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expected pathology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6초

Primary Pulmonary Malignant Melanoma: An Unexpected Tumor

  • Hwang, Kyo-Bum;Hwang, Ki-Eun;Jung, Jae-Wan;Oh, Su-Jin;Park, Mi-Jeong;Jeong, Young-Hoon;Choi, Keum-Ha;Jeong, Eun-Taik;Kim, Hak-Ryul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8권3호
    • /
    • pp.272-275
    • /
    • 2015
  • Malignant melanoma occurs most frequently on the skin. However, it can also arise in other organs and tissues of the body. Primary pulmonary malignant melanoma is a very rare non-epithelial neoplasm accounting for 0.01% of all primary pulmonary tumors. The treatment of choice is surgical resection of the tumor with an oncologically adequate margin as in lobectomy or pneumonectomy. The prognosis of this condition is rather poor. Based on previous data, its 5-year survival is at least 10%. Here, we report a case of an 82-year-old woman whose primary pulmonary melanoma was detected incidentally.

End of Life Issues in Cancer Cases: Ethical Aspects

  • Taghavi, Afsoon;Hashemi-Bahremani, Mohammad;Hosseini, Leili;Bazmi, Shabnam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sup3호
    • /
    • pp.239-243
    • /
    • 2016
  • This article investigates ethical challenges cancer patients face in the end stages of life including doctors' responsibilities, patients' rights, unexpected desires of patients and their relatives, futile treatments, and communication with patients in end stages of life. These patients are taken care of through palliative rather than curative measures. In many cases, patients in the last days of life ask their physician to terminate their illness via euthanasia which has many ethical considerations. Proponents of such mercy killing (euthanasia) believe that if the patient desires, the physician must end the life, while opponents of this issue, consider it as an act of murder incompatible with the spirit of medical sciences. The related arguments presented in this paper and other ethical issues these patients face and possible solutions for dealing with them have been proposed. It should be mentioned that this paper is more human rational and empirical and the views of the legislator are not included, though in many cases human intellectual and empirical comments are compatible with those of the legislator.

Primary Synovial Sarcoma of the Parietal Pleura: A Case Report

  • Kang, Min-Kyun;Cho, Kwang-Hyun;Lee, Yang-Haeng;Han, Il-Yong;Yoon, Young Chul;Park, Kyung-Taek;Kang, Do Kyun;Kim, Bo-Mi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6권2호
    • /
    • pp.159-161
    • /
    • 2013
  • Synovial sarcoma is a malignant soft tissue tumor that most commonly occurs in the extremities of young and middle-aged adults, in the vicinity of large joints. Although synovial sarcoma is frequently associated with joints, it may arise in unexpected sites, such as the mediastinum, heart, lung, pleura, or chest wall. Primary synovial sarcoma of the pleura is rare. To date, nearly 36 cases of primary synovial sarcoma of the pleura have been reported since Gaertner et al. published the first case in 1996. The oncologic characteristics, treatment, and prognosis for pleural synovial sarcomas are not well defined because of a paucity of data. However, a multimodal approach, including surgical resection,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has generally been suggested. We report the outcome of one patient with primary pleural synovial sarcoma treated with radical resection and adjuvant treatment.

Etoposide-Cisplatin Alternating with Vinorelbine-Cisplatin Versus Etoposide-Cisplatin Alone in Patients with Extensive Disease Combined with Small Cell Lung Cancer

  • Zhang, Jie;Qi, Hui-Wei;Zheng, Hui;Chen, Mo;Zhu, Jun;Xie, Hui-Kang;Ni, Jian;Xu, Jian-Fang;Zhou, Cai-Cu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0호
    • /
    • pp.4159-4163
    • /
    • 2014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lternating etoposide-cisplatin and vinorelbine-cisplatin (EP-NP) compared with an etoposide-cisplatin (EP) regimen for advanced combined small cell carcinomas. Materials and Methods: Histologically confirmed combined small cell carcinoma patients who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randomly assigned (1:1) into either the EP-NP setting (group A) or the EP setting (group B). The primary endpoint was progression-free survival in patients who received at least one dose of treatment. Results: Eighty-two patients entered into this trial, 42 in group A and 40 in group B. The objective response rates in group A and group B were 42.9% and 32.5%, respectively (p=0.334). Survival analysis showed that median progression-free survival was 6.1 months in group A, which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e 4.1 months in group B (p=0.041). However, as to overall survival,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11.0 vs 10.1 months in groups A and B, respectively, p=0.545). No unexpected side effects were observed in either group. Conclusions: The EP-NP regimen for combined small cell carcinomas prolonged progressio-nfree survival compared with the EP regimen. Further clinical investigations are warranted.

