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ozone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5초

도시농업의 도시열섬현상 저감효과에 대한 계량화 평가연구 (Evaluation of the Effect of Urban-agriculture on Urban Heat Island Mitigation)

  • 엄기철;정필균;박소현;유성녕;김태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848-852
    • /
    • 2012
  • 도시지역의 식물에 의한 도시열섬 현상 저감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서울,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수원 등 6개 도시지역의 근래 30년간 (1979-2008) 폭염기의 최고온도, 식물에 의한 온도 하강, 작물 증발산량, 대기오염 방지 기능 등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서울, 수원 등 6개 도시의 30년간 (1979-2008) 년 중 폭염기인 7월 하순과 8월 상순의 순 평균최고기온의 평균값은 $35.03^{\circ}C$ 이었다. 2. 6개 도시의 폭염기 (7월하순 - 8월상순) 동안 벼와 콩의 최대 일평균증발산량은 각각 $6.86ton\;10a^{-1}day^{-1}$$6.00ton\;10a^{-1}day^{-1}$ 이었다. 3. 수원시 중심지에 위치한 도시 농경지의 도시열섬 저감 효과의 지표로 볼 수 있는, 벼 및 콩 군락의 온도와 기온과의 차이는 각각 $10.5^{\circ}C$$3.0^{\circ}C$ 이었다. 4. 안성시 외각에 위치한 도시농경지에서 폭염기간 동안벼 및 콩 군락과 대기의 온도 차이는 각각 평균 $2.6^{\circ}C$$2.2^{\circ}C$ 이었다. 5. 2012년 년 중 최고 폭염일 (8월 5일)의 수원시 중심지에 위치한 도시 정원 식물 체 잎 표면온도는 대기온도 대비 $2.0^{\circ}C$, 도시건물 외벽 대비 $14.5^{\circ}C$ 더 낮았다. 6. 수원시 중심지의 식물에 의한 도시열섬 저감효과를 전력량으로 비교하면 벼 5,250. 콩 2,200, 도시정원 식물 $1,000MW\;day^{-1}$ 이었다. 7. 수원시 중심지 폭염기의 작물 증발산량과 잠열에 의한 도시 열섬 현상 저감 효과를 원유의 양으로 비교하면, 벼 462.9, 콩 401.4 L원유 $10a^{-1}day^{-1}$ 이었다. 8. 수원시 중심지 폭염기의 작물에 의한 $CO_2$ 흡수량은, 벼 20.27, 콩 $15.54kg\;CO_2\;10a^{-1}day^{-1}$ 이었다. 9. 수원시 중심지 폭염기의 작물에 의한 $O_2$ 발생량은 벼 14.74, 콩 $11.30kg\;O_2\;10a^{-1}day^{-1}$ 이었다. 10. 수원시 중심지 폭염기의 작물에 의한 오존 농도 저감 효과는 벼 21.0, 콩 8.8 및 도시정원 식물 4.0 ppb 이었다.

부산연안역에서의 대기오염기상 예보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고농도 오존일의 예측을 중심으로- (A Study on Development of Air Pollution Weather Forecast System over Pusan Coastal Area - Centering around Forecast of Ozone Episode Day-)

  • 김유근;이화운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99-410
    • /
    • 1996
  • Pusan is the largest coastal city with a population of about four mi18ion in Korea. Because of increased and confused traffic, photochemical air pollution become a major urban environmental problem recently. The photo-chemical air pollution weather forecasting method preciser than existing air pollution forecast method has been developed to forecast ozone episode days with meteorological conditions using the data measured at 7 air quality continuous monitoring stations from lune to September using 2 years (1994, 1995). The method developed in present study showed higher percentage correct and skill score than existing air pollution forecasting in KMA (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 PDF

차등흡수 분광법을 이용한 서울 대기 중 BTX 측정 (Measurement of Atmospheric BTX in Seoul Using Differential Optical Absorption Spectroscopy)

