디지털 기반 협력체계로서의 역할 또한 수행해야 한다.

사회자본과 문화자본 형성 기제로서의 공공도서관의 역할 (The Roles of Public Libraries as a Construction Mechanism of Social and Cultural Capital)

  • 이승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39-160
    • /
    • 2018
  • 본 연구는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형성 및 이들 사이의 연계, 그리고 이들 자본이 재생산하는 사회적 계급의 해소를 위해 공공도서관이 어떠한 역할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사회자본, 문화자본 및 공공도서관 이용과 관련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공공도서관의 이용은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형성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학력수준과 소득수준이 높은 계급일수록 공공도서관의 이용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공공도서관의 이용이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으로 인한 사회적 계급화의 해소에는 부분적인 영향만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이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평등한 형성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개방된 사회적 교류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문화자원에 대한 접근 및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기능이 보다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대학도서관 모바일 서비스 이용자의 요구와 이용 분석 연구 (User Needs and Uses of Mobile Services in Academic Libraries)

  • 김성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05-230
    • /
    • 2013
  • 대학도서관은 모바일 웹사이트를 구축하고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함으로써 모바일 기기를 통해서도 도서관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모바일 서비스의 양적 증가만이 아닌 질적 성장을 위해 모바일 도서관 서비스 이용자들의 요구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도서관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이용경험과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모바일 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모바일 웹과 모바일 앱을 통해 적극적인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2개의 대학도서관을 선정하고 재학생 60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바일 도서관 이용빈도 및 목적, 이용/비이용 요인, 접근 경로, 주요 이용 서비스, 서비스 만족도, 불만족요인, 개선사항 등을 조사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이용자 관점에서 모바일 도서관 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을 서비스 개선과 이용률 제고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Comparison of Librarians' Perception on Metaverse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 in Use

  • 이경진;이채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293-319
    • /
    • 2023
  • As libraries strive to improve their services, many have expressed interest in implementing new technologies. One such technology is metaverse, a virtual-reality space that enables social activities using avatars. However, implementing this technology can be challenging when many librarians are unfamiliar with the concep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librarians' prior experiences with metaverse influence their expectations and potential use of the technology in libraries. Interviews with a total of 18 librarians were conducted. The study findings reveal that librarians had different conceptualizations of metaverse, regardless of prior experience. However, librarians had different thoughts on the potential use of metaverse for libraries dependent on prior experience. Regarding thoughts on potential use, the librarians who had non-experience running metaverse programs suggested ideas in expanding and trying out new services within metaverse. The librarians who had experience running metaverse programs, on the other hand, suggested focusing on transferring the existing services that are currently being provided in the library to metaverse.

어린이 도서관의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어린이 부모의 의식조사 (A Study on Spatial Planning of Children's Library: Perception of the Children's Parent)

  • 곽철완;이정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55-176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 도서관을 이용하는 어린이와 동반한 부모들이 가지는 어린이 도서관 이용행태와 어린이 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어린이 도서관 이용과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은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조사는 전국의 4곳의 공공도서관의 어린이 열람실 및 어린이 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용자 중 자녀와 동반한 가족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 결과, 4개 도서관별로 차이가 나는 요인들 6가지가 나타났다. 파악된 주요 요인들은 주민의 도서관 이용행태에 따른 공간계획 필요 연령별 및 영역별 서가 형태 및 높이의 다양화, 어린이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공간 설치, 어린이의 도서관 활동의 안전성 확보, 어린이에게 정서적으로 안정된 공간 필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도서관 내부는 공간 이동이 용이한 형태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