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saponifiable matter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산(韓國産) 식물식용유지(植物食用油脂)의 성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4보(報) : 참깨와 들깨종자중(種子中)의 Sesamol의 정량(定量)-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Korean Edible Oils and Fats -Part 4. Determination of Sesamol in Sesame and Perilla Seeds-)

  • 황성자;고영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3권4호
    • /
    • pp.177-186
    • /
    • 1980
  •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compare the sesamol contents in the methanol extracts and unsaponifiable matters from raw and baked seeds of Korean sesame and perilla by thinchrography. The oil and sesamol contents of sesame seeds were higher than those of perilla seeds. The contents of sesamol in raw and baked sesame seeds were 0.22 and 0.096% respectively in methanol extracts and 0.41 and 0.29% respectively in unsaponifiable matters. The sesame contents in raw and baked perilla seeds were 0.0022 and 0.0043% respectively in methanol extracts and not detected in unsaponifiable matters.

  • PDF

추출 방법과 용매가 채종유 중 수종 미량성분의 그 자동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Einflu{\beta}$ der Extraktionsmethode und Losungsmittel auf einige Minorbestandteile in den rohen Olen und die Autoxydationsbereitschaft der Ole)

  • 문창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83-88
    • /
    • 1987
  • 추출방법과 용매가 조 채종유중의 미량성분과 그 자동산화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검토하였다. 불검화물과 Sterol 함량은 추출방법(Twisselmaun과 Soxhlet)과 사용한 용매의 종류(Pentan, Hexan, Heptan) 종류에 따라 변화되지 않았으며 Chlorophyll 함량은 추출용매의 분자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되고 사용된 추출법 상호간에는 Chlorophyll 수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채종유가 자동산화되는 경향을 추출용매의 비점이 상승함에 따라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조제방법이 한국산 식물성 기름(참깨 기름)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cedures for Preparing Fatty Acid Methyl Esters on Fatty Acid Composition of Korean Vegetable Oils (Sesame Seed Oils))

  • 윤태헌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9-18
    • /
    • 1987
  • The effects of procedures for preparation of fatty acid methyl esters for gas chromatography were investigated. A quantitative comparison of four procedures for the preparation of the fatty acid methyl esters from Korean sesame seed lipids which can be representative of fatty acid ranges of Korean vegetable oils has been made. The procedures employed were $BF_3$-methanol, HCI-methanol, sodium methoxide-methanol, and tetramethylammonium hydroxide-methanol. Twelve fatty acids ranged from 14:0 to 24:0 were identified in the lipids from Korean white and black sesame seeds. All four procedures gave similar results for the fatty acids, 16:0, 18:0, 18:1, 18:2, and 18:3 present in the range of $1{\sim}44%$ but only in the HCI-methanol procedure, the fatty acids, 16:1, 20:0, 22:0, 24:0 present in the range of $0.02{\sim}1%$ showed the lowest values. When using tetramethylammonium hydroxide-methanol procedure for determination of total fatty acid composition from white and black sesame seed lipids, unsaponifiable matters including sesamol, sesamolin and sesamin present in the seed lipids are not removed from the resulting reaction mixture. Thus the transesterification mixture is used without further treatment for injection into the gas chromatography. However, the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of the transesterification mixture showed that the unsaponifiable matters had no effect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seed lipids. From the results, it appears that the $BF_3$-methanol, sodium methoxide-methanol and tetramethylammonium hydroxide-methanol procedures can be used to prepare fatty acid methyl esters from Korean vegetable oils. Among the methods, the tetramethylammonium hydroxide-methanol procedure, which give total fatty acid composition, glyceride fatty acid composition and composition of free fatty acids present, appears to be a simple, convenient and quantitative procedure and applicable to samples containing broad ranges of fatty acids.

