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halomethanes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1초

pH, 수온, 염소주입량이 정수장 소독부산물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 Water Temperature and Chlorine Dosage on the Formation of Disinfection Byproducts at Water Treatment Plant)

  • 이기창;이원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9호
    • /
    • pp.505-510
    • /
    • 2015
  • 본 연구는 경북 소재 A정수장의 원수를 대상으로 pH, 수온, 염소주입량에 대한 소독부산물(trihalomethanes, haloacetic acids, haloacetonitriles, chloral hydrate 등 16종) 생성능을 조사하고 여과수의 소독부산물 생성능과 비교하였다. 조사한 소독부산물의 생성능은 대부분 중성 pH에서 높았다. 다만, dichloroacetic acid, chloroform, bromodichloromethane의 생성능은 염기성 pH에서 증가하였다. Chloral hydrate, haloacetic acids, haloacetonitriles의 생성능은 수온의 증가와 함께 직선형으로 증가하였고, trihalomethanes의 생성능은 지수함수의 증가추세를 보였다. Chloral hydrate, trihalomethanes, trihaloacetonitriles의 생성능은 염소주입농도 2.0 mg/L $Cl_2$까지 급격하게 상승하였고, 2.0~5.6 mg/L $Cl_2$에서는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여과수의 소독부산물 생성능은 원수에 비해 대부분의 물질에서 낮게 나타났다. 다만, trihalomethanes은 여과수가 원수보다 약 1.4배 높은 생성률을 나타냈다.

퍼지-트랩 기체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계에 의한 물시료 중 Trihalomethanes의 분석 및 위해성 평가 (The Analysis of Trihalomethanes in Water Sample by Purge-and-Trap Gas Chromatograph/Mass Spectrometer and Risk Assessment)

  • 곽선영;표희수;박송자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0권1호
    • /
    • pp.29-37
    • /
    • 2005
  • Recently, significant contamination problems by residual chemicals have occasionally been occurred from major rivers and drinking water in Korea. Therefore, the management for use of them and risk assessment should be more strictly performed. In this study, we have analyzed trihalomethanes in treated water samples taken from water plants located in the region of four major rivers (i.e. Han river, Geum river, Youngsan river and Nakdong river) in Korea for eight years (1997~2004). From the data, we could assess the excess cancer risk by calculating the chronic daily intakes (CDI) multiplied by individual oral slope factors, Q₁*, for the cancer suspected matters such as trihalomethanes, moreover the hazard index which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CDI by the acceptable daily reference dose (R/sub f/D) was determined for the risk assessment. As a result, in the case of 95 percentile excess cancer risk, it was shown that the excess cancer risk for dichlorobromomethane in the Nakdong river region is highest among the tested samples as 8.73 x 10/sup -6/. The 95 percentile total hazard index (the sum of individual hazard indices considering R/sub f/D), in addition, was below 1.0 for all samples, and therefore it was assessed that water samples taken from treatment plants of four major rivers are not harmful.

활성탄 흡착공정에서의 요오드계 트리할로메탄 흡착 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Iodo-Trihalomethanes (I-THMs) in Granular Activated Carbon (GAC) Adsorption Process)

  • 손희종;염훈식;김경아;송미정;류동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5-71
    • /
    • 2015
  • This study accessed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the 9 trihalomethanes (THMs) on coal-based granular activated carbon (GAC). The breakthrough appeared first for $CHCl_3$ and sequentially for $CHBr_2Cl$, $CHBr_3$, $CHCl_2I$, CHBrClI, $CHBr_2I$, $CHClI_2$, $CHBrI_2$, and $CHI_3$. The maximum adsorption capacity (X/M) for the 9 THMs with apparent breakthrough points ranged from $1,175{\mu}g/g$ (for $CHCl_3$) to $11,087{\mu}g/g$ (for $CHI_3$). Carbon usage rate (CUR) for $CHCl_3$ was 0.149 g/day, 5.5 times higher than for $CHCl_3$ (0.027 g/day).

음료수중의 Trihalomethanes 규제

  • 이범호
    • 수도
    • /
    • 통권29호
    • /
    • pp.48-51
    • /
    • 1983
  • 다음의 기사는 AWWA에 의하여 출판되었고, AWWA 연수계획조정자인 MR. Dee Cooperider에 의해 준비된 THM 세미나 자료중에서 "상수중의 THM규제를 위한 처리 기술" 중에서 발화 것이다.

  • PDF

정수처리긍정에서 소독부산물인 트리할로메탄의 생성모델 (The model on Formation of Trihalomethane in Purifying Process of Drinking Water)

  • 이성식;성낙창;이종팔;박현석;정미은;이상준;윤태경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97-300
    • /
    • 2004
  • We have been proposed model equation which is able to predict the trihalomethane producing concentration formation, that is one of byproduct, in the water treatment processes. In proposed model, the effects of trihalomethane factors like chlorine contact time, pH, temperature, TOC and UV-254 are considered. The concentration of the trihalomethane produced is proportion to the contact with chlorine, pH of water, temperature of water TOC and UV-254, respectively. This proposed model could be predicted the formed concentration of trihalomethanes by trihalomethane factors.

