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mbilical venous catheter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8초

Umbilical Venous Catheter Complication Presenting as Chylous Ascites in a Newborn: Intraperitoneal Extravasation of Total Parenteral Nutrition Infusate

  • Lee, Hye Mi;Sung, Hyun Jung;Lee, Hyun-Seung
    • Neonatal Medicine
    • /
    • 제25권4호
    • /
    • pp.196-201
    • /
    • 2018
  • Umbilical venous catheterization (UVC) is a common practice in intensive neonatal care. However, a malpositioned UVC and its prolonged use may lead to various problems, including mechanical, infectious, and thrombotic complications in various organs such as the liver, lungs, and heart. Congenital chylous ascites is characterized by abnormally high levels of triglycerides in the peritoneal fluid of newborns, which originate from refluxed lymph within the abdominal cavity. Herein, we report a case of an UVC complication presenting as chyloperitoneum simulating congenital chylous ascites in a preterm neonate that resulted from 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 extravasation from a malpositioned UVC. Biochemical analysis of intraperitoneal chylous fluid and TPN infusate could help confirm the origin of chyloperitoneum. This case suggests that TPN extravasation from UVC should be considered when chyloperitoneum develops in newborns with an indwelling catheter. UVC positions must also be carefully monitored at regular intervals to recognize associated complications early, particularly in cases with an inevitably malpositioned catheter related to the anatomy of the vessel course.

Central line-associated bloodstream infections in neonates

  • Cho, Hye Jung;Cho, Hye-Ky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2권3호
    • /
    • pp.79-84
    • /
    • 2019
  • Newborn infants, including premature infants, are high-risk patients susceptible to various microorganisms. Catheter-related bloodstream infections are the most common type of nosocomial infections in this population. Regular education and training of medical staffs are most important as a preventive strategy for central line-associated bloodstream infections (CLABSIs). Bundle approaches and the use of checklists during the insertion and maintenance of central catheters are effective measures to reduce the incidence of CLABSIs. Chlorhexidine, commonly used as a skin disinfectant before catheter insertion and dressing replacement, is not approved for infants <2 months of age, but is usually used in many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due to the lack of alternatives. Chlorhexidine-impregnated dressing and bathing, recommended for adults, cannot be applied to newborns. Appropriate replacement intervals for dressing and care sets are similar to those recommended for adults. Umbilical catheters should not be used longer than 5 days for the umbilical arterial catheter and 14 days for the umbilical venous catheter. It is most important to regularly educate, train and give feedback to the medical staffs about the various preventive measures required at each stage from before insertion to removal of the catheter. Continuous efforts are needed to develop effective and safe infection control strategies for neonates and young infants.

신생아의 제대 정맥 카테터와 관련된 간 합병증의 영상 소견 (Imaging of Umbilical Venous Catheter-Related Hepatic Complications in Neonates)

  • 김민주;유소영;전태연;김지혜;김유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3호
    • /
    • pp.586-595
    • /
    • 2023
  • 제대 정맥 카테터는 미숙아 혹은 위중한 만삭아에게 중심 정맥을 통한 총 비경구 영양 및 약물을 제공하기 위해 흔하게 사용된다. 하지만 제대 정맥 사용은 감염, 문맥 혈전증 및 간 조직 손상을 포함하는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잘못 거치된 제대 정맥 카테터를 통하여 부주의하게 고장성 액체를 투여 시 액체 저류를 동반한 간실질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영상검사에서 이러한 액체 저류는 종양성 병변으로 오인될 수 있다. 초음파와 엑스선 검사는 이러한 제대 정맥 카테터 관련 합병증을 감지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이 논문에서는 신생아의 제대 정맥 카테터 관련 간 합병증의 영상 소견에 대해 기술할 것이다.

소아의 중심정맥로 설치술 (Central Venous Access in Children)

  • 이명덕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4권1호
    • /
    • pp.1-15
    • /
    • 1998
  •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entral venous catheters(CVCs) in children, 320 CVCs placed in 255 neonate and children over a 10-year period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CVC was placed by one pediatric surgeon for a total of 6, 116 patients days. Catheters were placed preoperatively for TPN or chemo in 223 cases. CVC was solely for TPN in 57 cases and for chemotherapy in 40. Local anesthesia was utilized in 71 cases, and the general anesthesia was administered in the remainder of the patients. The subclavian vein was catheterized(SCV) in 202 cases(82 infants and neonates), tunneled external jugular venotomy(EJV) was utilized in 38, tunneled internal jugular venotomy(UV) in 2, the facial venotomy(FV) was used in 3, and the umbilical vein was catheterized UVC) with vein transposition in 74 infants. In neonates, 72 UVCs were placed during laparotomy. SCV was increased with ages, from 3 kg of minimal body weight. The average catheter-periods over-all were 19.1 days, SCV 17 days, EJV 40, IJV 60 and UVC 14. Technical complications were; arterial puncture(6), puncture failure(5) and abnormal location(12) in SCV; insertion failure(3) in EJV; abnormal location in the portal vein(4) and the liver parenchyma(2) cystic fluid accumulations in UVC. Twelve migrations(3.8 %) out of position occurred; SCV(2), EJV(1) and UVC(9). There were 4 cases(1.2 %) of catheter obstruction and 11(3.4 %) of catheter infection(3 SCV, 2 EJV and 6 UVC). Rescue procedures were utilized with some success. There was one mortality(0.3 %) due to deep sedation in a 1.06 kg baby during placement of an EJV. The surgeon's experience, proper catheter selection and following safety rule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successful CVCs.

