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sability Evaluation for Life-logging Application

라이프로깅 애플리케이션 사용성 평가

  • 이조은 (상명대학교 감성공학과) ;
  • 권지은 (상명대학교 감성공학과)
  • Received : 2016.08.02
  • Accepted : 2016.09.20
  • Published : 2016.12.28

Abstract

As user-centered design and content development emerge, the research and the establishment of items on usability evaluation are becoming more important. However, research on usability evaluation for digital systems in specific areas of mobile applications is still incomplete. 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wearable devices and smartphones, development and usage of quantified-self and life-logging application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evaluation items and the main factors for the usability assessment of the applications that support life-logging services. In order to establish evaluation factors for life-logging application usability, we first gathered existing usability assessment items and selected the initial items through the Focus Group Interview(FGI). Second, we conducted user assessment surveys on the selected initial questionnaires and performed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e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ird,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es results, we established 28 usability assessment items and four factors: recognition; functionality; aesthetics; and satisfaction. Finally, we discussed the expect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established usability assessment. The results from this paper could be used as a guideline for the usability assessment of life-logging applications and thus will contribute to effective content development.

사용자 중심 디자인과 콘텐츠 개발이 대두되면서 사용성 평가에 대한 연구와 항목 정립이 중요해지고 있다. 그렇지만,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나 특정 분야에 대한 디지털 시스템에 대한 사용성 평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최근 웨어러블 기기와 스마트 폰의 발달로 자기 정량화(Quantified-self) 또는 라이프 로깅에 대한 사용과 콘텐츠 개발이 급증하고 있다. 본 논문은 라이프로깅 서비스를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성 평가 항목과 요인을 정립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첫째, 라이프로깅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 평가 요인을 정립하기 위하여 기존의 사용성 평가 항목을 수집하고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초기 항목을 선정하였다. 둘째, 선정된 초기 항목에 대한 사용성 평가 설문을 진행하여 그 결과에 대해 신뢰도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히였다. 셋째, 통계 분석 결과를 통해 28가지 사용성 평가 항목과 4가지 요인인 인식성, 기능성, 심미성, 만족성을 정립하였다. 마지막으로 정립된 사용성 평가에 대한 활용 기대와 한계점을 논의할 것이다. 본 논문의 결과는 계속 증가하고있는 라이프로깅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 평가 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되어 효과적인 콘텐츠 개발에 기여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J. Nielson and H Loranger, 제이콥 닐슨이 공개하는 웹 사용성 중심의 웹 사이트 제작론, 이준영 옮김, ITC, 2007.
  2. ISO 9241-11, Ergonomic Requirements for Office Work with Visual Display Terminal (VDTs) - part 11, 1999.
  3. 신동희,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휴머니타스 테크놀로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4. J. Nielson, Usability Engineering, Acadenic Press, Inc., 1993.
  5. J. Nielson and Heuristic evaluation, Usability Inspection Methods, John Wiley & Sons, Inc., 1994.
  6. P. Morville, Ambient Findability, O'Reilly Media, Inc., 2005.
  7. 윤대진, 통합정보검색시스템의 인터페이스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8. 서영성, 웹기반 학습 사이트 사용성 평가 도구 개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9. https://developer.apple.com/library/ios/documentation/UserExperience/Conceptual/MobileHIG/Principles.html
  10. http://developer.android.com/design/get-started/principles.html
  11. 박수연, 김승인, "모바일 라이프로깅 애플리케이션 사용성 평가,"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제14권, 제1호, pp.117-127, 2014.
  12. 추영지, 최문희, "종합병원 키오스크 GUI 디자인의 시각적 구성요소에 관한 사용성 평가 연구 : 세브란스병원을 중심으로," 한국디자털디자인협회, 제7권, 제4호, pp.231-240, 2007.
  13. 조훈, 스마트 앱 TV 사용성 평가를 위한 평가요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4. 이조은, 라이프 로깅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사용성 평가 요인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