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tor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32초

의전원생·한의전원생을 위한 협진 PBL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 of PBL Program for Cooperative Practice between Western and Korean Medicine)

  • 임선주;이상엽;윤영주;홍진우;신상우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37-141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PBL program for cooperative practice between western and korean medicine. Third and fourth grade medical and Korean medical school students (experimental group: 16 students, respectively) in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were included in the study. Teaching methods was Problem-Based Learning (PBL) which was consist of 4 western and 4 korean medical students and 2 tutors. Modules have been developed by 8 subject experts or educational experts, who have also participated in the PBL as tutor. The program has been proceeded for 4 weeks, where two face-to-face discussions and self-directed learning were done in each module. In experimental group,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other medicine were survey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students' and tutors' satisfaction on the program was investigated. The perception survey was also done in the control group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had more positive perceptions about the other medicine,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re were only significant increases on the items of 'understanding of the other medicin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h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not observed in 'perception of the other medicine or cooperative practice'. Satisfaction in the program was positive.The PBL program enabled students to understand the other medicine, but it didn't lead changes of their perception. To improve students' perception, the program need to be kept steadily.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살펴본 PBL 부분통합 교과과정에 대한 간호학생의 인식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PBL Hybrid Curriculum Examin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 김수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343-354
    • /
    • 2019
  • 본 연구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PBL 부분통합 교과과정에 대한 간호학생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질적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이며, 총 25명을 4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자료는 의미있는 주제를 찾기 위해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6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1) PBL 부분통합 교과과정의 비효율성 2) 학습에 대한 불안 3) PBL 운영에 대한 불만 4) 조별활동의 어려움 5) PBL에 대한 수용 6) 변화와 만족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을 제안한다. PBL에서 학습내용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과 과정평가 비중을 높여 PBL 평가의 본래 취지를 살려야 할 것이며 PBL 전문가와 전문부서에 의한 세분화된 튜터 교육프로그램이 개발,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메타분석을 통한 또래교수 수업이 수학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eer tutoring on the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s and affective domain by meta-analysis)

  • 조창호;최송희;김동중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1호
    • /
    • pp.41-5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교수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종합하는 데 있다. 이에 총 61편의 개별연구 결과를 메타분석하여, 또래교수가 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또래교수를 활용한 수학 수업의 인지적·정의적 교육효과가 전반적으로 중간 효과크기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또래교수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에서 학교 급, 학생 유형, 학습 장소, 수업 시간, 또래교수자 훈련 또는 사전교육 실시 유·무를 중요한 변수로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 수학 수업에서 또래교수의 설계와 운영에 대한 다양한 변인들을 바탕으로 구체적 아이디어를 제안할 수 있다.

Using ChatGPT as a proof assistant in a mathematics pathways course

  • Hyejin Park;Eric D. Manley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3권2호
    • /
    • pp.139-163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pabilities of ChatGPT as a tool for supporting students in generating mathematical arguments that can be considered proofs. To examine this, we engaged students enrolled in a mathematics pathways course in evaluating and revising their original arguments using ChatGPT feedback. Students attempted to find and prove a method for the area of a triangle given its side lengths. Instead of directly asking students to prove a formula, we asked them to explore a method to find the area of a triangle given the lengths of its sides and justify why their methods work. Students completed these ChatGPT-embedded proving activities as class homework. To investigate the capabilities of ChatGPT as a proof tutor, we used these student homework responses as data for this study. We analyzed and compared original and revised arguments students constructed with and without ChatGPT assistance. We also analyzed student-written responses about their perspectives on mathematical proof and proving and their thoughts on using ChatGPT as a proof assistant. Our analysis shows that our participants' approaches to constructing, evaluating, and revising their arguments aligned with their perspectives on proof and proving. They saw ChatGPT's evaluations of their arguments as similar to how they usually evaluate arguments of themselves and others. Mostly, they agreed with ChatGPT's suggestions to make their original arguments more proof-like. They, therefore, revised their original arguments following ChatGPT's suggestions, focusing on improving clarity, providing additional justifications, and showing the generality of their arguments. Further investigation is needed to explore how ChatGPT can be effectively used as a tool i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al proof and proof-writing.

