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sushima and Taiwan warm current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1초

동해 해수유입에 대한 수치모델: 대마난류 형성 및 수송량 (A Numerical Model on the Inflow into the Japan Sea: the Formation and Transport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 남수용;승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8-64
    • /
    • 1992
  • 북서 태평양에 순압모델을 적용하여 대마난류의 형성과 수송량을 살펴보았다. 모델결과는 대마난류가 대만 부근에서 형성되는 대만난류의 연장임을 보여주고 있다. 계절풍은 대마난류의 수송량 변화에는 그 영향이 미약하지만 대마난류의 유입경로에는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쿠로시오의 지류가 동지나해로 유입되는 경로가 남풍시는 주로 대만해협으로, 북풍시는 대만 동부를 통해 유입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 PDF

Seasonal Volume Transport Variation and Origin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 You, Sung-Hyup;Yoon, Jong-Hwan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0권2호
    • /
    • pp.193-205
    • /
    • 2008
  • A model of the current and seasonal volume transport in the East China Sea was used to investigate the origin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TSWC). The modeled volume transport field suggested that the current field west of Kyushu ($30^{\circ}-32^{\circ}N$) was divided into two regions, R1 and R2, according to the bottom depth. R1 consisted of the Taiwan Warm Current (TWWC) region and the mixed Kuroshio-TWWC (MKT) water region, while R2 was the modified Kuroshio water (MKW) region west of Kyushu. The MKW branched from the Kuroshio and flowed into the Korea/Tsushima Straits through the Cheju-Kyushu Strait, contributing 41% of the annual mean volume transport of the TSWC. The TWWC and MKT water flowed into the Korea/Tsushima Straits through the Cheju-Kyushu and Cheju Straits, contributing 32% and 27% of the volume transport, respectively. The maximum volume transport of the MKW was 53% of the total volume transport of the TSWC in November, while the maximum volume transport of the water in the R1 region through the Cheju-Kyushu Strait was 41% in July. Hence, there were two peaks per year of volume transport in the TSWC.

대마난류 형성에 미치는 계절별 바람의 영향 (Effects of Seasonal Wind Stress on the Formation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 남수용;석문식;방인권;박필성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64-374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순압모델을 이용하여 대마난류(Tsushima Warm Current)의 분기기작 및 계절별 분기위치의 변화에 바람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모델 격자간격은 위도와 경로방향 모두 0.25$^{\circ}$로 하였고 해수표면에 적용한 계절별 바람응력은 Hellerman and Rosenstein(1983)의 바람을 이용하였다. 모델결과에 의하면 대마난류는 북풍계열의 바람이 강한 동계(10월-3월)에는 일론 큐슈 남서쪽 대륙사면에서 쿠로시오로부터 직접 분기되어 형성되며, 하계(4월-9월)에는 대만해협(Taiwan Strait)을 통해 유입된 대만난류가 대마난류의 기원으로 나타난다. 쿠로시오는 동계에 최대 수송량을 가지며 하계에 최소를 보이고, 대만난류(Taiwan Current)의 수송량은 이러한 쿠로시오와 약 160도의 위상차를 갖는다. 대마난류의 수송량 변화는 쿠로시오의 변화와 120$^{\circ}$의 위상차(약 4개월)를 가질 때 잘 일치한다.

  • PDF

An Analysis on Observational Surface and upper layer Current in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 Kui, Lin;Binghuo;Tang, Yuxia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7권3호
    • /
    • pp.187-195
    • /
    • 2002
  • The characteristics of surface circulation in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are discussed by analyzing a great deal of current data observed by 142 sets of mooring buoy and 58 sets of drifters trajectories collected in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through domestic and abroad measurements. Some major features are demonstrated as bellow: 1) Tsushima Warm Current flows away from the Kuroshio and has multiple sources in warm half year and comes only from Kuroshio surface water in cold half year. 2) Taiwan Warm Current comes mainly from the Taiwan Strait Water in warm half year and comes from the intruded Kuroshio surface water and branches near 27N in cold half year. 3) The Changjiang Diluted Water turns towards Cheju Island in summer and flows southward along the coastal line in winter. 4) The study sea area is an eddy developing area, especially in the southern area of Cheju Island and northern area of Taiwan.