채유방법(採油方法)이 참기름의 Sterol조성(組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Oil Extraction Methods on Sterol Composition of Sesame Oil)

  • 최상도;김형갑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65-369
    • /
    • 1985
  • 참기름중(中) 부감화물은 RWE가 3.1%이고 RTE는 2.6%이며 전(全) sterol은 RTP가 0.68%이고 RTE가 0.48%이며 전(全) sterol중(中) free sterol이 37.9 $(RTP){\sim}52.7%(RTE)$로서 sterylglycoside 및 sterylester보다 그 함량(含量)이 많다. 참기름중(中) total sterol의 구성 sterol조성(組成)은 $39.3{\sim}42.9%$의 sitosterol, $13.0{\sim}17.2%$${\Delta}^5-avenasterol$, $9.1{\sim}11.0%$의 campesterol 및 $7.4{\sim}11.5%$의 stigmasterol이며 $23.5{\sim}24.6%$의 미지(未知)sterol (RRT:1.35)도 함유(含有)되어 있었고 sterylglycoside는 total sterol의 sterol조성(組成)과 거의 같은 경향(傾向)이었으나 free sterol과 sterylester는 ${\Delta}^5-avenasterol$$8.1{\sim}11.4%$로서 campesterol 및 stigmasterol보다 함유비(含有比)가 낮았다. 한편 채유방법별(採油方法別) sterol조성(組成)은 차이(差異)가 거의 없었다.

  • PDF

수산물의 지질에 관한 연구 (제4보) -두족류의 근육지질성분에 대하여- (Studies on the Lipid of Aquatic Products (Part 4) On the Flesh Lipid Composition of Cephalopods)

  • 하봉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9-73
    • /
    • 1982
  • 두족류의 근육지질의 특징을 알기 위하여 3종의 두족류를 사료로 하여 이들 근육에서 총지질을 적출하였고, 이를 thin layer chromatography, column chromatography 및 gas-liquid chromatography 그리고 TLC-scanner를 이용하여 총지질을 구성하는 지질성분. 지방산조성, sterol조성 그리고 총지질에서 분획한 중성지질, 당지질 및 린지질의 지방산조성을 정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 시료의 총후무사양은 생시료에 대하여 문어가 $0.5\%$, 낙지가 $0.8\%$ 그리고 꼴뚜기가 $0.6\%$였고 이들 평균지질함양은 $0.6\%$였다. 그리고 총지질의 전지방산양은 문어가 $19.3\%$, 낙지가 $47.8\%$,꼴뚜기가 $38.4\%$였으며, 불광화물양은 문어가 $10.9\%$, 낙지가 $15.8\%$, 꼴뚜기가 $41.1\%$로서 높은 함양을 나타냈다. 2) 총지질을 구성하는 성분으로는, sterol성분과 극성지질일색소 혼합층의 함양분포가 총지질에 대하여 각각 $27.0\sim35.5\%$ 그리고 $38.3\sim63.4\%$로서 시료에서 다 같이 높은 함양을 나타내고 있어 총지질이 주성분을 이루며, 문어의 근육에는 다른 시료보다 sterol성분의 함양이 높았다. 그리고 그가 소양성분으로 triglyceride, 유리지방산 및 탄화수소-esterified sterol혼합층이 분리 동정되었다. 3) 총지질의 지방산조성은 시료에서 다 같이 Palmitic acid가 주성분을 이루고 그외 oleic acid, linoleic acid, octadecatetraenoic acid 및 eicosapentaenoic acid가 구성지방기의 주체를 이루고 있다. 특히 문어의 총지질에는 palmitic acid와 eicosapentaenoic acid가 서로 비슷한 양으로 존재하면서 주성분을 이루고 있었다. 4) sterol조성에 있어서는 시료에서 다 같이 전sterol성분에 대한 cholesterol의 함양분포가 $82.4\sim89.1\%$로서 가장 많았고 그외 소양성분으로서 22-dehydrocholesterol 과 24-methylenecholesterol이 각 시료에 공통적으로 함유하고 있었다. 5) 총지질에서 분획한 비극성복질(신성지질)과 극성지질의 함양비는 시료에서 다 같이 비극성낙질보다 극성지질의 함양이 훨씬 높았다. 그리고 극성지질중에서도 당지질보다 린지질의 함양이 월등히 높았다. 6) 중성지질을 구성하는 성분으로는 유리 sterols의 함양분포가 중성서질에 대하여 $50.0\sim70.5\%$로서 주성분을 이루며, 그 다음 서로 비슷한 양으로 나타나는 esterified sterol, 유리지방산 및 triglyceride가 분리 동정되었다. 그리고 중성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은 palmitic acid, oleic acid, hexadecadienoic acid 주성분이었다. 7) 당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은 palmitic acid가 가장 많고 그가 oleic acid, linoleic acid, octadecatetraenoic acid, myristic acid가 구성지방산의주함분을 이룬다. 그러나 특히 꼴뚜기의 당지질에는 이들 지방산외에 arachidonic acid의 함양이 월등히 높아 주성분의 하나였다. 8) 린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은 palmitic acid함양이 가장 많았고 그가 oleic acid, linoleic acid, octadecatetraenoic acid가 구성지방산의 주성분이었다. 본 연구는 1981년도 문교부연구조성비의 지원으로 이루어 졌음을 밝힌다.

