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Rural Exchange Center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농촌마을 활성화를 위한 도농교류센터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Urban-Rural Exchange Center for the Activation of Rural Village)

  • 조원석;김흥기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31-38
    • /
    • 2011
  • The domestic rural villages have faced on the many problems in future society. The major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clarify in space program for the Rural Activating through the Urban-Rural Exchange. Firstly, it has examined the rural amenities of rural resources, such as natural surroundings, culture, history, landscape, economy, community power etc. Secondary, it was checked about analysis of operation programs corresponding to the rural resources. Thirdly, These space program of Urban-Rural Exchange, which has been archived process of spacial planning, was investigated the spacial conditions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programs. To make Urban-Rural Exchange Center, it was necessary to analyze physical spacial size of building gross area, by data of cross checking with the area per capita and area per household in the rural village. According to the research, Urban-Rural Exchange Center was to be included visiting center, multipurpose room and dining room, exhibiting space, conference room, experience room, welfare space and specialized room with activation of rural village. However additional conditions are required that it is based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environmentally friendly architecture both operation program and space program for the value of common society, citizen and villagers.

도농교류 접근성을 고려한 농촌마을 공동시설의 입지평가모델 개발 (Developing Location-Evaluation Model on Community Facilities in Rural Villages Considering Accessibility for Urban-Rural Exchange)

  • 구희동;김대식;도재형
    • 농촌계획
    • /
    • 제21권2호
    • /
    • pp.115-126
    • /
    • 2015
  • Although the frequency of use for community facilities in rural villages is growing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the facilities for urban-rural exchange is being highlighted, study on spatial location-analysis of the facilities for such multi-purpose is not so much. This study aims to find the spatial distribution forms of community facilities in rural villages such as community center and rural-pocket park through location-analysis, in order to provide available data for selecting location in the future. As the study area, Sojeong-myeon, Sejong Special City was selected. This study conducted GIS analysis for criteria of the location-evaluation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This study introduced the concept of time-distance for accessibility analysis. This paper also used linear-consecutive scoring method(LCSM) as a scoring method of criteria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method for weighting values of criteria. The applic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new model can generate the intensity of community facilities according to spatial distribution and accessibility from cities to the facilities.

일본의 농촌관광의 거점시설 기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unction of Greentourism Core Facilities in Japan)

  • 이을규;김준경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67-74
    • /
    • 2008
  • The roles and needs for the greentourism facilities require the associated functions and systems which can be determined from considering the existing successful facilities. Some of successful examples for the greentourism facilities in Japan have been investigated, and their functions and systems carefully examined. This paper is intended to provide a meaningful step for introducing and applying the functions and systems for the greentourism facilities in Japan to Korea. The facilities should support the greentourism that leads to the active cultural exchange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The required specific facilities are discussed in this paper. For newly developed facilities, restaurants, specialty stores, and hotels may be effective facilities for the greentourism. The design for the entire greentourism facilities should consider, for the development of the area, the several kinds of required functions of the greentourism, such as the travel guide center, the marketing center, the information center, the business center, the human resources center, and the environment conservation center.

  • PDF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성과 및 문제점 분석 - 구례 방광권역 주민소득사업을 중심으로 - (Performance and Problem Analysis of Comprehensiv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 Case Study of the Income Project in Gurye Banggwang Villages)

  • 조진상
    • 농촌계획
    • /
    • 제15권4호
    • /
    • pp.109-124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and evaluate issues and performance of development projects of Gurye Banggwang villages' key projects, especially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resident income augmentation. The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factory, the valley resting, the urban and rural exchange center, and the village festival have been closely selected as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resident income. Analysis of survey of resident and two agriculture unions' members led the performance and problem of Banggwang villages' development projects. The income project has the difficulties of recruiting members, lack of professionalism of people in production and marketing of processed products, and conflict between members etc. For this reason, income projects being adopted as the comprehensiv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is often negative. Compare to the other cases, Banggwang village has more reflection of the income project, and has lot of interest by policy makers whether it be pursued successfully. It is too early to evaluate a performance properly because it is the beginning of income projects and the experience are not yet being sufficient. However, the performance is appearing gradually from various sides. For example, dividend of business profits,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sales of agricultural products are developing increasingly. Income projects have strengthens the residents' participation and interest in comprehensiv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and with securing stable funding it will help to maintain the facilities.