Clinical significance of APOB inactivation in hepatocellular carcinoma

  • Lee, Gena;Jeong, Yun Seong;Kim, Do Won;Kwak, Min Jun;Koh, Jiwon;Joo, Eun Wook;Lee, Ju-Seog;Kah, Susie;Sim, Yeong-Eun;Yim, Sun Young
    •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 /
    • 제50권11호
    • /
    • pp.7.1-7.12
    • /
    • 2018
  • Recent findings from The Cancer Genome Atlas project have provided a comprehensive map of genomic alterations that occur in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including unexpected mutations in apolipoprotein B (APOB). We aimed to determin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is non-oncogenetic mutation in HCC. An Apob gene signature was derived from genes that differed between control mice and mice treated with siRNA specific for Apob (1.5-fold difference; P < 0.005). Human gene expression data were collected from four independent HCC cohorts (n = 941). A prediction model was constructed using Bayesian compound covariate prediction, and the robustness of the APOB gene signature was validated in HCC cohorts. The correlation of the APOB signature with previously validated gene signatures was performed, an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ingenuity pathway analysis. APOB inactivation was associated with poor prognosis when the APOB gene signature was applied in all human HCC cohorts. Poor prognosis with APOB inactivation was consistently observed through cross-validation with previously reported gene signatures (NCIP A, HS, high-recurrence SNUR, and high RS subtypes). Knowledge-based gene network analysis using genes that differed between low-APOB and high-APOB groups in all four cohorts revealed that low-APOB activity was associated with upregulation of oncogenic and metastatic regulators, such as HGF, MTIF, ERBB2, FOXM1, and CD44, and inhibition of tumor suppressors, such as TP53 and PTEN. In conclusion, APOB inactivation is associated with poor outcome in patients with HCC, and APOB may play a role in regulating multiple genes involved in HCC development.

Comparison of clinical diagnostic performance between commercial RRT-LAMP and RT-qPCR assays for SARS-CoV-2 detection

  • Kim, Hye-Ryung;Park, Jonghyun;Han, Hyung-Soo;Kim, Yu-Kyung;Jeon, Hyo-Sung;Park, Seung-Chun;Park, Choi-Kyu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63-168
    • /
    • 2021
  • The rapid and reliable detection of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plays a key role in isolating infected patients and preventing further viral transmission.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clinical diagnostic performances of a commercial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RRT-LAMP) assay (Isopollo® COVID-2 assay, M-monitor, Daegu, Korea) using eighty COVID-19 suspected clinical samples and compared these with the results of a commercial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qPCR) assay (AllplexTM 2019-nCoV rRT-QPCR Assay, SeeGene, Seoul, Korea). The results of the RRT-LAMP assay targeting the N or RdRp gene of SARS-CoV-2 showed perfect agreement with the RT-qPCR assay results in terms of detection. Furthermore, the RRT-LAMP assay was completed in just within a 20-min reaction time, which is significantly faster than about the 2 h currently required for the RT-qPCR assay, thus enabling prompt decision making regarding the isolation of infected patients. The RRT-LAMP assay will be a valuable tool for rapid, sensitive, and specific detection of SARS-CoV-2 in human or unexpected animal clinical cases.

