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mulus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8초

김해(金海) 양동리(良洞里) 321호묘(號墓) 출토(出土) 갑옷의 보존처리(保存處理) (Conservation of the Plate Armour Excavated from No. 321 Tomb, Yangdong-ri, Gimhae)

  • Kim, Midori;Oh, Kwangseob;Kim, Dongwon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6권
    • /
    • pp.11-16
    • /
    • 2005
  • 김해 양동리 고분군 321호묘에서 출토된 종장판갑을 보존처리하고 그 구조에 대해 조사하였다. 종장판갑의 처리는 우레탄 폼에 포장된 판갑을 해체하여 약화된 유물의 재질을 강화하고 원래의 형태를 복원하는데 중점을 두어 진행하였다.

출토 인골의 분자유전학 및 조직학적 분석연구 (Molecular Genetic and Histological Analysis for the Excavated Human Bone)

  • 지상현;박지희;서민석;홍종욱;정용재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8호
    • /
    • pp.75-90
    • /
    • 2007
  • The ancient biomolecular remains are the potential source for paleobiology and paleoanthropology. Especially, ancient human specimens such as bone, teeth, and hair are powerful materials to identify historical origin and migration of ancestor population from the past. However, most excavated human specimens in archaeological sites have commonly problems as natural damage and exogenous contamination. We carried out histological and molecular analyses of excavated bone from the historic sites in South Korea from the recently discovered in tumulus of Seochun and Naju. Biological deterioration of bone was observed anatomically by optical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We extracted degraded DNA, and amplified hyper variable region (HVR) of mitochondrial DNA (mtDNA) and amelogenin of nucleus DNA. This study applied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histological preservation and DNA survival in excavated bone.

  • PDF

신라 황복사지(皇福寺址) 동편 폐고분지(廢古墳址)의 성격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the Abandoned Tumulus Site Located at the East Side of the Silla Era Hwang Bok Sa (皇福寺) Site)

  • 장호진;강량지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1호
    • /
    • pp.88-105
    • /
    • 2020
  • 이 글에서는 신라 황복사지(皇福寺址) 동편 폐고분지(廢古墳址)의 성격에 대한 기존의 제설(諸說)을 검토하고 최근 실시된 발굴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고고학적인 접근을 시도해 보았다. 고찰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신라 황복사지 동편 논 경작지 지면에 노출되어 있었던 원형의 거석(巨石)들은 발굴조사 결과 모두 전면(前面)이 호형(弧形)으로 가공된 왕릉(王陵)의 호석(護石)이었다. 이 왕릉의 호석들은 대부분 후대 경작으로 인해 원위치에서 이탈되어 있었고, 일부는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건물의 담장이나 기단 등의 건축부재로 재활용된 상태였다. 이러한 사실은 당시 신라의 계세관념(繼世觀念)과 골품체제(骨品體制) 및 왕실의 권위를 감안할 때 인위적으로 능묘(陵墓)를 파괴한 후의 상황은 아닐 것이다. 따라서 이 왕릉의 석재는 당시 왕의 능원(陵園)이 조영되던 중 어떠한 이유로 인해 미처 완성되지 못하고 방치되어 오다가 후대에 자연스럽게 건물지의 부재로 재활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구황동(九黃洞)왕릉지 탱석(撑石)의 규모와 암질(岩質)을 비교·분석한 결과 능지탑지(陵只塔址)에 복원되어 있는 십이지신상(十二支神像) 탱석들과 동일한 왕릉의 호석이라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로 인해 황복사지 십이지신상 호석은 또 다른 왕릉의 호석이라는 점이 확인된 것이다. 따라서 그동안 황복사지 십이지신상 호석이 구황동왕릉지에서 옮겨왔을 것이라는 일반적인 학계의 견해는 수정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셋째, 호석의 구조와 능묘 형식으로 본 구황동왕릉지의 피장자(被葬者)는 흥덕왕보다는 늦고, 전(傳)경덕왕릉의 피장자와는 비슷하며, 전(傳)김유신묘의 피장자보다는 앞선 시기의 왕 중에서 찾아진다. 또한 능지탑지로 옮겨진 십이지신상 탱석의 미술사적 형식을 감안해 보더라도 구황동왕릉지의 피장자는 9세기대의 신라 하대 왕 중에서 비정되는 것이 합리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나주 복암리 고분군 출토 소뼈의 수습 및 보존처리 (On-site Treatments and Conservation of Ox Bones Excavated from Bogam - ri tumulus, Naju)