  • PDF

Catheter-related bloodstream infection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 Lee, Jung-Hy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4권9호
    • /
    • pp.363-367
    • /
    • 2011
  • Central venous catheters (CVCs) are regularly used in intensive care units, and catheter-related bloodstream infection (CRBSI) remains a leading cause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particularly in preterm infants. Increased survival rate of extremely-low-birth-weight infants can be partly attributed to routine practice of CVC placement. The most common types of CVCs used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NICUs) include umbilical venous catheters,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s, and tunneled catheters. CRBSI is defined as a laboratory-confirmed bloodstream infection (BSI) with either a positive catheter tip culture or a positive blood culture drawn from the CVC. BSIs most frequently result from pathogens such as gram-positive cocci,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and sometimes gram-negative organisms. CRBSIs are usually associated with several risk factors, including prolonged catheter placement, femoral access, low birth weight, and young gestational age. Most NICUs have a strategy for catheter insertion and maintenance designed to decrease CRBSIs. Specific interventions slightly differ between NICUs, particularly with regard to the types of disinfectants used for hand hygiene and appropriate skin care for the infant. In conclusion, infection rates can be reduced by the application of strict protocols for the placement and maintenance of CVCs and the education of NICU physicians and nurses.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서 병원 감염 패혈증의 위험인자 (Risk Factors of Nosocomial Sepsis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 김규리;김승연;박호진;기모란;윤혜선
    • Neonatal Medicine
    • /
    • 제17권1호
    • /
    • pp.84-93
    • /
    • 2010
  • 목 적 : 병원 감염 패혈증에 취약한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서 병원 감염 패혈증의 발생빈도, 위험인자 분석을 통해서 병원 감염 패혈증의 감소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2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7년 6개월동안 을지의과대학교 대전을지병원과 노원을지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출생체중 1,500 g 미만의 극소 저출생 체중아 중 출생후 72시간 이상 입원치료를 받았던 총 341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병원 감염 패혈증의 발생빈도, 원인균, 위험인자, 결과 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병원 감염 패혈증의 발생빈도는 16.1% 였고, 평균 발병시기는 21.5$\pm$15.9일이었으며, 원인균으로는 Staphylococcus aureus (21.3%), Klebsiella pneumoniae (14.7%),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 (9.8%), Enterococcus spp. (9.8%) 순이었다. 위험인자의 다변량 분석에서 의미 있는 위험요인으로 재태기간(odds ratio [OR], 0.87; 95% CI, 0.83-0.91), 5일 이상 UAC를 삽입하는 경우(OR, 2.2; 95% CI, 1.15-4.46), 5일 이상 UVC를 삽입하는 경우(OR, 2.1;95% CI, 1.11-4.16), 말초동맥관을 삽입하는 경우 (OR, 2.1; 95% CI, 1.14-4.04), 정맥관 지방유제 투여(OR, 4.3; 95% CI, 1.13-14.32)로 나타났다. 결 론 :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병원 감염 패혈증을 줄이기 위해서는 제대관을 통한 카테터 삽입을 비롯한 침습적 시술을 최대한 줄이고, 정맥영양을 통한 영양공급을 최대한 단시간에 마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ortal Hypertension of a Delayed Onset Following Liver Abscesses in a 12-Month-Old Infant: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 Al-Qurashi, Faisal Othman;Aladsani, Ahmed Abdullah;Qanea, Fatema Khalil Al;Faisal, Sarah Yousef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2권4호
    • /
    • pp.400-406
    • /
    • 2019
  • We report a 12-month-old female infant who had a history of neonatal sepsis with liver micro-abscesses that resolved with intravenous antibiotics during neonatal period. During her neonatal admission period, no umbilical vein catheter was inserted. Also, she did not undergo any abdominal surgeries or had a postnatal history of necrotizing enterocolitis. However, the child developed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in form of hematemesis and melena secondary to esophageal varices at the age of 12 months with an extra-hepatic portal vein obstruction with cavernous transformation and portal hypertension subsequently. The child underwent a successful endoscopic injection sclerotherapy. She is now 20-month-old and has portal hypertension but otherwise asymptomatic. We are proposing the possibility of a delayed-onset portal hypertension as a complication of liver abscess and neonatal sepsis.