자궁의 악성 혼합성 뮬러리안 종양 환자에서의 FDG PET의 역할 (The Role of F-18 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n Patients with Malignant Mixed Mullerian Tumors of the Uterus)

  • 바수키;천기정;채민정;김문홍;김민석;최창운;임상무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0권1호
    • /
    • pp.16-22
    • /
    • 2006
  • 목적 :. 악성 혼합 뮬러리안 종양(malignant mixed Mullerian tumor, MMMT)은 매우 드문 자궁의 악성질환으로 매우 치명적인 임상경과를 보인다. 현재까지의 적절한 치료법은 수술적으로 완전제거를 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MMMT 환자에서 진단시 병기결정과 추적관찰에 재발 및 잔류암을 진단하는데 FDG PET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MMMT로 진단 후 수술적 치료전 병기결정을 위해 검사한 환자가 1명, 수술 및 치료후 재발 및 잔류암을 검사하기 위해 9명의 환자가 FDG PET을 시행하였다. PET의 판독은 국소 대사항진 병소를 주로 육안적으로 판정하였다. 추적관찰 기간 동안의 종양표지자 CA 125 값과 영상검사, 병리조직 소견을 비교 평가하였다. 결과: 10명의 환자 중 3명에서 PET에서 이상 섭취소견이 있었다. FDG 양성인 환자의 한 예에서는 CA 125가 증가하였으며 이 경우 병리학적 소견에서 선암분획(carcinomatous element)인 높은 양상이었다. 이 경우 해부학적 영상법으로 찾을 수 없는 병소를 PET 영상에서만 찾을 수 있었다. 이에 반하여 다른 한 예에서는 CA 125가 추적관찰기간 동안 정상이었는데 PET 영상에서 재발 병소를 찾을 수 있었으며 해부학적 영상법보다 더 많은 병소를 찾을 수 있었다. 이 경우는 병리학적인 소견이 주로 육종분획(sarcomatous element)이 높은 양상이었다. 다른 한 예에서도 추적 기간 동안의 CA 125 상승이 관찰되었고 이 경우 선암분회이 역시 높게 관찰되었다. PET 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없는 7 예에서는 추적관찰 기간($51.7{\pm}12.2$개월) 동안 종양표지자의 상승이나 재발의 소견은 없었으며 평균 재발없는 생존기간이 $36.4{\pm}6.0$ 개월이었다. 추적기간 중 PET상 이상 소견이 있었던 2명의 예에서는 추적관찰 기간($6.0{\pm}4.2$개월) 내에 모두 재발이 확인되었다. 결론: FDG PET은 MMMT 환자의 진단 당시 예상치 못했던 원위부의 전이나 치료 후 추적관찰 기간 동안 재발이나 잔류암의 진단에 유용한 검사법으로 이용할 수 있겠다.

처음 진단된 두경부 선양낭성암종에서 $^{18}F$-FDG PET/CT: 임상상 및 병리소견과의 상관성 ($^{18}F$-FDG PET/CT in Patients with Initially Diagnosed Adenoid Cystic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Clinicoplathologic Correlation)

  • 이지영;최준영;고영혜;백정환;손영익;조숙경;천미주;이경한;김병태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3권5호
    • /
    • pp.395-401
    • /
    • 2009
  • 목적: 처음 진단된 두경부 선양낭성암종의 $^{18}F$-FDG PET/CT의 영상소견을 선양낭성암종의 병리적 소견, 병기 결정, 가장 흔한 두경부암인 편평세포암종의 $^{18}F$-FDG 섭취 양상, 예후와 상관 지어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두경부 선양낭성암종으로 처음 진단되어 $^{18}F$-FDG PET/CT를 시행한 16명의 환자가 대상이었다. PET/CT의 병기 결정 능력을 알아보고, 두경부 선양낭성암종의 $SUV_{max}$를 원발종양의 조직학적 아형(고형 대 관상형/사상형상), 병변의 크기와 일치하는 두경부 편평세포암종의 $SUV_{max}$, 무병생존율과 비교하였다. 결과: 16명의 환자들 중, 관상형 또는 사상형을 가진 군은 10명이었고 나머지 6명은 고형을 가진 군이었다. 고형 선양낭성암종의 $SUV_{max}$는 관상형 또는 사상형 선양낭성암종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6.7{\pm}3.2$ vs. $4.2{\pm}0.9$, p=0.03). $^{18}F$-FDG PET/CT로 기존 영상법에서 발견하지 못한 원격 전이를 18.7%의 환자에서 발견하여, 치료방침 변경에 기여하였다. 선양낭성암종의 $SUV_{max}$는 병변 크기가 같은 편평세포암종과 비교해 보았을 때 유의하게 낮았다($5.1{\pm}2.4$ vs. $13.6{\pm}6.0$, p<0.001). 조직학적 아형에 따른 무병생존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원발종양의 $SUV_{max}$가 6.0 이상인 환자들의 무병생존율은 $SUV_{max}$가 6.0 미만인 환자들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02). 결론: 두경부 선양낭성암종의 $^{18}F$-FDG 섭취양상은 조직학적 아형과 무병생존율과 유의한 관계가 있다. $^{18}F$-FDG PET/CT는 기존 영상법에서 발견하지 못한 원격전이 진단에 유용한 것으로 보인다. 사상형상 또는 관상형선양낭성 암종의 $^{18}F$-FDG 섭취는 낮을 수 있어, 선양낭성암종이 의심되지 않은 환자들의 PET영상 판독에 주의가 필요하다.

