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

검색결과 1,185건 처리시간 0.019초

대학 이러닝 학습자들의 학습 시·공간 패턴에 따른 학업성취도 차이 분석 (The Analysis of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Spatio-Temporal Data Relate to e-Learning Patterns of University e-Learning Learners)

  • 이해듬;남민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247-253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 이러닝 학습자들의 학습 시 공간 데이터를 활용한 이러닝 학습패턴에 따라 학습자등의 출석률과 학업성취도 차이를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은 3년간 총 68개 이러닝 강좌, 수강생 13,611명의 이러닝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자료분석은 t검증, 이원변량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대학 이러닝 학습자들의 학습공간에 따른 출석률과 학업성취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내 주학습자가 출석률과 학업성취도에서 교외 주학습자들 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고, 학업성취도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났다. 둘째, 대학 이러닝 학습자들의 일 단위 학습시간대에서는 오전시간대 주학습자, 오후시간대 주학습자, 야간시간대 주학습자 순으로 출석률과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 단위 학습시간대에서는 평일시간대의 주학습자들이 주말시간대 주학습자들 보다 출석률과 학업성취도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분석되었다.

아동의 학습능력 저해요인으로서의 학대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Child Abuse to Academic Achievement)

  • 김미숙;박명숙
    • 아동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29-40
    • /
    • 2004
  • Three groups of maltreated Korean children (Grades 1 through 3) drawn from Child Protective Services (CPS) agencies were compared to a control group of nonmaltreated children on academic achievement as measured by standardized tests of reading, spelling, arithmetic, and writing. Findings were that maltreated children performed significantly below their nonmaltreated children on the standardized tests, in particular in arithmetic. In first grade, maltreated children did not perform below nonmaltreated children on writing and reading, but maltreated children gradually declined in academic performance in these skills. The older, grade 3, children showed more serious academic problems than the younger children (Grades 1 and 2) on four academic skills. This suggests that early experience of child abuse have a strong affect o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 PDF

가족 자원이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부모 양육태도와 사교육의 매개효과 차이검증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Family Resources on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 Focusing on the Difference in Mediating Effects Size between Parenting and Private Education)

  • 이주리
    • 아동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37-146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family resources on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analyzed the differencesin mediating effects between parenting and private educa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5916 middle school students (males 3078, females 2838) in KEL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 (1) Family resources influenced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2) Both parenting and private education mediated the associations between family resources and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3) The difference of mediating effects for parenting and private education was not found to be significant.

성별 및 학년 수준에 따른 비판적 사고력의 발달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Differences in Critical Thinking : Relating Sex, Grade to Critical Thinking and Academic Achievement)

  • 황희숙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7권2호
    • /
    • pp.240-251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and academic achievement. Subjects were 396 junior and 371 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Cornell Critical Thinking Test and Academic Achievement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there was a sinificant grade level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Second, there was a signficant sex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and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y grade level and sex. Third, critical thinking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made.

아동의 인지전략사용 유형별 학업 관련 변인에서의 차이 (Differences in Variables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by Profiles of Learning Strategies Used by Children)

  • 이혜주
    • 아동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45-160
    • /
    • 2009
  • The study explored differences in variables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by profiles of learning strategies.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Pintrich & DeGroot, 1990), the Test of Beliefs on Intelligence (Cho et al., 2004), the School Satisfaction Scale (Son, 1993; Taft, 1979) and Scales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Renzulli et al., 2002) were administrated to 221 subjects in grade 6 (107 girls, 114 boys). Data were analyzed by cluster analysis and ANOVA. Results identified six different clusters; significant differences of variables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were found among the six clusters. Frequent use of various cognitive strategi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higher academic achievement.

  • PDF

아동의 학업성취 관련변인의 인과적 구조분석 (Causal Relationships i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and Related Variables)

  • 이경화;정혜영
    • 아동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71-284
    • /
    • 2006
  • In order to define their relative influence, this study analyzed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uch related variables as self-esteem and the psychological and economic environment of the home, including clarification of other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Participants were a sample of 485 5th grade students from 8 elementary schools in Busan. Correlation,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and model-fitness tests were applied to the data. Results indicated that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 of the home has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and the economic environment of the home and self-esteem have relatively low or indirect influence.

