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Urban Governance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27초

A Preliminary Study on Urban Pollution and Modern Shanghai Society

  • Lu, Ye
    • Journal of East-Asian Urban History
    • /
    • 제2권1호
    • /
    • pp.7-26
    • /
    • 2020
  • Urban pollution has been a problem in China since ancient times. In modern times, pollution was aggravated by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nd became closely related to people's lives. Shanghai was the industrial center and the most urbanized place of modern China. As a price, it needed to face extremely serious urban pollution, and the treatment of this problem involved all aspects of social life. Noise pollution let foreigners to interpret the Chinese people and the city of Shanghai from a cultural perspective, and let Chinese residents to understand Shanghai and the nation from a civilized perspective. Pollution regulation made Shanghai the first city in modern China to implement overall pollution control and levy environmental protection fees. It also enabled the Chinese to gradually fight for their rights in urban governance. Urban pollution also brought business opportunities; in the highly commercial city of Shanghai, it promoted the development of some industries. The experience of urban pollution and its treatment prompted the people of Shanghai to rethink and re-recognize modern civilization, and also promoted the formation of Shanghai urban community.

1990년대 이후 도시정치의 변화와 새로운 도시화 (Changes of Urban Politics and New Urbanization in the 1990s)

  • 안영진;최병두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421-441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새로운 도시화 과정을 분석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구축하기 위해, 선진국 도시정치의 변화양상과 이에 관한 이론적 논의와 접근방법을 검토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미국, 영국, 독일을 사례로 주요 선진 산업국 (대)도시정치의 변화와 그 성격을 논의하였다. 뒤이어 그 동안 이러한 도시정치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구성된 이론적 접근방법들을 몇 가지 갈래로 나누어 개관하였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이상과 같은 설명이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 도시발전 및 도시정치의 전개과정을 연구하는데 어떤 함의를 지니는지를 살펴보았다. 선진국의 경험에 입각한 이론과 개념이 1990년대 우리나라 도시정치의 성격과 변화양상을 분석하는 데에는 분명 한계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실증적 연구에 기초한 사례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빠르게 전개되고 있는 우리나라 도시정치의 새로운 변화의 본질을 설명하는데 이들 이론은 일정한 논거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으며, 앞으로 그 한계와 가능성을 검증하는 과정에서 우리나라의 도시정치를 분석할 수 있는 보다 체계적인 이론 틀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통합형 도시재생사업으로서 마르세유 유로메디테라네의 특성과 시사점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Marseille's Euromméditerranée as an Integrated Urban Regeneration Project)

  • 박원석
    • 토지주택연구
    • /
    • 제15권1호
    • /
    • pp.99-115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마르세유의 유로메디테라네의 사업 현황과 특성을 살펴보고, 국내 도시재생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로메디테라네는 마르세유의 도시재생사업으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공동으로 출자・협력한 거버넌스형 사업추진기구인 EPAEM을 통해 사업을 수행하여, 유로메디테라네가 마르세유의 활성화와 삶의 질 개선에 의미 있는 성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도시재생사업으로서 유로메디테라네의 특성으로는 전면 재개발과 수복재개발 방식을 결합한 복합적 접근방법의 활용, 하드웨어적인 물리적 재생과 소프트웨어적인 경제・문화・환경적 재생을 결합한 통합적 재생의 활용, 거버넌스형 도시재생 사업구조의 활용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국내 도시재생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으로 도시재생사업 단위의 복합화 및 대형화, 국가차원의 거버넌스형 추진기구의 활용, 적절한 민관 파트너십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소셜네트워크분석을 통한 국내 거버넌스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Domestic SNA-based Governance Study Trends)