  • 이철규;최여진;이정순;정진상;김영준;김기현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4
    • /
    • 2005
  • In this study, a Long Path Differential Optical Absorption Spectroscopy system (K-JIST LP-DOAS) has been used to simultaneously measure atmospheric monoaromatic hydrocarbons and other trace compounds. The validity of the K-JIST LP-DOAS for measuring atmospheric monoaromatic hydrocarbons was tested during a field campaign between 12 February and 14 March 2003 at an urban site in Seoul, Korea through inter-comparative measurements against a collocated on-line Gas Chromatography (GC) system. The concentrations of benzene, toluene, p-xylene, and m-xylene were measured with the K-JIST LP-DOAS system in the UV region (239~302 nm) over a 740 m beam path. For the other trace compounds, a longer spectral range (299~362 nm) was used. In order to remove the interference of atmospheric abundant species (such as oxygen, sulfur dioxide and ozone), two oxygen optical density spectra obtained at two pathlengths, 697 and 1133m, and reference spectra of sulfur dioxide and ozone were incorporated in the fitting procedure. The mean concentrations measured by our LP-DOAS during the measurement period were 0.77 ($\pm$0.38) ppbv for benzene, 3.68 ($\pm$1.90) ppbv for toluene, 0.41 ($\pm$0.19) ppbv for p-xylene, 0.54 ($\pm$0.24) ppbv for m-xylene. The concentration data of benzene, toluene, p-xylene and m-xylene obtained by our LP-DOAS were found to be in relatively good correlations with those of the online GC system. Pearson's coefficients in the observed concentrations between LP-DOAS and on-line GC were 0.84 for benzene, 0.83 for toluene and 0.65 for m,p-xylen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LP-DOAS system can be used to provide reliable information on both the mixing ratios and tempor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monoaromatic hydrocarbons in the urban air.

주요 가로수 묘목의 오존노출에 따른 대기오염내성지수 비교 (Air Pollution Tolerance Index (APTI) of Main Street Trees Following Ozone Exposure)

  • 조수빈;이형섭;이종규;박상희;김한동;곽명자;이금아;임예지;우수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1호
    • /
    • pp.50-61
    • /
    • 2020
  • 가로수는 도시 생활에서 중요한 녹지의 한 부분이고 대기오염을 극복하기 위해서 건전한 생장을 하는 수종을 선정, 식재, 관리 하는 것이 필요하다. 오존은 수목에 활성산소를 만들어 생리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생태적인 피해를 유발한다. 본 연구는 국내 주요 가로수종인 왕벚나무(Prunus yedoensis), 느티나무(Zelkova serrata),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us), 그리고 소나무(Pinus densiflora.)의 묘목을 오존에 노출하여 실험하였다. 2년생 묘목을 Phytotron에서 100 nL·L-1(ppb)의 농도로 약 4주간 실험하였다. 묘목이 생장하는 동안 오존에 대한 생화학적 반응 및 대기오염내성지수(APTI)를 비교하여 오존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였다. 아스코르브산 함량, 총 엽록소 함량, pH, 상대수분함량의 수치를 바탕으로 대기오염내성지수를 계산했을 때 왕벚나무와 느티나무는 오존 처리구와 대조구간에 APTI의 변화가 통계적인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고, 이팝나무는 오존처리구에서 증가했으며 소나무는 다른 수종에 비해서 감소했다. 본 실험을 통해, APTI를 산출하는 요소에 대한 수종별 반응이 다른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종과 도시 내 대기 환경에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대기오염물질인 오존에 따른 도시 내 수종 선별에 대해서 예측할 수 있다.

수도권 지역 대기 중 카보닐화합물의 시.공간적 농도 분포 특성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Atmospheric Concentrations of Carbonyl Compounds in Seoul Metropolitan Area)

  • 서영교;정은희;서석준;황윤정;한진석;백성옥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06-21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concentrations of carbonyl compounds during summer seas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air samples were collected at 7 sites in this area from June 2001 to June 2003. The carbonyl compounds were analyzed by DNPH/HPLC method. The analytical method applied in this study showed good repeatability, linearity, and sensitivity. The most abundant carbonyl was formaldehyde (average 4.48 ppb), and followed by acetone, acetaldehyde, methyl ethyl ketone, butyraldehyde, propionaldehyde and benzaldehyde, respectively. Concentrations of carbonyl compounds in June were higher than those in August. There was not only higher solar radiation but also higher ozone concentration in June than in August. As a result o photochemical reactions, carbonyl compounds from both primary and secondary sources are likely to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ozone. The contributions to photochemical ozone creation of two carbonyl compounds such as formaldehyde and acetaldehyde were estimated to be about 70%. Ratios of formaldehyde to acetaldehyde in this study ranged from 1.13 to 4.26, which are generally equivalent levels to those of other urban areas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엔트로피 가중치를 활용한 대기오염 취약성 평가 - 오존을 중심으로 - (Vulnerability Assessment of the Air Pollution Using Entropy Weights : Focused on Ozone)