농촌관광마을 방문객의 공익적 기능 인식 평가 - 경기도 양수리, 주록리, 신론리 방문객을 대상으로 - (The Evaluation of the Green Tourists' Cognition of Function for Public Benefits - The Survey of Visitors' Cognition in Yangsuri and Jurokri, Sinnonri -)

  • 전인철;오형은;조중현;김용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5권2호통권121호
    • /
    • pp.81-90
    • /
    • 2007
  • This study used the functions for public benefits as a standard for evaluating Green Tourism. By referring to the existing literature, the "function of building emotion", the "function of providing a natural environment", the "function of preserving traditional cultures", and the "function of maintaining the local community" have been selected as the measuring variables. Detailed sub-variables of each function were prepared to examine and analyze the recognition of these are the part of Green Tourists. The Green Tourists of Yangsuri in Yangpyeong, Sinnonri in Yangpyeong, and Jurokri in Yeoju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which 13 variables were used as measure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reen Tourists recognize farm villages as places for rest and relaxation and they laid great importance on the function of providing access to the natural environment. Secondly, out of the 13 measurement variables, "beautiful scenery in farm village", "making a contribution to village income", and "trust in agricultural products" greatly influenced the overall evaluation of Green Tourism. Thirdly,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nctions for public benefits and Green Tourism, it was found that "facilities and activities for experiencing farming", "facilities for rest", and "beautiful scenery in farm villages" are closely related to building the emotion experienced in these villages, and that "cultivating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nd "beautiful scenery in farm village" are closely related to the function of providing access to the natural environment.

한국농촌지도사업(韓國農村指導事業)의 변동(變動) (Changes in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in Korea)