  • 김나랑;최형림;이태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7호
    • /
    • pp.35-45
    • /
    • 2018
  • 사회변화에 따라 정부의 정책입안 및 실행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새로운 거버넌스 구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거버넌스는 포괄적이고 여러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 실제 적용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거버넌스 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분류와 연구동향 분석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정보학, 정책학, 경영정보학 등의 다른 전공을 가진 3명의 연구자가 학술연구정보서비스를 중심으로 2016년 이후 발간된 거버넌스 관련 학위논문들을 검색하여 소셜네트워크분석(SN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주된 연구 주제는 협력거버넌스와 로컬거버넌스로 크게 분류 되었다. 거버넌스가 가지는 특징에 맞게 네트워크, 참여, 갈등, 신뢰 등의 주제어가 나타났으며, 거버넌스의 대상으로는 도시재생과 환경, 교육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또한 매개중심성 분석 결과 융복합 연구를 위해 로컬거버넌스가 주요 주제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거버넌스 연구에 대한 이해를 돕고, 거버넌스 연구의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한계점으로는 거버넌스 전체 논문이 아닌 키워드가 제공된 일부 학위 연구 논문만을 분석 대상으로 한 점이다.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전체 거버넌스 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을 확대 하고, SNA 분석지표와 함께 통계적으로 이를 검증하는 연구도 필요하다.

COVID-19 공적 마스크 앱 개발과정에서의 e-거버넌스 네트워크 연구 (A Study on the e-Governance Network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Public Mask Applications for COVID-19)

  • 이정용;이정현;김용희
    • 정보화정책
    • /
    • 제28권3호
    • /
    • pp.23-48
    • /
    • 2021
  • 사회적 난제 해결에 있어 정부 역할과 거버넌스 방향에 대한 근본적인 재성찰이 필요한 시점에, ICT 기술발전은 다양한 주체 간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극단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정부 의사결정에 획기적인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코로나 펜데믹 상황에서 마스크 수급 불균형이라는 문제해결을 위해 ICT 기술을 기반으로 공공부문과 민간기업 개발자, 시민개발자의 협력네트워크 형성은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했다. 본 연구는 공적 마스크 앱 개발과정에서 실시간 소통을 위해 생성된 대화방을 대상으로 e-거버넌스의 속성을 살펴보고, 공적 마스크 앱 개발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던 의사소통과정의 역동적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온라인 소통기반 e-거버넌스의 작동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주체 간 전문지식의 결합이 네트워크 내에서 유기적으로 작용하였고, 주요 행위자 간 협력을 위한 정서적 커뮤니케이션이 네크워크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Smart City Policies Revisited: Considerations for a Truly Smart and Sustainable Urbanism Practice

  • Yigitcanlar, Tan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7권2호
    • /
    • pp.97-112
    • /
    • 2018
  • The notion of smart cities, presently, is a highly popular topic in urban policy circles. This concept is adopted by many cities across the world-with an aim of increasing urban smartness in various ways and areas. Productivity, innovation, liveability, wellbeing, accessibility, sustainability, governance, planning, and citizen participation are among these areas. Despite good policy intentions, smart city initiatives in practice had only limited impact in delivering the desired urban outcomes.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smart city phenomenon and its planning practice approaches from an evolutionary perspective. The study places smart city plans and strategies of a number of cities across the globe under the microscope. The findings reveal that current smart city efforts are not adequate to combat the challenges of the Anthropocene epoch-that is already upon us. This paper concludes with a consolidated definition of smart and sustainable cities and considerations for moving towards Post-Anthropocentric urbanism-that is truly smart and sustainable urbanism-to avoid an imminent urban ecocide.

도심 캠퍼스 공유공간의 공간 구조 변화에 대한 연구 - 그리드락의 반대 개념으로서의 공유 캠퍼스로의 변화에 대하여 - (A Study on the Change of Spatial Structures of Shared Space at Urban Campuses - The opposite concept of Gridlock upon the change to shared campuses -)

  • 강은기;백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11호
    • /
    • pp.145-156
    • /
    • 2018
  • Urban campus, one of the main urban facilities, is the representative place that is struggling with 'gridlock'. Due to privatization of space among different departments and space shortages, gridlock has been occurring as a result. The urban campus trying to solve this problem by changing the quality of space, especially the structure of the shared space, which is expected to be the solution to the grid lock problem.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change in the university's shared space based on paradigm transiti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is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hared space that appear at different stages through a new perspective that compares the gridlock phenomenon and the shared paradigm. The framework of the analysis of the shared space, which has recently been restructured, is classified into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ve space, the creative space, and the common/complex space. In addition, these spatial characteristics are again analyzed through the division of legislative facility classification, management governance subject, area, building location and layout, exposure to the outside as well as the analysis of student and staff entry and exit, sharing structure of site and space, and the classification of program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structured space is systemized so that the management governance of each space would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share information and space. Furthermore, the spatial boundary between colleges or between campus spaces are not only physically, but categorically clear. The restructured space has semi (or in-between)-spati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intersection in inside and outside of the pedestrian's circulation and the mixture of programs. This study could serve as principal references in presenting the systematic analysis of directions of the shared spatial structure for the urban campus where new educational space is required due to the changes in the university system.