위급한 객혈을 동반한 일측성 폐정맥 협착증 (Unilateral Pulmonary Vein Stenosis with Life-threatening Hemoptysis - A case report -)

  • 이재항;강창현;노정일;서정욱;이정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10호
    • /
    • pp.725-728
    • /
    • 2005
  • 환아는 생후 18개월 된 여아로 반복적인 위급한 과량의 객혈을 주소로 입원하였다. 과거력상 생후 6개월에 중증의 심비대 소견을 보이는 심방중격결손증을 진단받았으며 폐정맥 협착이 심비대에 의한 압박으로 생긴 이차적인 병변일 것이라 추정하여 심방중격결손폐쇄술만 시행하였다. 술 후 환아는 심비대와 폐정맥 협착이 완화된 소견을 보였다. 그러나 추적 관찰 중 환아는 반복적인 다량의 객혈로 다시 입원하였고 전산화단충촬영 소견 상 폐정맥 협착이 다시 심해진 것으로 판독되었으며 기관지 주변에 성상을 알 수 없는 연조직 종괴들이 좌측 기관지를 압박하고 있었다.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는 반복적인 객혈로 인해 시험적 개흉술이 불가피하였고, 수술 소견상 좌폐정맥은 하나였으며 외견상 협착의 소견을 보였다. 좌측 기관지 주변에는 다발성 임파절 비대가 기관지를 압박하고 있었다. 또한 수술 중 다량의 객혈이 발생하여 전폐절제술을 시행할 수밖에 없었다. 술 후 병리 소견은 폐정맥 협착과 일치하였다. 환아는 2일간의 중환자실 관리 후 6일째 합병증 없이 퇴원하였다. 2개월간 추적 관찰되었으며 증상 없이 양호한 경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향후 지속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고 사회 불안 성인의 위협 자극에 대한 주의 및 기억 편향 (Attention and Memory Bias to threatened stimuli in Individuals with High Social Anxiety)

  • 박진아;김소연
    • 감성과학
    • /
    • 제27권2호
    • /
    • pp.113-126
    • /
    • 2024
  • 사회 불안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사회적 맥락에서 위협적인 자극에 대한 주의 편향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최근 연구들에서 이러한 주의 편향은 비교적 일관되게 보고되는 반면, 위협 자극에 대한 기억 편향에 대한 연구는 드물며 그 결과 또한 혼재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 사회불안 개인의 위협 자극에 대한 주의 편향 및 기억 편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 사회불안(HSA) 그룹 19명과 저 사회불안(LSA) 20명이 모집되었으며, 참가자들은 위협에 대한 주의 편향을 측정하는 연속 주의 과제를 수행하였다. 주의 과제 후, 참가자들은 이전 주의 과제에서 사용된 방해자극을 사용한 예기치 못한 기억 과제를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HSA 집단과 LSA 집단 모두 방해자극인 정서적 얼굴에 대한 초기 주의 편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분노 얼굴 자극에 대한 주의 유지 현상은 HSA 집단에게서만 발견되었다. 또한, HSA 집단은 기억 과제에서도 분노 얼굴에 대해 기억 편향을 나타냈다. 반면, LSA 집단의 경우 긍정정서인 행복 얼굴에 대한 후기 주의 편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정적 자극에 대한 과도한 편향과 긍정적 자극에 대한 편향의 부재가 사회 불안 장애의 유지 및 심각성 등 병태 생리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