  • 후지타야스키;이용환;김성수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7권1호
    • /
    • pp.155-166
    • /
    • 2000
  • 1994년 가을 한국을 방문하였을 때 놀란 것 온 도시 근교에 숲과 같이 세워진 고층 아파트 단지와 그 수요의 배경이 된 서울, 수원을 비롯한 수도권의 인구 집중이었다. 이러한 인구 집중을 가져온 것은 바로 제2차, 3차 산업의 발달이었다. 그 이후 6년만인 2000년 3월에 다시 농촌과 농촌지도사업의 변화 동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농가 방문, 도 농업기술원 및 시 ${\cdot}$ 군농업 기술센터를 방문하면서 더욱 진전된 아파트군과 도시 근교의 비닐 하우스 단지였으며, 이는 한국이 지속적인 경제 발전을 하고 있다는 한 증거였다. 한국은 1997년에 내습한 통화위기로 IMF의 구제 금융을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한국 경제는 IMF의 관리하에 있었으나 1년만에 회복의 기미를 보이기 시작하였으며, 1999에는 GDP 성장률이 10.7%에 달하였다. 한국 정부는 이 시기에 구조개혁을 단행하여 금융, 기업, 노동, 공공의 각 부분에 개혁을 단행하였다. 특히 정부로서는 정부 조직을 개편하여 지방화, 행정 조직 인원의 삭감, 농업 예산의 축소하는 방향으로 나아갔고 공기업을 민영화하여 농업 단체의 통합, 각종 규제를 철폐하였다. 중앙 정부의 권력이 지방으로 많이 이양되어 시장, 군수 등의 권한이 크게 늘어났다. 농촌지도사업도 IMF 관리하의 정부 조직 개편 및 규제 완화의 대상이 되었다. 지금까지 중앙 정부 소속이었던 농촌지도 사업이 지방화의 영향으로 시 ${\cdot}$ 군으로 이관되었다. 이것에 동반하여 농촌지도소 수의 축소(64%), 지도 직원의 감원(24%), 사업 예산의 감소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개편 과정에서 농촌지도사업의 기본적인 방향을 정하는 것은 중앙의 농촌진흥청이 맡고 인사와 기술 개발, 지원은 도농업기술원, 사업운영 책임은 시 ${\cdot}$ 군에서 맡는 체제로 개편되었다. 시 ${\cdot}$ 군 단계의 농촌지도사업은 담당 기구가 농촌지도소에서 농업기술센터로 그 명칭이 변경되었고, 설치권자가 군수로 되었으며, 그 기능에 기술 개발 업무가 더해졌으며, 농촌지도사 및 생활지도사의 수가 크게 감소되었다. 최근에 한국의 농촌 및 농촌지도사업을 관찰한 결과, 이러한 중앙, 도 시 군의 지도 기능 분담이 그렇게 잘 인식되어 있는 것만은 아닌 면도 있는 것으로 보였다. 이러한 구조 개선을 계기로 해서 농촌의 현실을 반영한 실효성 있는 농촌진흥에 기여할 수 있는 농촌지도사업으로 재출발한다는 의의를 살릴 수 있도록 농촌진흥청은 농업기술센터의 동태를 철저하게 살피고 이와 관련한 도농업기술원의 대응을 파악하여 이를 기초로 기능을 발휘하도록 만들어야 할 것이다. 국가에서 이관된 현지의 농촌지도 거점인 농업기술센터에 관하여 농촌지도소가 개칭되어 농업기술센터가 되었고 조직적인 면에서도 기술개발과가 설치되었다. 이는 현지에서의 기술 개발이 가능하게 된 점과 현지에서 원하는 과제를 신속하게 대응하여 도와 국가의 시험연구 과제로 삼을 수 있게 된 것은 시험 연구 사업에서 크게 평가받을 만한 발전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농촌지도 직원이 다른 행정 업무도 겸무하여 될 경우 영농 환경을 좋게 하는 직접적인 행정에 관한 업무에서는 겸무하므로서 농가도 편리해지고, 보급지도의 효과도 촉진되는 경우가 있으나 검사, 취체 업무는 반드시 피해야 할 일이다. 동일인이 이것을 담당하게 되면 농가에게 안심감을 잃어버리고 보급 효과는 기대할 수 없게 될 것이다. 한국의 농촌지도사업의 보급 내용은 농업자재의 절약, 첨단농업기술의 개발, 이를 기반으로 수출농업의 촉진과 생산성 향상, 시장에 강한 농업의 구축 등에 힘을 쏟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농업의 추구는 약탈농업을 추구하는 등 지속적 농업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앞으로 지속적인 농업에 관하여 보다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선진농가들은 기술이나 경영 혁신을 위하여 연구 개발을 위한 정보의 수집과 연구회의 필요성을 크게 강조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선진 농가 이외에 소규모의 농업소득이 낮은 농가도 있었다. 이러한 농가에게는 농업경영에 대한 방향 설정과 추진 방법에 대한 적절한 상담 상대가 없는 것으로 보였다. 이러한 농가들에 대한 시의적절한 정보의 전달, 자력으로 기술과 경영 방책을 만들어내는 힘을 길러주는 지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한 방책으로 그룹의 육성과 가입 촉진이 유효할 것이다. 따라서 한국에 있어서 농촌지도 방법은 크게 두 가지 대상을 의식하여 대 선진농가의 경우에 는 상담 기능, 대 소규모 농가의 청우에는 전달 ${\cdot}$ 교육 기능의 발휘에 있을 것이다. 상담 기능은 정보의 제공과 과도하지 않은 방책을 선택 할 수 있도록 지도 조언하는 것이, 전달 ${\cdot}$ 교육 기능은 과제해결 과정을 체득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인터넷의 활용 방법, e-메일에 의한 정보교환 시스템화 등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인원의 감소나 겸무화의 진행에 따라 이러한 업무의 수행이 쉬운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고, 일 대 일의 지도는 어려울 것이나 집단 지도로는 가능한 측면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