캐나다 스트랫포드의 문화산업 클러스터: 셰익스피어 축제를 중심으로 (Governance of the Shakespearian Festival of Canada: the Industrial Cluster Approach)

  • 신동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63-280
    • /
    • 2007
  • 최근 세계 여러 나라에서 문화 예술 활동의 진흥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지역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한편, 주민들의 삶의 질을 제고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특히 선진 공업국들은 제조업의 침체로 인해 도시경제가 쇠퇴하고, 도시기반시설이 노후화, 혹은 유휴화되는 상황에 직면하여 문화활동을 진흥하여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취급하고자 하는 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스트랫포드는 제조업의 침체에 대비하여 이미 1953년부터 셰익스피어 작품을 소재로 매년 연극축제를 개최하여 북미 최고 수준의 극단을 보유하고 연간 약 60만 명의 관객과 200만 명의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게 되었다. 스트랫포드 시는 또한 이 사업을 통해 북미 전체, 혹은 세계적으로 알려졌고, 문화산업 클러스터를 형성하여 지역경제도 활성화시켰다. 본 연구는 스트랫포드의 이러한 성공 사례를 분석하여 한국의 문화산업 정책에 시사하는 바를 도출하는 한편, 문화 예술 활동의 활성화 과정을 유도하는 혁신주체는 무엇인지, 그들간의 관계는 어떻게 설정되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 PDF

스마트시티 챌린지 프로젝트 사례 연구: 수원 스마트시티 New 1794 Project 기반으로 (Smart City Challenge Project Case Study: Based on Suwon Smart City New 1794 Project)

  • 윤창진;서응교;김태형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0권2호
    • /
    • pp.243-259
    • /
    • 2021
  • Purpose The beginning of innovation and creation, Haenggung-dong, Paldal-gu, Suwon-si: Suwon Hwaseong Fortress, which began in 1794 by King Jeongjo in accordance with the spirit of Beopgochangsin, mobilized the abilities of traditional techniques, new science and technology, and artists New starting point for urban innovation in Suwon: Based on 5G technology possessed by leading companies in the global ICT industry in Hwaseong (Haenggung-dong), a product of cutting-edge evidence, solve various urban problems through public, private, industrial and academic governance, and a new business model It aims to reorganize into the space where this is created. Design/methodology/approach The New 1794 Project is a 2019 demonstration project request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for "Suwon Smart City Challenge Project: Haenggung-dong, Paldal-gu, Suwon-si," developed by the Dankook University SW Design Convergence Center, and the main project from 2020 to 2022. The smart city project strategy should be implemented based on partnerships with multiple stakeholders, and the bottom-up approach and the traditional top-down must be able to coexist. Therefore, the smart city solution applied a horizontal governance method. Findings In this study, the definition of the New 1794 Project, which is the key to defining smart cities in relation to all analyzed aspects, was developed.

산업유산 재생으로서 하이라인의 특성 및 성과 분석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of High Line as Industrial Heritage Regeneration)

  • 박원석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2-196
    • /
    • 2020
  • 본 연구는 산업유산 재생 사례로서, 하이라인의 특성 및 성과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진일보한 도시재생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산업유산 재생사례로서 하이라인의 특성 및 성과 분석을 위한 틀로 거버넌스, 물리적 성과, 경제적 성과, 사회적 성과, 문화적 성과 이상 5개의 분석요소를 도출하였고, 각 요소별로 총 15개의 지표를 선정하였다. 둘째로, 하이라인의 특성 및 성과 분석결과를 보면, 하이라인 재생사업은 효과적인 거버넌스의 구축과 이를 통한 커뮤니티 활성화, 역사성과 장소성을 고려한 물리적 개선, 낙후된 맨해튼 중서부 지역의 경제 활성화 등의 성과를 보인 반면, 젠트리피케이션에 따른 둥지 내몰림 등의 문제를 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