한반도 주변의 수괴와 해수순환 (Water Masses and Circulations around Korean Peninsula)

  • 승영호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24-331
    • /
    • 1992
  • 한반도 주변에 분포하는 수괴와 해수순화에 관하여 지금 까지 알려져있는 사실들 을 토대로 하여 이를 요약 정리하였고 물리적 관점에서 이에 대하여 간략히 논의하였 다. 한반도 주변의 해황(수괴와 해수순환)은 해역의 남쪽 경계인 쿠로시오수로부터 분 리유입된 대마난류에 의해 지배되나 담수유입, 바람, 대기와의 열교환등에 의해 크게 변형된다. 남서해에서 대마난류수의 확장 한계는 일차적으로 대만북측과 제주도를 연 결하는 선으로 볼 수 있으나 여름철에는 외해로 확장하는 양자강수의 영향을 많이 받 고 겨울철에는 강한 북서계절풍에 의해 난류수의 황해유입이 유발되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동해에서 대마난류수는 한국 동안 (약 37-38$^{\circ}$N 부근)에서 일본 북부의 Tsugaru, Soya 해협을 연결하는 선 이남에 국한된다고 대체적으로 볼 수 있으나 겨울 철의 북서 계절풍 표면냉각 등에 의해 표층은 물론 심층까지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매 우 크다. 그러나 한반도 주변 해황에 대한 이해는 아직도 크게 부족하여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들이 많이 남아 있어서 이를 간략히 열거해 보았으며 이에 대한 몇 가지 사 견도 제시하였다.

  • PDF

남해동부해역의 표층 수괴 변화에 따른 환경요인과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Variation of Phytoplankton Assemblages Related to Surface Water Mass in the Eastern Part of the South Sea in Korea)

  • 장풍국;현봉길;차형곤;정한식;장민철;신경순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5권2호
    • /
    • pp.157-170
    • /
    • 2013
  • We investigated the seasonal succession of phytoplankton assemblages in the eastern part of the South Sea of Korea in relation to surface water masses. The study areas are under the direct influence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TCW) throughout the whole year, with its strength known to be seasonally variable. The region is also influenced by coastal waters (CW) driven from the South Sea of Korea and East China Sea, particularly in summer, as indicated by low salinity in the surface water. Nutrient property of the TCW can reveals whether the origin of the TCW is the nutrient-rich Kuroshio Current or the oligotropic Taiwan Warm Current. Surface chlorophyll-a (Chl-a) concentrations displayed a large seasonal variation for all stations, with high values found in spring and autumn and low values in summer and winter. At station M (offshore) and P (intermediate location between M and R), Chl-a concentrations in October were higher than those in March, when spring bloom normally occurs. This may be related to deeper mixed layer depths in October. Diatoms dominated under conditions of high nutrient supply in which Chaetoceros spp. and Skeletonema costatum-like spp. were abundant. S. costatum-like spp. dominated at stations R (onshore station) and P in December when there was greater nutrient supply, especially of phosphate. Flagellates and dinoflagellates dominated at all three stations after diatoms blooms. Dominant species were Scrippsiella trochoid in April and Ceratium furca in October at station R, and Gyrodinium spp. and Gymnodinium spp. at station M during summer, when the effect of the oligotropic Taiwan Warm Current and the oligotropic coastal water from East China Sea were strong. Redundancy analysis showed clear seasonal successions in the phytoplankton community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which both principal components 1 and 2 accounted for 69.6% of total variance. Our results suggested that environmental conditions seemed to be determined by the origin of the TCW and the relative seasonal strength of the water masses of the TCW and CW, which may affect phytoplankton growth and compositions in the study area.