  • 이정민;박영환;윤혜성;함철희;권혁남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6호
    • /
    • pp.74-85
    • /
    • 2015
  • 나주시 복암리 고분군 발굴현장 저습지에서 소뼈 유물이 출토되었다. 출토된 소뼈는 전체적인 형태는 알아 볼 수 있으나 토압에 의한 하중과 반복적인 동결융해로 인하여 부후 및 균열이 발생하였고, 다수의 편으로 파손 와해되어 가루화가 진행되고 있었다. 파손된 편들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물 주변의 토양과 함께 탈수${\rightarrow}$강화${\rightarrow}$포장 순으로 수습하여 실내에서 일련의 보존처리를 통해 완형을 찾고자 하였다. 유물의 해포 및 보존처리는 바닥면 흙 제거${\rightarrow}$강화처리${\rightarrow}$바닥면 보강${\rightarrow}$출토면 이물질 제거 및 강화처리${\rightarrow}$보관용 박스 제작${\rightarrow}$마무리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나주 복암리 소 뼈의 경우, 머리가 없고 네다리가 묶여 있는 형태로 출토되었다. 이는 매납 당시 제의 의식에 의해 동물이 묶여있었고, 이후 매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출토 당시의 환경조건으로 인하여 뼈가 심각하게 부후되어 재질이 매우 취약하였으므로, 독립적 해체를 통해서 동물의 원형을 찾기보다는 매장된 이유와 형태가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출토된 형태 그대로 복원하였다. 즉 이번 사례는 유물의 성격이나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보존처리되는 형태를 제시하며, 우리나라에서 보기 드문 골각기에 대한 수습에서부터 보존처리 까지의 전 과정을 알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 PDF

상호작용적인 문화 교육을 위해 가상현실을 이용한 고구려 벽화 복원 연구 (Designing a Digital Reconstruction of Koguryo Mural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for Interactive Cultural Heritage Learning)

  • 조용주;문형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1359-1365
    • /
    • 2006
  • 디지털 고구려는 안악 3호분 고구려 고분을사용자와 상호작용을 높이기 위해 게임요소를 가미하여 제작한 가상현실 환경이다. 디지털 고구려는 디지털 기술로 문화 유산 복원만이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 특히 초등학생 어린이들에게 고구려인의 생활상과 문화를 이해하고 역사 학습을 도와주는데 중점을 두었다. 본 논문에서는 고구려의 고분과 벽화들을 복원하는 과정과 교육용 환경으로서 사용자들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게임의 형태를 취한 가상현실 환경 제작 과정, 그리고 개발과 시연을 통해 나타났던 개선점들과 몰입감을 증대시키기 위한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한다.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송산리고분군 무령왕릉의 구조안전성 평가 (Structural Safety Evaluation of Tomb of King Muryeong in Tumulis of Songsan-ri Through Finite Element Analysis)

  • 이가윤;조영훈;이성민;이찬희;이기학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63-70
    • /
    • 2020
  • Tomb of King Muryeong, located in Sonsan-ri, was found vulnerable due to leakages during since the summer of 2016. This research aims to evaluate structural safety of the Tomb under the tumulus. Site surveys were conducted to find vulnerable inner parts. Structural safety assessment is presented based on both site survey results and analytical results obtained through FEM analysis using the ANSYS program. The underground structure was explicitly modeled to focus on two types of loadings: design loads and actual gravity loads. In general, the tomb does not show any critical deflection increase or damage through the analytical investigation. However, maintenance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is necessary to prevent severe deflections and stress concentrations since the rigidity of the tomb materials are very vulnerable and likely to be reduced due to prolonged weathering and continuous rain leakage.

경주 은령총 출토 청동제합의 보존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Bronze Bowl with a Lid Excavated From Silver Bell Tomb in Gyeougju)

  • 최희윤;허일권;안주영;박학수;유혜선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7권
    • /
    • pp.3-10
    • /
    • 2006
  • 경주 은령총에서 출토된 청동제 합은 과거 접합되었다가 파손된 상태로 본체의 경우 전체의 절반 정도만이 남아있어 보존 및 전시를 위해서 보존처리 하였다. 이물질 및 열화된 접착제의 제거 후 재접합 하였는데, 비교적 많은 부분이 남아있는 뚜껑은 복원부위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가역적인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본체의 경우 복원부위가 많기 때문에 유물의 하중을 잘 견딜 수 있도록 에폭시수지를 사용하여 접합하였다. 합을 비파괴 조사한 결과 주조품 이었으며 재질은 Cu-Sn-Pb의 3원계 합금으로 나타났다.

