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ability Survey

검색결과 405건 처리시간 0.029초

증강현실 기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 원칙 연구 -길찾기 서비스 중심으로- (Usability Principles for a Mobile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Focus on Wayfinding-)

  • 유창화;오동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643-651
    • /
    • 2022
  • 메타버스의 급부상에 따라 모바일 증강현실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모바일 증강현실 환경에서의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증강현실 기반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사용성 원칙 개발을 목표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 1)모바일 증강현실의 특성을 파악하여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 요인을 파악했다. 2)증강현실의 사용성 사례 연구 분석을 통해 사용성 원칙을 수집 및 선별하고,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통해 사용성 원칙을 재범주화하여 14개의 사용성 원칙으로 개발했다. 3)개발된 사용성 원칙을 검증하기 위해 사용성 원칙을 바탕으로 평가 문항을 구성하여 사용성 평가 설문을 진행했다. 결과적으로 몰입성, 현존감, 효율성, 만족감, 유희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하였으며, 증강현실 기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유용한 사용성 원칙임을 검증했다. 본 연구는 증강현실 기반 모바일 사용성 원칙에 관한 기초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게쉬탈트 원리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지각된 사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The Effects of Gestalt Principles on the Perceived Usability of User Interface in a Web Context)

  • 정원진;임형록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9권1호
    • /
    • pp.117-148
    • /
    • 2010
  • The user interface (UI) is the part of the systems that users can see, hear and feel. That means, a user can interact with the systems through the user interface. Effective user interfaces create positive feelings of success and competence. In addition, they enable users to concentrate on their work, exploration, or pleasure. The German word "Gestalt" means "whole" as well as a figure or a shape. A comprehensive information systems (IS) literature review found that there has been little empirical evidence on the Gestalt principles in UIs that affect online users' perceived usability in a Web context. Therefore, the goals of this study are to 1)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Gestalt principles in UIs and online users' perceived usability in a Web context and 2) come up with design guidelines to enhance user success. Using a survey,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s between Gestalt principles used in six Web sites and 17 aspects of usability. The results showed that in terms of 16 aspects of usabilit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UIs that have different levels of Gestalt principles. In practice, online stores may use these findings to improve their Web pages. Specifically, the sixteen usability attributes can be used to check whether online stores' Web pages meet customers' user interface quality expectations.

전자간호기록 시스템의 사용성 수준 및 관련 요인 분석: Time-motion 방법 적용을 통한 다기관 접근 (Identifying Usability Level and Factors Affecting Electronic Nursing Record Systems: A Multi-institutional Time-motion Approach)

  • 조인숙;최원자;최완희;현미숙;박연옥;이유나;조의영;황옥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523-532
    • /
    • 2015
  • Purpose: The usability, user satisfaction, and impact of electronic nursing record (ENR) systems were investigated. Methods: This mixed-method research was performed as a time-motion (TM) study and a survey which were carried out at six hospitals between August and November 2013. The TM study involved 108 nurses from medical, surgical, and intensive care units at each hospital, plus an additional 48 nurses who served as nonparticipating observers. In the survey, 1879 volunteer nurses completed the Impact of ENR Systems Scale, the System Usability Scale, and a global satisfaction scal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s: The mean scores for the ENR impact, system usability, and satisfaction were 4.28 (out of 6), 58.62 (out of 100), and 74.31 (out of 100), respectively, and they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hospitals (F=43.43, p<.001, F=53.08 and p<.001, and F=29.13 and p<.001, respectively). A workflow fragmentation assessment revealed different patterns of ENR system use among the included hospitals. Three user characteristics-educational background, practice period, and experience of using paper records-significantly affected the system usability and satisfaction scores. Conclusion: The system quality varied widely among the ENR systems. The generally low-to-moderate levels of system usability and user satisfaction suggest many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물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측면에서 김치냉장고의 사용자 만족도 조사 (Survey of Customer Satisfaction of Kimchi Refrigerators with Focus on Physical User Interfaces)