  • PDF

수산동물(水産動物)의 Wax Ester에 관(關)한 연구(연구) (1) -숭어난유(卵油)의 지질조성(脂質組成)에 관(關)하여- (Studies on Wax Esters in Marine Animals(1) -Lipid Composition of Mullet Roe Oil-)

  • 조용계;고광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09-414
    • /
    • 1978
  • 숭어 난유(卵油)의 지질조성(脂質組成)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보면 다음과 같다. 1 숭어의 각조직(各組織)의 지질성분(脂質成分)은 상이(相異)하였다. 즉 근육(筋肉), 난(卵) 및 간(肝)에서 추출(抽出)한 지질주요성분(脂質主要成分)은 각각(各各) triglyceride, wax ester, 유리지방산(遊離脂肪酸)였다. 2. 숭어난(卵)의 지질함량(脂質含量)은 약(約) 20.5%였고, 그 지질(脂質)의 요-드가(價)는 118, 불감화물의 양(量)은 38.7%였다. 3. 숭어난유(卵油)의 중요지질조성(重要脂質組成)은 wax ester가 59.1%로 제일 많았고, 다음이 극성지질(極性脂質)로 26.9%, 그 다음이 triglyceride로 9.0%였으며, Sterol은 3.0%였다. 4. Wax ester의 중요(重要)한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을 보면 palmitic acid가 47.5%로 제일 많았으며, 그 다음이 oleic acid로 23.0%, hexadecatrienoic acid가 6.5%, eicosapentaenoic acid가 4.0%였다. 또 triglyceride의 조성(組成)을 보면 palmitoleic acid가 25.1%, oleic acid가 16.7%, palmitic acid가 16.3%, eicosamonoenoic가 7.9%, stearic acid가 5.5%였다. 극성지질(極性脂質)의 경우는 palmitic acid가 35.0%, oleic acid가 24.7%, palmitoleic acid가 6.1%, eicosapentaenoic acid가 5.3%였다. 5. Wax ester의 중요(重要)한 alcohal은 cetyl alcohol(C16:0)가 51.0%로 제일 많았고. 그 다음이 palmitoleyl alcohol(C16:1)로 18.2%, 그 다음이 oleyl alcohol (C18:1)로 10.7%였다. 또 C15:0, C15:1, C17:0, C17:1, C19:1과 같은 기수탄소(奇數炭素) alcohol가 상당량(相當量) 발견(發見)되었다.

  • PDF

참깨 저장중(貯藏中) 지질(脂質)의 특성(特性) 및 Sterol의 조성(組成) 변화(變化) (Changs in Characteristics and Sterol Composition of Sesame Seed Lipid during Storage)

  • 최상도;조용운;김형갑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8-122
    • /
    • 1987
  • 참깨종실(種實)을 56개월(個月) 저장(貯藏)한 후 함유량(含油量)은 참깨 100g당(當) 수확 직후(直後) 50.3g이 45.5g으로 감소(減少)되었고 산가(酸價)는 1.8이 13.4로 크게 증가(增加)하였으나 sterylester는 9.9mg이 6.7mg으로 sterylglycoside가 3.8mg에서 8.3mg으로 크게 변화(變化)하였고 불(不)감화물(化物)은 24.3mg이 20.9mg로 감소(減少)되였으며 분회별(分劃別) sterol은 4,4-dimethylsterol 및 4-monomethylsterol이 감소(減少)한 반면(反面) 4-desmethylsterol은 78.5%가 90.7%로 증가(增加)되었다. 4-desmethylsterol의 sterol 조성변화(組成變化)는 campesterol 및 stigmasterol은 거의 변화(變化)가 없으나 sitosterol은 51.0%에서 48.2%로 감소(減少)한 반면(反面) ${\Delta}^5-avenasterol$은 15.2%에서 18.4%로 증가(增加)되었다.