생후 25일 신생아에서 발생한 겸상인대 농양에 대한 최소 침습적 치료: 증례 보고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of Falciform Ligament Abscess in a 25-Day-Old Neonate: A Case Report)

  • 이민아;이정섭;이무숙;김승형;이경렬;김윤주;강기수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79권5호
    • /
    • pp.271-275
    • /
    • 2018
  • 겸상인대는 원인대 및 배꼽정맥의 잔유물을 포함하는 구조물로서 배꼽에서 횡격막까지 이어지는 간의 걸이인대이다. 겸상인대에서 발견되는 인대 낭종, 종양, 비정상적인 혈관, 선천적 인대결손 같은 드물게 나타나는 병인 중에서도, 겸상인대 농양은 굉장히 드문 질환이다. 따라서 겸상인대 농양에 대한 정확한 진단은 어려우며, 총담관낭의 감염이나 간농양으로 잘못 해석하기 쉽다. 저자들은 생후 25일된 신생아에게서 배꼽 정맥 도관 삽입 후 발생한 겸상인대 농양에 경피적 배액 및 항생제 투여를 통해 성공적으로 치료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2005-2008년 단일 기관의 소아 혈액 종양 환자에서의 균혈증 양상: 소아 혈액 종양 환자에서의 균혈증 (Bloodstream Infections in Children with Cancer between 2005 and 2008 in a Single Center)

  • 김지혜;김형진;임연정;이영호;오성희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7권1호
    • /
    • pp.36-48
    • /
    • 2010
  • 목 적 : 항암 화학 요법을 받는 소아 혈액 종양 환아들에서의 균혈증은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이에 대한 신속한 경험적인 항생제 치료는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경험적 치료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소아 혈액 종양 환아들의 균혈증의 임상 양상, 검사 소견, 위험 인자, 원인균의 분포 및 임상경과에 대한 최근 경향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5년 7월부터 2008년 6월까지 한양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혈액 종양 분과에서 치료받은 환아들에게서 발생한 총 212 발열례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들을 균혈증이 발생한 군과 균혈증이 발생하지 않은 군으로 나눠서 호중구 감소증 여부 및 정도, 이식 여부 및 종류, 중심 정맥관 유무 및 종류 등을 비교하였고, 원인균의 종류, 항생제 감수성 및 임상경과를 조사하였다. 결 과: 3년 동안 총 63명의 소아 혈액 종양 분과 환아에서 212 발열례가 발생하였으며, 40례(18.9%)에서 균혈증이 발생하였다. 발열례 중 호중구 감소증이 동반된 경우는 157례였고 37례(23.6%)의 균혈증이 발생하였다. 동정된 총 균주는 45균주로 그람 양성균 23균주(51.1%), 그람 음성균 20균주(44.4%), 진균 2균주(4.4%)였다. 그람 양성균 중 가장 흔하게 분리된 균주는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us (46.7%)였으며, 그람 음성균 중에는Acinetobacter species (15.6%)가 가장 분리율이 높았다. 호중구 감소증이 있는 환자들에 게서 호중구 감소증이 없는 환자들보다 균혈증이 유의하게 많이 발생하였다(P =0.002). 13례의 균혈증은 이식을 시행받은 환자들에게 발생하였으며, 호중구 감소증을 보인 환자 중에서 이식환자가 이식을 받지 않은 환자보다 균혈증이 많이 발생하였다(P =0.008). 제대혈이식을 시행받은 군에서 기타 다른 형태의 이식을 받은 군에 비해 균혈증의 발생률이 유의하게 많았다(P =0.001). 균혈증 환자들의 사망률은 균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다제내성균의 경우에는 사망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지만 이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P =0.335). 중심 정맥관을 지닌 환자에서 발열이 발생한 경우 Chemoport를 지닌 환자에서 Hickman 도관을 지닌 환자에서보다 균혈증의 발생이 많았으며(P =0.029), Chemoport를지닌군에서 그람 양성균이, Hickman 도관을 지닌 군에서는 그람 음성군이 유의하게 많은 비율로 배양되었다(P =0.001). 항생제 감수성 검사에서 그람양성균은 모두 penicillin과 oxacillin에 내성을 보였고, vancomycin과 teicoplanin에는 모두 감수성을나타내었다. 그람 음성균에서는 amikacin, gentamicin, imipenem, piperacillin/tazobactam에 대한 내성률이 각각 45.0%, 30.0%, 20.0% 및 20.0%였다. 결 론 : 본 연구는 소아 혈액 종양 환자들에서 발열례의 균혈증의 빈도 및 감염원의 분포와 호중구 감소, 이식, 및 중심 정맥관의 종류가 균혈증 발생에 미치는 영향과, 동정된 원인균의 항생제 내성률을 밝혔으며 이러한 자료는 향후 발열을 동반한 호중구 감소증을 가지는 환자에서 적절한 경험적 항생제 선택에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