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검색결과 618건 처리시간 0.028초

기린초(Sedum kamtschaticum Fisch.) 추출 분획물의 피부 미백효과 연구 (Skin Whitening Effect of Sedum kamtschaticum Fisch. Solvent Fractions)

  • 윤지혜;박지혜;김보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239-1247
    • /
    • 2020
  • 한국 자생식물인 기린초(Sedum kamtschaticum Fisch.)는 열수 추출 형태로 혈액 순환 개선과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내는 한약재로 사용되어왔다. 선행연구를 통해 기린초 여러 부위에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린초의 줄기(Stem)와 뿌리(Root) 부위를 각각 70% ethanol (SKS, SKR)로 추출한 후, n-hexane (SSH), ethyl acetate (SSE, SRE), chloroform (SSC, SRC) 및 water (SSW, SRW) 순서로 용매 극성별로 분획하여 화장품 소재로서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각 분획물마다 총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한 결과 뿌리추출물(SKR)이 줄기추출물(SKS)보다 우수한 함량과 효과를 나타냈고, 전체적으로 ethyl acetate 분획물(SSE, SRE)이 가장 효과가 우수했다. 또한, tyrosinase 활성 저해 효과도 ethyl acetate 분획물이 가장 우수하였고, 모든 분획물은 세포독성이 없는 10 ㎍/mL 농도에서 B16F10 멜라노마 세포에 처리했을 때 우수한 멜라닌 생성 저해력을 보였다. 70% ethanol 추출물(SKS, SKR)에 대해 HPLC 분석 시 gallic acid와 quercetin을 포함한 플라보노이드가 검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린초의 피부 항산화 효과와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화장품 천연소재로서 응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Safrole from Myristica fragrans Houtt.

  • Cho, Soo Jeong;Kwon, Hyun Sook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4호
    • /
    • pp.295-301
    • /
    • 2015
  • Five phenylpropanoids (1-5), a benzofuran neolignan (6), two 8-O-4'-neolignans (7-8), and five tetrahydrofuran lignans (9-13) were isolated from a methanol extract of Myristica fragrans seeds. The structures of 1-13 were determined by $^1H$- and $^{13}C$-NMR spectroscopic data analyses and a comparison with the literature data. Compound 3 was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All the isolated compounds were evaluated for their inhibitory activity against tyrosinase. Among them, safrole (1) showed significant inhibitions against both the monophenolase ($IC_{50}=32.11{\mu}M$) and diphenolase ($IC_{50}=27.32{\mu}M$) activities of tyrosinase. The kinetic analysis shows that safrole (1) is competitive inhibitors for both monophenolase and diphenolase. The apparent inhibition constant ($K_i$) for safrole (1) binding with free enzyme was determined to be 16.05 and $13.66{\mu}M$ for monophenolase and diphenolase, respectively.

A stydy on the melanin synthesis inhibition of some natural plant extracts

  • Kim, W. H.;K. H. Son;Lee, K. S.;W. J. Yang;E. H. Koh;Park, S. S.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
    • /
    • pp.763-764
    • /
    • 2003
  • As melanin is a key material for skin pigmentation, inhibitors of melanin formation have been used to cosmetics and drugs to prevent hyperpigmentation. Therefore, search for effective inhibitor$ from various plants were attempted. For this purpose, I examined in vitro tyrosinase assay system. Tyrosinase showed a maximal activity at 4 units concentration of tyrosinase, 10 minutes, 42$^{\circ}C$ and pH 6.5.

  • PDF

Inhibition of Melanin Production and Tyrosinase Expression of Ergosterol Derivatives from Phellinus pini

  • Hong, Yun Jung;Jang, A Reum;Yang, Ki Sook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9권3호
    • /
    • pp.258-262
    • /
    • 2013
  • Three ergosterol derivatives, ergosta-4,6,8(14),22-tetraen-3-one (1), ergosta-7,24(28)-dien-3-ol (2), and 5,8-epidioxyergosta-6,22-dien-3-ol(3) were isolated from the fruit body of Phellinus pini. Their structures were based on spectroscopic methods including IR, MS, and NMR (1D and 2D). These compounds were evaluated for their activity to decrease melanin production in ${\alpha}$-MSH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activated B16F10 cells. Compound 1, 2, and 3 reduced melanin content in a dose-dependent manner at concentrations of 5~15 uM. They also suppressed the tyrosinase expression of protein and m-RNA level dose dependently by western blot analysis and RT-PCR experiment in B16F10 murine melanoma cells.