  • PDF

수산물의 지질에 관한 연구(제5보) -쏘가리, 꺽지, 누치 및 메기의 근육지질 조성의 비교- (Studies on the Lipid of Aquatic Products(Part 5) -Comparison of flesh Lipid Composition of Some Fresh Water Fishes Mandarin Fish Korean Perch Cornet Fist and Cat Fish-)

  • 하봉석;강동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91-300
    • /
    • 1990
  • The lipid compositions including fatty acid sterol lipid class and the lipid component of the total lipid extracted from the flesh of some fresh water fishes I. e. mandarin cornet cat fish and Korean perch were compared. The levels of total lipid of flesh tissues from the fresh water fishes were high(7.4%) in cat fish but low(1.4-2.2%) in mandarin fish Korean perch and cornet fish. On the contrary the content of unsaponifiable matters found in total lipid was low(2.6%) in cat fish but high(6.0%-6.5%) in mandarin fish Korean perch and cornet fish. Total lipids were mainly composed of triglyceride(74.6-86.5%) as major component in each sample and the other lipid components of total lipid e. g. polar lipid free fatty acids and free sterol were the minor components, The major fatty acids in total lipid of each sample were{{{{ {C }_{16 { }:_{ }0 } }}}}(19.6-29.2%) {{{{ {C }_{16 { }:_{ }1 } }}}}(17.3-30.7%) and {{{{ {C }_{18 { }:_{ }1 } }}}}(16.8-29.2%) and additionally it chiefly consisted of {{{{ {C }_{14 { }:_{ }0 } }}}} and {{{{ {C }_{18 { }:_{ }2 } }}}} Particularly the contents of polyenoic acids in total lipid of cat fish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fish samples. The level of cholesterol in total lipid was low (8.3mg/g) in cat fish but were high(36.9-59.9mg/g) in mandarin fish Korean perch and cornet fish. The contents of fractionated neutral lipid(NL) were higher than those of polar lipid(PL) in each sample. Particularly phospholipid content in PL was low(6.0%) in cat fish but were high(23.1-36.3%) in mandarin fish Korean perch and cornet fish. Neutral lipids were mainly consisted of triglyceride(84.5-93.4%) as amjor component in each sample and the other lipid components of neutral lipid e, g, free fatty acids and free wterol were exhibited as a minor components, The fatty acid compositon of neutral lipids was very resembled to total lipids. The phospholipid in mandarin cornet and cat-fish were mainly composed of phosphatidyl serine(23.1-49.8%) and phosphatidyl choline(20.8-45.3%) The relatively higher amounts of phosphatidyl serine were observed in mandarine cornet and cat-fist than in Korean perch, But phosphatidyl ethanolamine(42.3%) and phosphatidyl choline (49.9%) were the main phospholipid in Korean perch. The extraordinary high content of phos-phatidyl ethanolamine compared to other fishes was characteristics in phospholipid composition of Korean perch. The major fatty acids in phospholipid of each sample were {{{{ {C }_{16 { }:_{ }0 } }}}} (38.3-46.5%) {{{{ {C}_{18 { }:_{ }0 } }}}}(14.2-21.7) and C16:1(11.6-13.8%) and additionally it chiefly consisted of C18:2, C18:0 and C17:0 The major fatty acids in glycolipid of each sample were C16:0(28.8-40.1%) C18:1(5.4-29.9%) C18:0(5.1-28.9%) and C16:1(8.2-20.1%) and additio-nally it chiefly consisted of C14:0 and C20:1.