인도시원불탑(印度始原佛塔)의 의미론적(意味論的) 해석(解析) - 불탑건축의 전래와 양식에 관한 비교론적 고찰 I - (Semantic Analysis of Indian Original Stupa - A Comparative Study on the Transmission and Style of the Buddhist Pagoda I -)

  • 천득염
    • 건축역사연구
    • /
    • 제2권2호
    • /
    • pp.89-106
    • /
    • 1993
  • Wherever Buddhism has flourished, there were stupas in the form of monuments which have their origin in the tumulm of prehistoric times. After the death of Buddha, his body was cremated following the Indian funeral custom. His ashes, which long reserved for the remains of nobles and holymen, were enshrined under such artificial hills of earth and brick. The Stupa was in origin a simple burial-mound. The form of the burial-mound was a symbolical or magic reconstruction of the imagined shape of the sky, like a dome covering the earth. The domical form of the earliest tumuli may have been concious replicas of the shape of the Vedic hut. There are relationships which may have originally existed between the stupa and West Asiatic monuments. Buddhist Stupa originally cosisted of an almost hemispherical tumulus(anda) and an altar-like structure (harmika) on its top, surmounted by one or several superimposed honorific umbrellas (hti, catta). This hemispherical form is associated with centralisation, lunar worship, mother earth, and Siva. Anda means a symbol of latent creative power, the harmika symbolizes the sanctuary enthroned aboved the world. The honorific umbrella, as an abstract imitation of the shade-giving tree is one of the chief solar symbols and that of enlightenment.

  • PDF

문화콘텐츠로서 백제 무령왕릉의 유물을 활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Textile design development using relics of the Tomb of King Muryeong of Baekje as a cultural content)

  • 하승연
    • 복식문화연구
    • /
    • 제21권3호
    • /
    • pp.376-393
    • /
    • 2013
  • In modern society, culture is an important factor to form a country's image and identity and a representative content to generate revenue. Culture is a keyword to design life in the 21st century and has become competitiveness between countries. As a cultural content with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is study performed textile design development with the use of relics from the Tomb of King Muryeong, which is the tumulus of King Muryeong who was the 25th king of Baekje among Korean history. The developed design could be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various fashion cultural products such as clothes, scarf, neck-tie, and bag. The process for the design development was carried out as follows: As a first step, this study found basis as a cultural content with a global sense that could form the historical value of the Tomb of King Muryeong and gain global sympathy of people all over the world through literature reviews. As a second step,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e that traditional Korean elements were used as a fashion cultural products. As a third step,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s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using relics from the Tomb of King Muryeong through field survey. As a final step, this study planned the concept of design with the use of diadem ornaments, earring, sword, stone guardian animal, and bricks with lotus-flower design from the tomb of King Muryeong. And these developed 6 textile designs could be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various fashion cultural products.

신라시대 천마총 출토 직물의 유형과 특성 -현 경주박물관 소장직물을 중심으로- (Type and Characteristics of fabrics excavated from Chonmachong of Shilla Era - focused on the fabrics which are in the Kyongju Museum′s collection -)

  • 권영숙;조현혹;장현주;김종오
    • 복식
    • /
    • 제50권7호
    • /
    • pp.129-139
    • /
    • 2000
  • The Chonmachong (Tumulus No. 155 in Whangnam-dong, Kyungju, Korea), which was unearthed in 1973, is an ancient tomb built in the Shilla Era between the 5th∼6th centuries by the method of Juk-suk-mok-gwak. With the excavation of this tomb more than 11,500 articles of luxurious and splendid relics including gold and silver ornaments, weaponry and horse gears were obtained. Among the excavated articles, the saddle flap with a drawing of flying horse on it is the first relic of its kind from the Shilla Era. and 'Chonma'(a flying horse), the name of the tomb. was named after this drawing. The saddle flap is highly valuable in that it provides the idea of how goad the people of Shilla were at drawing. Although a lot of researches have been released about the relics from the Chonmachong,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fabrics from the excavation, all of which are in the Kyongiu Museum's collec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mainly on the fabrics used in horse gears, the pieces of cloth that were used to spread on a saddle or to underlay beneath a saddle. As the Shilla Dynasty tried to restrict excessive ornamentation on horses and it is assumed that the fabrics used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ocial status. 2. The subject articles are four plain fabrics, three fabrics of combined -construction and one braid, the warp-faced compound woven silks of combined-construction was found for the first tinge in Korea, and is the typical quality sick with patterns woven with dyed threads in different colors. 3. It is ascertained by the Chonmachong excavation that polychrome woven silk was used not only for the clothes of the upper classes but also for the ornaments of their horses in the Era of the Three Kingdo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