해수면변화와 해저지형에 의한 난류수의 순환과 그 기원 (Warm Water Circulation and its Origin by Sea Level Fluctuation and Bottom Topography)

  • 방익찬;오임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77-697
    • /
    • 1995
  • 우리나라, 일본, 러시아 해역에서 관측된 조위관측 자료에서 얻은 해수면의 장주기변화를 기상과의 관계로 분석해 본 결과, 기상의 효과는 해역에 따라 다르지만 전반적으로 해수면변화의 절반 정도를 설명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수운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해수면변화는 대마해류역에서 가장 크며 대마해류의 영향을 적게 받는 곳일수록 작아져 해수면변화가 대마해류와 관계 있음을 보여준다. 순압해수면 변화가 허용된 수치모델을 사용하여 해수면변화가 해수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기본적인 해류형태는 Pang et al. (1993)에 의해 수행된 GCM (Semtner)모델의 결과와 같이 대만 주변 해역에서 지균형조정을 거친 후 등수심선을 따라 대한해협으로 흐르지만, 순압해수면 변화의 허용에 의해 일부 해수가 황해의 중앙을 따라 황해로 유입된 후 서해안을 따라 남하하여 유출되는 황해의 기본순환형태가 나타났다. 이와 함께 쿠로시오해류에 변화를 가할 때 순압해수면 변화에 의해 대륙붕에 장주기파동이 뚜렷해지며 이 파동으로 황해의 기본순환형태가 교란되어 해수가 서해안을 따라 북상하는 순환형태도 나타났다. 황해순환은 겨울철에는 기본순환형태가 북서 계절풍에 의해 강화되고 여름철에는 파동에 의해 교란된 순환구조에 남동계절풍이 합세하는 것으로 보인다. 장주기파동에 의해 나타나는 다른 특징은 대마해류 기원해역의 변화 가능성이다. 지금까지 대마해류의 기원해역은 크게 큐슈섬 남서해역과 대만 주변해역으로 대립되어 왔다. 그러나 이 연구결과는 이들은 서로 위배되는 것이라기 보다는 대마해류 기원의 중요한 두 해역이며 장주기파동에 의해 한쪽이 강화되어 나타나는 것을 보인다. 쿠로시오해류의 변화에 의해 대만 주변해역에 가해진 파동은 강제파로 대한해협으로 전파되며 대한해협에 이르러 일본연안의 파동은 동해로 계속 전파되는 반면, 우리나라 연안의 파동은 해저지형에 의해 반사하게 된다. 반사된 파동은 자유파로 동중국해 대륙붕을 따라 남서방향으로 진행하며 북동방향으로 진행하는 강제파와 더불어 동중국해의 해수면변화를 결정하게 된다.

  • PDF

중등학교 과학교과서의 황해 및 동중국해 해류도 분석 (An Analysis of Oceanic Current Maps of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in Secondary School Science Textbooks)

  • 박경애;박지은;최병주;이상호;이은일;변도성;김영택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39-466
    • /
    • 2014
  • 다양한 중등학교 과학교과서 동해 해류도의 통일이 최근에 완성됨에 따라 황해와 동중국해의 해류도 제작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 연구는 그 첫 단계로서 과학 논문과 2014년 현행 교과서의 해류도들을 분석하여 향후 황해와 동중국해의 통일된 해류도를 제작하는 과정을 촉진시키고자 하였다. 우선 교과서와 과학 논문의 아날로그 해류도들을 수치화하여 해류도의 특성을 정량적으로 조사하였고 해류도들을 상호 비교하였다. 쿠로시오해류, 대만난류, 대마난류, 황해난류, 중국연안류, 한국연안류, 양쯔강 유출류와 같이 황해와 동중국해의 해류들을 선정하고 정의하였다. 이 해류들의 경로를 조사하기 위하여 18개의 세부 항목을 만들고 이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각 세부항목에 대하여 교과서와 과학 논문 해류도들을 분석한 결과, 교과서 해류도들은 과학 논문으로부터 획득한 해류에 관한 최근의 지식과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황해와 동중국해 해류는 계절에 따라 크게 변화하므로 해류 전문가들의 활발한 토의를 통하여 교과서 해류도를 적어도 여름철과 겨울철로 구분하여 제시해야 할 것이다.