  • 이인석;박재희;박태주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13-120
    • /
    • 2007
  • Kimchi refrigerator is a specific refrigerator for Kimchi,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It has been fast popularized since it was developed about ten years ago.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03 female voluntary respondents to understand the customer satisfaction of the Kimchi refrigerator in the aspect of physical use. The respondents showed a high satisfaction for the use of refrigerators. It was, however, shown that they felt highly uncomfortable in using the refrigerator. In particular, the high discomfort was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customer should bend her torso very much to put Kimchi containers into the refrigerator, take them out of it, or clean its inside. Seventy-five percent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e experience of body-part pains and 58.4% of them reported pain experience in the back. It is presumed that these results are highly correlated to the top-cover design of the refrigerator, which is the most popular type to improve its performance of maintaining proper temperature. Therefore, the developers should consider these usability problems related to the refrigerator and try to enhance its usability by adopting ergonomics in the design stage.

라이프로깅 애플리케이션 사용성 평가 (Usability Evaluation for Life-logging Application)

  • 이조은;권지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43-49
    • /
    • 2016
  • 사용자 중심 디자인과 콘텐츠 개발이 대두되면서 사용성 평가에 대한 연구와 항목 정립이 중요해지고 있다. 그렇지만,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나 특정 분야에 대한 디지털 시스템에 대한 사용성 평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최근 웨어러블 기기와 스마트 폰의 발달로 자기 정량화(Quantified-self) 또는 라이프 로깅에 대한 사용과 콘텐츠 개발이 급증하고 있다. 본 논문은 라이프로깅 서비스를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성 평가 항목과 요인을 정립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첫째, 라이프로깅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 평가 요인을 정립하기 위하여 기존의 사용성 평가 항목을 수집하고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초기 항목을 선정하였다. 둘째, 선정된 초기 항목에 대한 사용성 평가 설문을 진행하여 그 결과에 대해 신뢰도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히였다. 셋째, 통계 분석 결과를 통해 28가지 사용성 평가 항목과 4가지 요인인 인식성, 기능성, 심미성, 만족성을 정립하였다. 마지막으로 정립된 사용성 평가에 대한 활용 기대와 한계점을 논의할 것이다. 본 논문의 결과는 계속 증가하고있는 라이프로깅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 평가 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되어 효과적인 콘텐츠 개발에 기여할 것이다.

대학 강의지원시스템 이용성 향상을 위한 이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원칙 개발 (The Development of User Interface Design Principles for Improving the Usability of University Course Management System)

  • 채현수;이지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23-144
    • /
    • 2012
  • 이 연구는 대학 강의지원시스템을 이용하는 학습자의 이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이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원칙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사전설문과 이용성 평가 실험으로 구성된 이용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용성 조사로부터 얻어낸 결과를 종합하여 총 11개의 대학 강의지원시스템 이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원칙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 강의지원시스템의 이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원칙을 개발하기 위하여 주이용자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용성 조사를 실시하여 실제 이용자의 의견을 시스템의 기능별로 제시하고 직접적으로 설계 원칙에 반영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웹 네비게이션에서 일반 사용자와 고령 사용자의 행위 분석 (An Analysis of Behavior between Young and Old Users on Web Navigation)

  • 배윤선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5호
    • /
    • pp.161-170
    • /
    • 2006
  • 본 연구는 인터넷 사용 연령층은 확대,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신체 조절 능력과 지각, 인지능력이 다른 일반인과 고령자가 인터넷을 이용하여 정보를 찾아가는 네비게이션 행위를 분석하여 연령에 따라 이상적인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정조설계와 메뉴의 표현방법, 레이아웃이 다른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의 유형을 개발하여 고령 피험자 30명 일반 피험자 30명을 대상으로 과제 부과형 평가방법을 실시한 후 피험자들이 정보를 찾아가는 과정을 avi.파일로 녹화하여 정보 검색 소요시간을 측정하고, 화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령의 차이에 따라 정보를 습득하는 능력이 다르므로 웹에서 정보를 찾아가는 네비게이션 행위에서 일반인과 고령자의 특성이 나타났다. 사용성이 강조된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에서는 고령자나 일반 사용자나 모두 정보를 찾는 데에 어려움이 없고 네비게이션 행위에 있어서 차이점이 없으나 정보 계층구조의 너비나 깊이, 그리고 제시되는 정보의 양, 메뉴의 연결 방식에 따라서는 고령자와 일반인이 정보를 찾는 과정에서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터넷 사용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연령에 따라 네비게이션 디자인이 다르게 제작된다면 사용자는 보다 손쉽게 정보를 빠르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의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Universal Web Navigation Design)