초등학교 과학교과의 온라인 탐구형 콘텐츠 개발 (Inquiry based Online Contents Development for Elementary Science Class)

  • 김인숙;조은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457-464
    • /
    • 2008
  • 본 연구는 학생들의 탐구능력 향상 및 고차원적인 사고력 증진에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 관심이 확산되고 있는 탐구형 콘텐츠를 초등학교 과학교과에 적용할 수 있는 콘텐츠 설계 전략을 수립한 후, 이를 기반으로 초등 5학년 과학과 수업 [용액과 반응]을 위한 콘텐츠로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콘텐츠를 수업현장에서 파일럿 테스트를 통해 탐구형 콘텐츠의 설계와 개발 및 실제 수업에 적용할 때 시사점 및 고려할 사항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진행은 먼저, 초등학교 과학교과용 탐구형 콘텐츠 개발을 위해 문헌고찰, 기존 사례조사, 분석, 관련 사이트 검색, 전문가 회의 및 학교 현장 전문 교사진 검토 및 적용 테스트 등 다양한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전문가들 논의를 통해 본 연구에서 활용할 탐구형 콘텐츠의 설계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실제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콘텐츠를 2개 초등학교의 160명 학생들에게 실제 수업시간에 적용하여 현장적용 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추출한 후 수정 및 보완을 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탐구형 콘텐츠는 학습자들의 흥미유발과 학습동기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좀 더 구체적이고 분명한 학습안내 및 튜터의 지원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온라인 탐구형 학습방법이 향후 다른 교과와 다양한 학습자 그룹으로 확산될 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하였으며, 논문의 결과는 향후 초등학교 온라인 탐구형 콘텐츠, 특히 과학교과의 현장 적용 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임상실습에서 학생들이 경험하는 간호과정 적용문제 (The Problems for Application of Nursing Process in Clinical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 양영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8-71
    • /
    • 1999
  • Nursing process is an essential part for nursing practice. Nursing faculty members must focus on the clinical application for students and try to identify the possible problems that students might face in the fiel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 of nursing process education in curricula and to investigate the response of students in clinical experience of nursing process. From 462 students in the 6 associate programs(ADN) and the 6 baccalaureate programs (BSN) data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1. Seven programs (58.3%) opened the nursing process in mainly sophomore (BSN) or freshman(ADN). If not opened, the nursing process was taught at the major subjects(espcially fundamental nursing or adult nursing). 2. All Students responded they we supposed to use nursing process in preparing the case report. The majority(94.6%) used NANDA lists for nursing diagnosis and 55.7% of subjects consulted the Korean terms by KNA when translating. The tutors for nursing process in clinical settings were the professor in charge of the subject (68.6) or clinical instructors (48.1%) , assistants(34%). 3. The problems in clinical application that students experienced consisted of 17 items and the mean was 2.27. The biggest problem was 'the lack of the model for RN of applying the nursing process in clinical settings'(2.97). Next the big problem was 'the lack of the competency for implementing the established nursing plans'(2.69). All item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educational programs(ADN or BSN). ADN students had more problems in applying the each step of nursing process and BSN students perceived the NANDA as a guidance of nursing diagnosis and the inconsistency of advices from several instructors or practicum to be mere problematic. 4. The mean of merits after application of nursing process was relatively fair (2.82). The best merit was 'they can identify nursing problems more exactly'(3.07). The second high merit was 'they can study the rational of nursing action' (3.03). BSN than ADN and the subjects of second year than of one year in clinical experience perceived the use of nursing process to be better. Based on this results we need to enforce the application of nursing diagnosis in the class. The use of sample cases can be the efficient method. Students can identify the possible health problems for patient from the cases in imaginary world and discuss them each other. Also we can use the discussion session after practice every other day or as needed. All this is on the good interaction between tutor and student. We must consider to have enough time for student to seize the essence of the nursing process.