  • PDF

대학입학전형 관련 요인에 따른 간호학과 1학년의 학업성취 분석 : 일 대학 간호학과를 대상으로 (Nursing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depending on College Entrance System-related Factors)

  • 김미원;이한주;이윤주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96-605
    • /
    • 2014
  • Purpos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college entrance system-related factors and scores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on a first year nurs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Method: Data collected include both a descriptive survey designed to assess college entrance system-related factors with respect to 182 nursing students attending a 4-year nursing college program and their test scores in the first year. The data were analyzed via descriptive statistics, Mann-Whitney U test, Kruskal-Wallis test with Bonferroni's correction, and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through an SPSS 18.0 program. Results: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with regard to college entrance system-related factors exhibited significant divergence from first year grade point averages (hereafter GPA) and natural science grades.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existence of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factors regarding the college entrance system. As a result, conducting assessment to evaluate the level of basic knowledge before college entrance is highly recommended. Also recommended is the development of a support program for students projected to have difficulties with respect to their academic achievement.

수학 내재적 동기 수준에 따른 교사와 부모의 성취압력이 수학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ccomplishing Pressure of Teachers and Parents on Academic Achievement in accordance with the Moderating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in Mathematics)

  • 김보경;정희선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217-23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의 수학 학업성취도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성취압력과 수학 내재적 동기의 영향력과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 내재적 동기의 수준에 따라, 수학 내재적 동기가 높은 집단에서 교사의 성취압력은 수학 학업성취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수학 내재적 동기 중 하집단에서는 교사의 성취압력이 수학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성취압력은 수학 내재적 동기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모두 수학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특히 수학 내재적 동기가 중 상인집단이 하집단에 비해 수학 학업성취도에 더 큰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와 부모의 성취압력을 통해 수학 학업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논의되었으며, 후속 연구를 위한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대학생의 학습전략과 부정적 정서, 학업적·사회적 적응이 성적에 미치는 영향: 성별의 조절효과 (Effects of Learning Strategies, Negative Affect, and Academic·Social Adapt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 박완성;정구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490-499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학습전략과 부정적 정서, 대학생활적응이 성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1개 대학교의 신입생 654명을 대상으로 2월에 학습전략과 부정적 정서를 조사하였으며, 3개월 후 학기 말에 학업적 사회적 적응과 성적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상호작용 효과의 사후분석으로 단순기울기 검증을 수행한 후 도식으로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습전략과 학업적 적응은 성별에 관계없이 모두 성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정적 정서가 성적에 미치는 영향은 여자에게서만 유의하였고, 사회적 적응이 성적에 미치는 영향은 남자에게서 유의하게 나타나 성별의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에서의 학업적 성취에 학습전략과 정서 및 적응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역량중심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학업성취도 예측 시스템: 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Learning Ability Prediction System for Developing Competence Based Curriculum: Focusing on the Case of D-University)

  • 김성국;오창헌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67-277
    • /
    • 2022
  • 대학에서의 학업성취도란 대학교육을 통한 결과로서 학생들이 구현한 질적 변화와 발달의 수준이라는 포괄적 의미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대학생의 학업성취도는 창의성, 리더십, 글로벌 역량 등 다양한 인재상에 대한 시대적, 사회적 요구와 연계되어 그 의미를 부여하게 되지만 실질적으로 대학교육의 성과지표로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것은 학점으로 귀결 되고 있다. 이러한 학점을 통한 학업성취도의 측정은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는데, 특히, 평가 방식과 내용 그리고 대학의 서열화 효과 등에 의해 학점을 통한 학업성취도의 표준화는 매우 어려운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D대학 졸업생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도의 우수 여부를 예측하는 시스템을 제시한다. 사용된 변수는 일부 개인정보와 졸업연도, 학번, 학과명, 계열명 등의 학사 정보 등 최대 96개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나 개인정보나 학과정보 등은 이미 결정되어 노력에 의해 변경될 수 없는 데이터이므로 분석 대상이 될 항목은 이미 결정된 데이터를 제외한 학과별/학생별 역량으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권 소재 전문대학인 D대학의 미션, 비전, 교육목표 및 인재상 등이 반영된 핵심역량의 분석을 통해 학업 성취도 예측시스템을 구현해 보고, 해당 시스템의 도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머신러닝을 활용하여 예측하기위해 진행되었다. 향후 연구결과를 학과에서 진행되는 교육과정 수립 및 학생 지도 등에 적용하여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데 활용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