무화과(Ficus carica L.) 열매 추출물의 tyrosinase 및 MITF 발현 억제를 통한 미백 활성 (Whitening activity of Ficus carica L. fruits extract through inhibition of tyrosinase and MITF expression)

  • 김민지;박시은;이근수;김진화;권순우;황형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204-212
    • /
    • 2023
  • 미백은 멜라닌 세포 내 멜라닌 생성 억제 기능을 의미한다. 기존 미백소재의 피부 부작용 때문에 최근에는 천연 소재를 활용한 미백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무화과(Ficus Carica L.)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열매로 줄기와 잎 성분의 미백 활성은 보고되었으나 무화과 열매의 미백 활성은 알려지지 않아 본 연구를 통해 멜라닌 생성 억제,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무화과 열매 추출물(Figs fruits extract, FFE)의 라디칼 소거 활성은 DPPH/ABTS 분석에서 최대 농도에서 대조군 대비 34.52±1.98%/60.71±1.26% 수준으로 관찰되었다. CCK-8 assay를 통한 FFE의 세포독성은 약 10% 농도부터 관찰 되어 독성이 없는 최대 농도를 5%로 설정하여 모든 실험에 적용하였다. FFE는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cyclooxygenase-2, interleukin-6 및 tumor necrosis factor-α 유전자 발현 억제와 함께 NO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켜 항염증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미백 기능 규명을 위해 α-MSH로 자극된 B16F10 세포에서 FFE를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세포 내 멜라닌 생성을 유의하게 하향 조절했을 뿐만 아니라 시험관 내에서 tyrosinase 활성이 억제되었다. 또한 FFE는 RT-PCR에서 α-MSH 처리군에 비해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mRNA 발현을 약 94.34% 감소시켰다. 마지막으로, FFE는 α-MSH로 자극된 B16F10 세포에서 MITF, cAMP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 및 tyrosinase 단백질 발현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우리는 FFE가 tyrosinase 효소 활성을 직접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α-MSH 신호 기전 내 MITF 유전자 발현 조절을 통해 멜라닌 생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발효누에분말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y of Fermented Silkworm Powder)

  • 차재영;김용순;안희영;엄경은;박보경;전방실;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0호
    • /
    • pp.1468-147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누에 단백질을 미생물발효에 의해 생리활성물질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단백질 분해능이 높은 Bacillus 및 Lactobacillus 균주로 동결건조 및 열풍건조 누에분말을 발효시켜 항산화 활성, 혈전용해 활성, tyrosinase 저해 활성, 단백질 패턴 비교 등을 비교 검토하였다. Native-PAGE 및 SDS-PAGE로 누에 단백질을 분석 한 결과 동결건조 누에분말에서 많은 종류의 밴드가 관찰되었고, B. subtilis 발효에 의해서 단백질 패턴과 양적인 차이가 관찰되었다. 열풍 및 동결건조 누에분말의 주요 미네랄은 칼륨, 칼슘, 마그네슘 및 아연 이였으며, 주요 아미노산은 glycine, alan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및 serine 이였고, 주요 지방산은 linolenic acid, oleic acid 및 linoleic acid 이였다. 혈전용해 활성은 동결 및 열풍건조 누에분말 모두 B. subtilis 균주 5% 접종에서 가장 높았으며, 동결건조 발효누에서 보다 높은 혈전용해 활성이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 효과는 열풍건조 누에분말 보다 동결건조 누에분말의 물 및 70% 메탄올 추출물에서 높았다. DPPH free-radical 소거능은 동결건조 누에분말 보다 열풍건조 누에분말에서 조금 높게 나왔으며, L. hilgardii 균주에 의한 발효누에가 B. subtilis 균주에 의한 발효 누에보다 항산화 활성이 약간 더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모든 시료에서 시판 항산화제인 BHT 보다는 낮았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누에 단백질을 생리활성물질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단백질 분해능이 높은 B. subtilis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누에에서 단백질 함량 증가, 전기영동 단백질 패턴 변화, 혈전 용해 활성 및 항산화 활성 증가와 같은 생리활성작용이 강화됨으로써 건강기능식품 소재 개발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빨간 함초의 지질 과산화 및 라디칼 형성에 대한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Red Hamcho(Salicornia herbacea L.) against Lipid Peroxidation and the Formation of Radicals)

  • 김동필;정영희;이미경;송희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0-157
    • /
    • 2007
  • Hamcho(Salicorinia herbacea, glasswort), a halophyte, is an annual succulent shrub that grows on coastal wetlands and has been regarded as a functional food for good health. Natural dried red and green Hamcho were extracted with 25% ethanol and water at 70$^{\circ}C$.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se four extracts were examined by six different assays, including the measurement of total phenolics, radical scavenging effects on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nitric oxide(NO) and nitrite(NO$_2$) scavenging effects, reducing power, and the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activity. The total phenolic contents of the four extracts were high at 237 ${\sim}$ 255 mg of gallic acid equivalents per 1 g of dried sample tested. The green Hamcho extracts contained more phenolic compounds than the red Hamcho extracts. When they were compared to tocopherol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green and red Hamcho powd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the same concentration levels(5 mg and 3 mg, respectively) in a POV test. The inhibition effects of the four extracts at a level of 75 ${\mu}l$ were higher than 98% in the POV test. The red Hamcho 25% ethanol extract showed a high significant effect on DPPH radical scavenging(SC$_{50}$, 90.1 ${\mu}l$). The green Hamcho 25% ethanol extract, however, showed a high significant effect on NO radical scavenging(SC$_{50}$, 6.1 ${\mu}l$). The NO$_2$ radical scavenging effect was assayed at pH 1.2, 4.2 and 6.0, and all the Hamcho extracts scavenged the NO$_2$ radical much more effectively at pH 1.2. The NO$_2$ scavenging effect of the red Hamcho 25% ethanol extract(64%) was as high as that of 5 mM vitamin C at pH 1.2(p<0.05). In the reducing power test, the red Hamcho 25% ethanol extract revealed the highest ferric ion reducing activity among the Hamcho extracts, and its activity was as high as that of 0.33 mg/ml of vitamin C. The four Hamcho extracts showed high tyrosinase inhibition effects of more than 80%, and their activities were higher than 50${\mu}$g of kojic acid. The green and red Hamcho 25% ethanol extracts totally inhibited tyrosinase activity(100%). Therefore, the results suggest that red Hamcho extracts may serve as useful natural antioxidants along with green Hamcho extracts.