  • 배윤선;이현주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4호
    • /
    • pp.101-110
    • /
    • 2006
  • 본 연구는 지식과 정보가 경쟁력이 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다양성을 지닌 사용자들이 웹을 통하여 보다 쉽고 편하게 정보를 찾을 수 있는 유니버설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의 유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서로 다른 네비게이션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의 유형을 개발하여 30명을 대상으로 정보 검색 소요시간, 오류 발생 측면,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 요소의 크기와 위치, 레이아웃에 관한 조사를 하였다. 측정된 정보 검색 소요시간은 반복측정 일원변량분석에 의하여 분석하였고 오류 발생 측면은 비디오 분석하였다. 또한 사후 설문을 실시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네비게이션 디자인의 유형을 파악하였다. 웹에서 사용자가 쉽고 편하게 정보를 찾을 수 있는 네비게이션 디자인은 페이지의 상단에 가로로 길게 위치한 글로벌 메뉴 아래에 세로로 서브 카테고리 메뉴가 나타나는 유형이며 롤오버 메뉴와 단계적으로 분류된 메뉴, 크게 처리된 본문과 레이블, 움직이지 않는 이미지로 구성된 디자인이었다.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에서 사용자는 오류 없이 정보를 쉽고 편하게 찾을 수 있으며 유니버설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의 개발은 정보력이 경쟁력으로 대두되는 현대사회에서 인터넷을 통한 효율적 정보 활용이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

  • PDF

대학 캠퍼스 키오스크 UI 디자인 요소의 사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r Satisfacation of Kiosk UI Design Elements on University Campus)

  • 채효군;오용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4권10호
    • /
    • pp.1369-1379
    • /
    • 2021
  • The post-corona era is having a major impact on university campus life, and campus cultural life has undergone drastic changes. In the process of adapting to this change. The existing face-to-face learning method is converted to non-face-to-face learning, and kiosks representing campus self-service are increasingly used. Subsequently, in order to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places such as university campuses and provide better self-service, there are no related studies considering UI design elements of kiosks and characteristics of kiosk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Chinese university student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usability of university campus kiosks through user interface design elements in terms of design by considering previous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icon, typography, which are elements of kiosk interface design, and convenience, reliability, and usability,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a kiosk. In this study, the design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unmanned self-service system kiosk UI used by students at four universities in Korea and China were set as the scope of the study, and related documents were organized and surveyed in Korea and China. Case analysis and comparison method Through the kiosk usage characteristics of 4 universities were derived. The usability evaluation criteria use the five evaluation criteria suggested by the authority JacobNidsn. The usability evaluation criteria use the five evaluation criteria suggested by the authority JacobNidsn. The survey and analysis of this study were conducted for students who had experience using kiosks at two universities in China, and kiosk UI design elements were organized through survey and analysis of a total of 200 people.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Website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ebsite evaluation method using SEM)

  • 최재호;백인기;전영호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9-113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n analytical method for evaluating user satisfaction of Internet website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his paper is intended to identify critical evaluation factors of user satisfaction for websites to determine criteria for evaluating the websites, and use the criteria to develop a SEM model for quantitatively evaluation of each factors' effects of user satisfaction. The SEM model used 2 variables of usability and good-looks for the evaluation factors of websites user satisfaction and each factors have 4 sub evaluation criteria, 3 portal sites were evaluated to construct the SEM model, and 155 subjects participated the website evaluation using the walk-through and face-to-face survey method.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SEM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all the 3 websites evaluated. Both the usability and good-looks two factors also showed significant effects to user satisfaction of websites and have positive correlation. The user satisfaction was more effected by the usability factor than good-looks, and the simplification and harmonization were the most critical sub-factors of the usability and good-look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