  • PDF

사이버 학습에서 학습양식에 대한 학습자와 교수자의 인식차이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on internet-based learning style)

  • 조은순;김인숙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30
    • /
    • 2005
  •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대한 많은 연구들은 주로 학습자의 관점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습자를 가르치고 지도하게 되는 교수자들이 인식하는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대한 비교연구는 드문 편이다. 이는 교수자들이 학습자들에 대한 인식을 학습자들 자신과 다르게 하고 있을 경우 학습내용 및 활동의 전개는 물론 학습결과에 대한 의구심을 가지게 하는 부분이며, 특히 기하급수적으로 확산이 되고 있는 인터넷학습의 경우 학습자들뿐 아니라 교수자들의 학습자 인식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향후 사이버 학습체제로 학교와 가정에서 인터넷 학습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게 될 초등과 중등 학습자들이 인터넷 학습시 어떤 유형의 학습양식을 선호하고 있으며, 이는 교수자들의 인식과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향후 인터넷 학습에서 고려할 시사점들을 도출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전국의 초등학생 386명, 중학생 627명, 교사 1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학습자와 교수자들의 인식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초등 및 중등의 학습자들은 인터넷환경에서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는 양식을 선호하였으며, 교수자들도 학습자들이 인터넷 자기주도형의 학습양식을 선호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초등과 중등 모두 교수자들은 학습자들이 스스로 판단하는 것보다 상당히 자기주도형 이면서도 의존형이라고 인식함으로서 향후 인터넷학습의 설계와 개발전략에 고려할 점을 시사하고 있다. 본 논문은 결과로 향후 초등과 중등의 인터넷학습에서 학습자양식을 반영한 설계와 개발이 이루어 져야 하며, 이는 각 교과목에 반영이 되어야 하고, 교수와 학습전략에서 상당한 변화를 가져와야 하며 사이버교사들의 튜터링에서도 차별화된 전략을 가져와야 함을 강조한다.한다.분야 별로 아키텍쳐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전자 부품은 분야는 오히려 모듈형에 가까웠음). 비단 항공기 개발과정 뿐만 아니라 다른 산업, 제품에도 적용될 수 있는 틀을 마련함으로써, 기존 연구개발기회에서 산업기술 분석을 통한 체계적 기획으로 전환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한다. 결과적으로 산업기술의 특성과 구조를 반영한 기술개발 방법론으로 아키텍쳐 이론을 적용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했으며, 이것은 본 논문이 기대하는 바이기도 하다.쁖잖⨀쁖잖⨀/ࠐ쁡잖⨀焆덐瀆倆Ā뫫뫫ĀĀĀĀꪛ䂇잖⨀?잖⨀⁅잖⨀耇잖⨀梷熸ጁ庆䌀―?⨀က䀜徾遖洀ᘘ⼄ⴟᠯЭ⠘

  • PDF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자아탄력성, 임상실습스트레스 (Emotional Intelligence, Ego Resilience, Stress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 신은정;박영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636-5645
    • /
    • 201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자아탄력성,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D시 소재 D의료원에 실습 경험이 있으며 한 학기 이상의 임상실습을 경험한 4년제 간호대학의 3학년 학생, 3년제 간호대학의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 하였다.감성지능은 7점 만점에 평균 4.76(0.69)점, 자아탄력성 2.80(0.33)점,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3.03(0.52)점 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에서, 감성지능은 성별, 전공만족도, 실습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자아탄력성은 전공만족도와 실습만족도, 그리고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성별, 실습기간, 전공만족도, 실습만족도, 시뮬레이션 실습, 주 실습지도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감성지능과 자아탄력성(r=.527, p<.001)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 감성지능과 임상실습 스트레스(r=-.131, p<.001), 자아탄력성과 임상실습 스트레스(r=-.134, p<.001)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감성지능과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지역별(地域別)로 본 우리나라 유아환경(幼兒環境)의 실태조사(實態調査)와 바람직한 유아환경(幼兒環境)의 조성방안(造成方案)에 관(關)한 연구(硏究) -농어촌(農漁村)·중소도시(中小都市)·대도시(大都市)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Cultural Children's of Young Environment among Large and Small Cities and Rural Areas)