이른 여름 동중국해 남서해역의 해양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분포특성 (A Characteristics of Thermohaline Structure and Phytoplankton Community from Southwestern Parts of the East China Sea during Early Summer, 2004)

  • 윤양호;박종식;박영균;서호영;황두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1권2호
    • /
    • pp.129-139
    • /
    • 2005
  •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rmohaline structure and phytoplankton community from the southwestern areas of Jeju to the nothern areas of Taiwan in the Ease China Sea, in June 2004.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a T-S diagram, three characteristic of water masses were identified. We classified them into the mixed water mass by the Chiness continental coastal waters and Yellow Sea cold water (Region A), Chinese continental coastal waters (Region B) and Taiwan warm current (Region C). Region A was characterized by low temperature, low salinity, high density and high Chl-a concentration. Region B was characterized by high temperature, low salinity, low density and high Chl-a and Region C was characterized high temperature, high salinity, low density and low Chl-a concentration.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dentified a total of 56 species belonging to 31 genera. The dominant species was mainly dinoflagellates, Gymnodinium breve, Scrippsiella trochoidea, Ceratium fusus, Prororcentrum triestinum, centric diatoms, Chaetoceros lorenzianus, Leptocylindrus danicus, Proboscia alata, Skeletonema costatum and pennate diatoms, Pseudonitzschia pungens, Cylidrotheca closterium. Standing crops of phytoplakton fluctuated between $0.1{\times}10^2$ cells/L and $5.7{\times}10^4$ cells/L by dominance of dinoflagellates. In the phytoplankton community, the Region A was characterized by the various species composition in 39 species, the dominint species with di-atomes, Pn. pungen, Ch. lorenzianus and standing crops from 6.9 cells/$m\ell$ to 56.6 cells/$m\ell$, Region B by the various species composition in 37 species, the dominant species with dinoflagellates, G.breve, S. trochoidea and standing crops from 4.6 cells/$m\ell$ to 26.7 cells/$m\ell$, and the Region C by low species number with 28 species, the dominant species with one dinoflagellate, S.trochoidea and one diatom, L.danicus and very low standing crops from 0.1 cells/$m\ell$ to 5.7 cells/$m\ell$. Phytoplankton productivity in the East China Sea was controlled by Chinese continental coastal waters which include a high concentrations of nutrients.

관측 기반 과학적 지식에 근거한 과학교과서 황해 및 동중국해 해류모식도 (Schematic Maps of Ocean Currents in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for Science Textbooks Based on Scientific Knowledge from Oceanic Measurements)

  • 박경애;박지은;최병주;이상호;신홍렬;이상룡;변도성;강분순;이은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2권4호
    • /
    • pp.151-171
    • /
    • 2017
  • 현행 중등학교 과학 및 지구과학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대부분의 해류도는 1930년대 일본 과학자에 의한 대규모 해양 관측을 기반으로 제작된 것이다. 현재 해양학자들의 과학적인 관점으로 보았을 때 이 해류도들은 상당한 오류를 가지고 있고 학생들에게 오개념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아 새로운 해류도 제작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황해와 동중국해의 해류는 상대적으로 얕은 수심과 복잡한 지형, 바람, 조류의 영향으로 계절적으로 복잡한 양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하나의 해류도로 표현하는 것은 간단하지 않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황해 및 동중국해의 해류도 작성에 유의해야 할 주요 항목으로 쿠로시오해류의 동중국해로의 유출입과 북상 경로, 대마난류의 기원과 대한해협으로의 유입, 대만난류의 경로, 제주난류, 양쯔강 유출류의 흐름 양상, 황해 난류의 북상 범위와 경로, 그 외 중국연안류, 한반도 서해안의 서한연안류, 보하이해 해류 등 16가지를 선정하여 이에 기반을 두고 학회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2014년부터 3년 동안 학회, 전문가 토론회, 자문회의를 통하여 해양학계 과학자들의 오랜 기간 동안 심도 있는 논의와 여러 차례 수정을 통하여 황해와 동중국해에 대한 최종 해류도를 제작하였다. 최종 해류도는 이 해역 해류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여름과 겨울을 대표하는 해류도, 여름과 겨울의 표층과 저층 해류도, 그리고 계절과 깊이에 상관없이 황해 및 동중국해를 대표할 수 있는 하나의 표층해류도 등 총 7개로 제작되었다. 이 해류도들은 향후 동해와 북서태평양 해류도와 연결하여 중등학교 교과서 및 고등교육, 나아가서는 과학 전문가를 위한 해류도로서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