  • PDF

보리새우 성장중의 지질성분 변화에 관한 연구 1. 천연 및 양식산 보리새우의 근육 지질성분의 비교 (Variation in Lipid Composition during the Growing Period of the Prawn I. Comparative Studies on the Flesh Lipid Composition of the Wild and Cultured Prawn)

  • 하봉석;송야륭남;등산정명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97-308
    • /
    • 1985
  • 천연 및 양식산 보리새우의 지질성분을 비교하기 위하여, 주산란기를 전후하여 채취한 각 시료에서 총지질을 추출하였고, 이를 TLC, GLC 및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총지질의 지방산조성, sterol조성 그리고 비극성지질과 극성지질의 지방산 조성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UV spectrophotometer, 기타 물리화학적 시험으로 천연 및 양식산 보리새우 근육의 carotenoid조성을 정양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보리새우 근육의 총지질함량은 평균 $2.0\%$로서 천연 및 양식산 보리새우의 지질함양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불검화물양은 총지질에 대하여 천연산이 평균 $13.9\%$, 양식산이 평균 $16.2\%$로서 양식산보리새우가 천연산 보다 약간 높은 함양치를 보였다. 그리고 총지질에 대한 NL과 PL의 함양비율은 평균 1:1.7로서 PL의 함양이 높았다. 2. TL의 지방산조성에서, 천연산은 $C_{18:0}$$C_{20:3}$산의 조성비가 높았고, 양식산은 $C_{18:1}$$C_{20:5}$산의 조성비가 높게 나타났으며, 양식산은 천연산에 비하여 monoene산의 함양이 높고 polyene산의 함양치가 낮았다. 3. NL의 지방산조성에서, 천연산은 $C_{18:0}$$C_{20:1}$산의 조성비가 높았고, 양식산은 $C_{16:0}$$C_{18:1}$산의 조성비가 높게 나타났으며, 양식산은 천연산에 비하여 monoene산의 함양이 높고 그 밖에 포화산 및 polyene산의 함양은 비슷하였다. 4. PL의 지방산조성에서, 천연산은 $C_{16:1}$$C_{17:1}$산의 조성비가 높았고, 양식산은 $C_{16:0}$$C_{18:1}$산의 조성비가 높게 나타났으며, 양식산은 천연산에 비하여 monoene 산의 함양이 낮고 그 밖에 포화산 및 polyene산의 함양은 비슷 하였다. 5. 천연 및 양식산 보리새우의 sterol은 cholesterol이 $78.7{\sim}88.9\%$의 함양분포를 보여 주성분을 이루고 그 밖에 24-methylene cholesterol, sitosterol등이 소량성분으로 검출되였다. 특히 24-methylene cholesterol은 양식산에서 다소 높게 나타난 반면, 천연산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거나 극소량이 존재하여 천연 및 양식산 보리새우의 sterol조성의 차이를 보였다. 6. 양식산 보리새우근육의 총 carotenoid 함량(평균 40.7 mg/100g of lipid)은 천연산(평균 70.4 mg/100 g of lipid)에 비하여 현저히 낮았고, 보리새우 근육의 carotenoid는 astaxanthine ($54.1{\sim}60.8%$)이 주성분이고 그 밖에 phoenicoxanthin($16.5{sim}22.9%$), ${\bata}-carotene\;(20.0{\sim}22.0%)$이 주체를 이루고 있었다.

  • PDF

3종(種) 패류(貝類)의 지질조성(脂質組成)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Lipid Composition in Three Species of Shellfish)