  • 이경희
    • 아동학회지
    • /
    • 제1권
    • /
    • pp.40-64
    • /
    • 198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t environment among the young children of large and small cities and rural areas in Korea, in order to know how these different environment have an effect on the children's intellectual and emotional development. For this subjects, 2,700 questionares with 51 items were distributed to the infants' mothers in each area to interview and answer. About 1,800 questionaires were gathered from 3 metropolitan, 6 cities and 6 rural areas in (each 2 farming, fishing and mining village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se questionaires were like following; 1. The average number of children of each family was 2.5 in large cities, 3.0 in small cities and 3.6 in the rural areas. 2. White about 75% of infants' parents of large cities graduated college education, only 6% of the rural parents did it. Most infants' parents of the rural areas have only graduated the elementary school. 3. About 90% of the rural, small and large cities family have had radios and T.V sets, and 90% of infants watched T.V program for 2 hours a day in average. 4. While about 50% of large cities' young children were not reared by their mother's milk but by milk and other foods, about 95% of rural infants by breasting mills. 5. Young children of large cities were wearing about 5 months earlier than those of the rural. 6. While 20% children of cities were taught in the kindergarten, most children of the rural areas could not be taught in the kindergarten. 7. About 45% young children of the rural areas and cities were understood and taught reading, writing letters and numbers by their parents, brothers and sisters before entering primary school. 8. While 50% young children of large cities have had pianos and were taught music in kindergarten or piano tutor's, most of the rural areas have not had pianos and could not be taught music. 9. Most children's favorite music songs were T.V signals or C.M songs in both the rural and cities. 10. While most children of cities have had lots of children's pictures or fairy tale books. most infants of the rural areas have had nothing or a few. 11. As lots of infants could not find their pleasure resorts of sport tools outside, they used to play in side streets or publicroads with their friends. 12. While most infant's parents in cities wanted to make their infants lawyer or medicine doctor, most parents in rural areas wanted to make their children teacher or technician. 13. About a half of Korean infants have had their own rooms or have lived in it together with their brother or sister. In conclusion, as children of large cities have had more various kinds of cultural circumstances than the rural areas in aspects of cultural institutions' tools and environment of their parents' education, books, toys, pleasure resorts and their own rooms, the intellectual development of the former could be considered to surpass those of the latter. In other words, the average IQ points of urban's young children are 10 point higher than those of the rural areas, which means the better circumstance would affect the infant's intellectual development. Therefore, the government must support to make good circumstances of the children in the rural areas.

  • PDF

단계적 모델링(Layers of Modeling)을 통한 실습역량 증진 교수.학습법 (A Teaching Method of Improving Practice Capacity by means of Layers of Modeling)

  • 박혜숙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2호
    • /
    • pp.93-105
    • /
    • 2012
  • 치기공과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지는 보철 및 교정 치과기공물 제작 방법을 습득하기 위한 실습과목은 기능적인 영역이 강조되고 있으므로 학습자의 능력과 개인차를 충분히 고려하여 학습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교수 학습모형이 필요하다. 이에 저자는 교수 1인이 다수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동시에 실습을 진행해 가는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교수 학습법을 개발하였다. 시각적 효과에 익숙해져 있는 신세대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반복학습이 가능한 동영상을 활용한 온라인 실습교육과 오프라인 실습교육을 혼합한 단계적 모델링(Layers of Modeling)의 교수 학습모형을 시도하였다. 실습과정을 설명하는 동영상을 실습 일 주일 전에 e-클래스에 올려 예습하고 오도록 하고, 수업시간 교수자가 직접 실습과정을 시연하였다. 또한 전 주의 실기성적에 따라 실습실 내 학생들의 좌석배정을 하여 학업성취수준이 높은 학생과 낮은 학생을 짝지어 앉게 하여 개별실습 단계에서 동료지도법이 적용되도록 하여 학업성취수준이 낮은 학생에게 즉각적이고 개별적인 피드백이 자주 제공되도록 하였다. 수업 중에는 실습지침서에 실습결과물에 대한 자가평가를 하여 교수자의 점검을 받도록 하고 수업 후에는 동영상에서의 실습결과물과 비교, 분석하여 반성적 사고를 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이러한 교수 학습모형은 학습자간 학업성취도의 격차를 좁히는 문제에 있어 해결의 가능성을 보여주어 학업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