  • 이상혁;강정은;배현주;윤동근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751-763
    • /
    • 2015
  • 지표를 활용한 대기오염 취약성 평가에서는 지표의 선정과 함께 지표별 가중치 결정이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는 전국 249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엔트로피 가중치 산정법을 활용하여 오존을 중심으로 한 대기오염 취약성을 평가하고, 엔트로피 가중치 방법론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연구방법은 대기오염 취약성 지표를 선정하고 이들을 표준화하고, 엔트로피를 이용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취약성을 평가하는 방식을 활용하였다. 노출 지표는 기상요인과 대기오염요인을 고려하였고, 민감도는 취약대상과 취약환경요인을, 지자체별 적응능력은 지역의 사회 경제적 요소, 보건의료요인, 대기관리 요인을 적용하였다. 취약성 평가 결과는 단순합산의 경우 화성시, 광진구, 김포시, 광주시, 군포시 순으로 취약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취약성-탄력성 지표(VRI) 방식도 단순합산 결과와 유사한 취약지역 공간 분포 패턴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엔트로피 가중치를 이용한 대기오염 취약성 평가는 자료에 기반한 객관적인 취약성 평가로 불확실성을 동반하는 기후변화와 대기오염 취약성 평가에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취약성 평가결과는 지자체별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세부적인 분석을 통해 지역 맞춤형 정책수립에 활용될 수 있다.

  • PDF

부산광역시 대기환경 파악에 활용가능한 도시대기환경지도 작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Establishment of the Urban Atmospheric Environment Map for Analysis of Atmospheric Environment in Busan Metropolitan City)

  • 김민경;정우식;이화운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07-817
    • /
    • 2015
  • In this study the urban atmospheric environment map in Busan was made and it consist of the atmospheric environment element map and the atmospheric environment analysis map. The atmospheric environment element map covered the topography, the urban climate, the air pollutant emission, ozone and PM10 concentrations in Busan and the atmospheric environment analysis map included the thermal environment and the wind flow by using WRF meteorological numerical simulation. The meteorological elements from 2007 to 2011 in Busan were used in this study. As a result, in the center of Busan and Buk-gu along to the Nakdong river was the temperature high. To analyze the air flow of Busan 3 clusters depending on the wind direction were extracted with the cluste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detailed wind field of each cluster showed that the weak ventilation could be happened locally at the specific meteorological condition.

연안도시지역 오존의 수평분포와 단거리수송 (Spatial distribution and Short-range transport of ozone in coastal urban environment)

  • 김유근;이화운;오인보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3-74
    • /
    • 2001
  • 도시지역의 오존농도는 배출원 환경 및 지형과 국지 기상조건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 일반적으로 도시내 공단과 교통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다량의 NO 배출에 의한 오존의 감소가 일어나는 반면 도시플륨의 풍하측의 지역에서는 오존의 축적과 함께 고농가 발생하게 된다 (Wang et al., 2001; Bower et al., 1994; Mckendry). 특히 연안도시의 경우 여름철 주로 발생하는 국지순환인 해풍에 의한 고농도를 경험하게 되는데, 이는 수면의 낮은 오존침적으로 인해 소멸의 영향이 적고 (Entwistle, 1997), 해풍역전으로 인한 연직혼합의 제한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Lu and Turco, 1994). (중략)

  • PDF

서울지역 국지풍일의 도심배출에 의한 풍하측 오존증가량 추정 (Estimate of urban contributions to elevated ozone levels in downwind area of Seoul for local wind days)

  • 오인보;김유근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7-158
    • /
    • 2002
  • 도시/국지규모에서의 풍하측 오존농도 상승은 도심 및 인근지역 배출원 환경과 함께 국지풍(local wind)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즉 도심배출에 의한 오존의 광화학 생성과 국지풍에 따른 단거리수송 및 국지적 축적 효과가 결부되어 풍하측 고농도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기존 여러 연구에서 도심의 경우 지속적인 NOx 배출의 영향으로 오존농도가 상승하지 못하는 반면 (NOx titration), 상대적으로 배출원이 적은 풍하측지역은 오존 및 전구물질의 수송과 축적을 통해 고농도가 나타남을 밝히고 있다. (중략)

  • PDF

위성 (OMI)을 활용한 한반도 지역 NO2 분석 (Analysis of NO2 over the Korean Peninsula from Ozone Monitoring Instrument Satellite Measurements)

  • 김덕래;최원준;이준석;김승연;홍준석;송창근;이재범;홍유덕;이석조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49-260
    • /
    • 2012
  • Monitoring of climate change and atmospheric environment by satellite measurements has been increased in recent years. In this study, nitrogen dioxide ($NO_2$) measurements from Ozone Monitoring Instrument (OMI) were compared with surface measurements over the Korean peninsula. $NO_2$ from OMI measurements showed high values and also showed seasonal variations such as high concentration in winter and low in summer over metropolitan areas while $NO_2$ concentration at national background station was low and did not clearly show seasonal variations. Surface measurements showed similar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to those of satellite measurement. The comparison between satellite measurements and surface measurements show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was higher in urban area (r=0.64 at Seoul and r=0.63 at Daegu) than in national background stations (r=0.37 at Jeju) because the concentration in urban area was relatively high so that the variation of $NO_2$ concentration could be detected better than at national background stations by satellite. Satellite can effectively measure the emission and transport of pollutants with no limitations in spatial cover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