  • 손양옥;하봉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07-419
    • /
    • 1983
  • 서식환경(棲息環境)이 다른 해산(海産) 참굴, 소라 그리고 담수산(淡水産) 후루미재첩의 3종(種) 패류(貝類)를 시료(試料)로 총지질(總脂質)을 추출(抽出)하여 thin layer chromatography와 TLC-scanner를 이용(利用)하여 총지질(總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지질성분(脂質成分)을 정량(定量)하였다. 그리고 gas liquid chromatography로 총지질(總脂質)의 지방산(脂肪酸) 및 sterol 조성(組成)을 정량(定量)하였으며, 총지질(總脂質)을 다시 column chromatography로 중성지질(中性脂質), 당지질(糖脂質) 및 인지질(燐脂質)로 분획(分劃)하여 패류지질(貝類脂質)의 특징(特徵)을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시료(試料) 패류(貝類)의 총지질(總脂質) 함량(含量)은 굴이 1.8%, 소라가 0.4% 그리고 후루미재첩이 4.0%였다. 그리고 총지질(總脂質)의 전지방산(全脂肪酸)의 함량(含量)은 굴이 80.7%, 소라가 71.2%, 후루미재첩이 73.2%였고 불감화물은 굴이 15.4%, 소라가 18.1%, 후루미재첩이 23.1%였다. 2) 총지질(總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지질성분(脂質成分)으로는 triglyceride, 극성지질일색소(極性脂質一色素) 혼합층(混合層) 그리고 sterol성분(成分)이 가장 많았고 hydrocarbon-esterified sterol 혼합층(混合層)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3) 총지질(總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지방산(脂肪酸)은 참굴에서는 palmitic(37.0%), eicosapentaenoic(13.5%) 및 linoleic acid(11.2%)가 주성분(主成分)을 이루고 있고 소라에서는 octadecatetraenoic(15.8%), palmitic(11.2%), oleic(8.6%) 및 linoleic acid(8.1%)가 주성분(主成分)을 이루고 있으나, 후루미재첩에서는 palmitic(34.0%), Iinoleic(12.3%) 및 palmitoleic acid(9.8%)가 주성분(主成分)을 이루고 있었다. 특(特)히 참굴과 소라에서는 eicosapentaenoic acid의 함량(含量)이 후루미재첩보다 훨씬 많았다. 4) 3종(種) 패류(貝類)의 sterol성분(成分)은 주(主)로 cholesterol(42.7~64.0%), brassicasterol(15.6~24.7%) 및 24-methylenecholesterol(4.7~21.4%)였다. 그러나 참굴에서는 sitosterol(5.3%)이 소라에는 22-dehydrocholesterol(12.9%)이 검출(檢出)되었다. 5) 총지질(總脂質)에서 분획(分劃)한 비극성지질(非極性脂質)과 극성지질(極性脂質)의 함량(含量)은 시료(試料)에서 공통적(共通的)으로 비극성지질(非極性脂質)이 극성지질(極性脂質)보다 높았다. 그리고 극성지질중(極性脂質中)에서는 당지질(糖脂質)과 인지질(燐脂質)의 함량비(含量比)가 비슷하였다. 6) 중성지질(中性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지질성분(脂質成分)은 triglycerides(33.0~36.7%), free sterol(25.7~32.2), esterified sterol(12.4~23.7%) 그리고 free fatty acids(5.1~11.7%)로 구성(構成)되어 있었다. 중성지질(中性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지방산(脂肪酸)으로는 참굴과 후루미재첩에서는 palmitic(28.4~26.4%), eicosapentaenoic(18.6~21.9%) 및 linolenic acid(9.0~5.4%)가 주성분(主成分)이었고 소라에서는 octadecatetraenoic(14.5%), eicosapentaenoic(13.5%) 및 palmitic acid(12.3%)가 주성분(主成分)이었다. 7) 당지질(糖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지방산(脂肪酸)으로는 참굴에서는 eicosenoic(14.3%), palmitic(12.1%) 및 linolenic acid(10.2%)가 주성분(主成分)이었고, 소라에서는 eicosenoic(26.0%), octadecatetraenoic(14.6%) 및 eicosadienoic acid(12.9%)가 주성분(主成分)이었으며 후루미재첩에서는 eicosadienoic(21.4%), stearic(14.6%), octadecatetraenoic(8.5%) 및 eicosenoic acid(8.5%)가 주성분(主成分)이었다. 8) 인지질(燐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지방산(脂肪酸)으로는 참굴에서는 myristic(16.0%), stearic(10.6%), eicosenoic(10.5%) 및 palmitic acid(10.3%)가 주성분(主成分)이었고, 소라에서는 oleic(22.2%), stearic(20.7%) 및 linolenic acid(11.8%)가 주성분(主成分)이었으며, 후루미재첩에서는 eicosapentaenoic(25.1%), myristic(8.7%) 및 arachidonic acid(8.3%)가 주성분(主成分)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