개똥쑥의 영양적 특성 및 생리활성 (Nutritional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Artemisia annua L.)

  • 류지현;김라정;이수정;김인수;이현주;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63-170
    • /
    • 2011
  • 개똥쑥(Artemisia annua L.)의 기능성을 밝히고 식품으로써 이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개똥쑥 잎과 줄기의 영양 성분 및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수분, 조지방 및 조단백질 함량은 잎에서 높았으나 회분, 조섬유 및 무기물 함량은 줄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총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잎이 줄기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았다. 추출물의 농도를 달리하여 항산화능을 측정한 결과 농도에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잎은 줄기에 비해 활성이 높았다. 특히, DPPH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및 tyrosinase 저해활성은 모든 농도에서 잎이 줄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줄기 추출물이 더 높았다. 인체 유방암 세포인 MCF-7 및 MDA-MB-231에 대한 증식억제 활성은 줄기보다 잎 추출물에서, 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활성이 높았다. 특히, 잎 에탄올 추출물의 MCF-7 및 MDAMB-231 세포에 대한 증식억제 활성은 $250\;{\mu}g$/mL에서 각각 76.26% 및 52.59%로 추출물 중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개똥쑥 추출물의 생리활성은 시료 중의 섬유소,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에 의존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곰팡이 발효 가시오가피의 이화학적 특성과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y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Acanthopanax senticosus by Mold)

  • 안희영;차재영;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2호
    • /
    • pp.1704-1711
    • /
    • 2012
  • 미생물 발효에 의한 부위별 가시오가피의 생리활성 작용 및 물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Aspergillus oryzae KCCM 11372, Aspergillus kawachii KCCM 32819, Monascus purpureus KCCM 12002 3종의 곰팡이 균주를 본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이들에 의한 부위별 발효 가시오가피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와 미네랄 함량, 지방산 조성, 항산화 활성, 미백 효능을 비교 검토하였다. 곰팡이 균주로 발효시킨 분말의 pH범위는 3.9-6.97 였으며, 미네랄 성분 조성 비율은 Ca, K, Mg 순으로, 각 곰팡이 균주 발효에 의한 발효 가시오가피 분말의 미네랄 함량은 전체적으로 발효된 분말이 발효 전 분말보다 함량이 높았다. 주요 지방산 조성은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으로 전체적으로 포화지방산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항산화 활성은 가시오가피 줄기에서 발효전 분말은 약 27%의 활성을 나타냈지만 M. purpureus와 A. oryzae 균주로 발효시킨 분말은 약 73%와 61%로 활성이 증가했다. 또한, 가시오가피 열매도 발효전 분말은 약 58%의 활성을 나타냈지만 M. purpureus와 A. oryzae 균주로 발효시킨 분말은 약 77%와 69%로 활성이 증가했다. 미백 효능은 가시오가피 잎, 뿌리, 줄기, 열매는 약 20% 이하로 매우 낮은 수준이었지만 가시오가피 잎과 뿌리에서 발효에 의해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곰팡이 균주에 의한 부위별 발효 가시오가피의 생리활성 효과 및 이화학적 특성이 발효 전 가시오가피 분말보다 강화됨으로써 건강기능식품이나 화장품의 천연 항산화제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인체 멜라닌세포주에서 연교(連翹) 추출물의 멜라닌생성 억제기전 연구 (Melanogenesis Inhibition by Forsythiae Fructus Extract in Human Melanoma Cells)

  • 조미경;문연자;우원홍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71-376
    • /
    • 2008
  •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hypo-pigmentary mechanism of methanol extract of Forsythiae Fructus in human melanocyte cell line, HM3KO. Treatment of HM3KO cells with Forsythiae Fructus extract markedly inhibited melanin biosynthesis in a dose-dependent manner. Decreased melanin contents occurred through the decrease of tyrosinase protein and activity. The mRNA levels of tyrosinase and tyrosinase-related protein 1 (TRP-1) were also reduced by Forsythiae Fructus extract. Moreover, the level of intracellular cyclic AMP (cAM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treatment of Forsythiae Fructus extra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Forsythiae Fructus reduces melanin synthesis by down regulation of tyrosinase mRNA transcription, and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cAMP-dependent path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