상수중 Trihalomethanes, 농약, 중금속 및 합성세제의 효율적인 제거를 위한 수처리 방법 제 1보. -상수중 Trihalomethanes의 효율적인 제거방법- (Water Treatment Method for Removal of Trihalomethanes, Pesticides, Heavy Metals and Detergent in Drinking Water (1). -Effective Removal Method of Trihalomethanes in Drinking Water-)

  • 박종우;김장억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6호
    • /
    • pp.472-479
    • /
    • 1994
  • 상수처리시 토양현탁액과 같은 유기물이 있을 때 산화제, 응집제 및 흡착제의 종류를 달리하고 처리방법을 변경시켰을 때 THMs 및 유기물의 제거정도를 조사하였다. 산화제로 처리된 $ClO_2$가 다른 산화제인 $Cl_2,\;NH_2Cl,\;KMnO_2$$O_3$ 보다 THMs 생성억제와 THMs의 전구물질인 유기물을 제거시키는데 가장 효율적이었다. 산화제$(Cl_2,\;NH_2Cl,\;KMnO_4,\;ClO_2,\;O_3)$를 응집 이후에 처리하였을 때 유기물의 양은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THMs의 생성량은 응집 이전 처리보다 약 $36.7{\sim}8.2%$ 정도 감소하였다. 수중 유기물을 응집 제거시키기 위하여 응집제로 alum과 ferric sulfate를 처리하였을 때 응집 효율은 유기물의 분자량 분포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THMs 제거 및 생성 억제를 위한 활성탄의 처리는 여과 이후의 처리가 산화제 처리 이전의 활성탄 처리보다 효과적이었다.

  • PDF

활성탄소섬유를 사용한 수돗물 내 트리할로메탄의 제거 (Removal of Trihalomethanes from Tap Water using Activated Carbon Fiber)

  • 유화인;유승곤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1호
    • /
    • pp.83-87
    • /
    • 2012
  • 활성탄소섬유를 사용하여 염소소독 후 수돗물 내에 부산물로 존재하는 4종 트리할로메탄을 제거하였다. THMs의 종류별 농도 및 용액의 온도를 달리하면서 흡착실험을 수행하고 활성탄소섬유의 표면특성에 따른 흡착능력과 흡착메카니즘을 살펴본 결과, 4종의 THMs은 모두 Langmuir 타입의 흡착등온곡선을 보이면서 매우 신속하게 활성탄소섬유에 흡착되었다. THMs의 흡착은 활성탄소섬유의 표면에 균일하게 발달된 미세공의 입구에 물리적 및 화학적 수소결합으로 이루어졌다고 판단된다. Langmuir 타입은 특히 저농도 오염원 일때 제거효율이 높기 때문에 수돗물 내에 약 $30{\mu}g/L$ 수준으로 존재하는 THMs의 제거에는 활성탄소섬유가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4종 THMs 종류별 흡착량은 큰 차이는 없으나 chloroform, bromodichloromethane, dibromochloromethane, 및 bromoform 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이는 brom 원자수의 증가와 일치하며 극성의 감소로 용해도가 낮아짐에 따라 흡착량이 증가한 것이다.

농촌지역 마을상수 중 trihalomethanes의 농도 분포 및 생성 특성 (Concentration distributions and formation characteristics of trihalomethanes in drinking water supplies to rural communities)

  • 김희갑;김세영
    • 분석과학
    • /
    • 제28권1호
    • /
    • pp.58-64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농촌지역 마을상수 중에 함유된 trihalomethanes (THMs)의 농도 분포 및 발생 특성을 파악하였다. 농촌지역의 마을상수 시료는 2010년과 2011년 여름에 강원도 춘천시의 40가정에서 두 차례에 걸쳐 채취하였고, 도시상수 시료는 2011년의 같은 기간에 비교 목적으로 20곳의 수도꼭지에서 채취하였다. 현장에서 수온, pH 및 잔류염소(총 및 유리) 농도를 측정하였고, 물 시료는 실험실에서 용존 유기탄소(DOC)와 THMs 농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마을상수 중 DOC의 평균 농도는 원수로 사용된 지하수와 지표수 간에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1.81 vs. 1.91 mg/L). 그러나 마을상수의 지하수에서($9.77{\mu}g/L$)의 총 THMs(TTHMs)의 평균 농도는 지표수보다($2.85{\mu}g/L$) 훨씬 더 높았고, 도시상수 중 TTHMs의 평균 농도($10.8{\mu}g/L$)와 유사하였다. 도시상수와는 다르게, 마을상수(특히 지하수)는 dibromochloromethane (DBCM)과 같은 더 많이 브롬화된 THMs을 함유하였는데, 이는 마을상수의 원수 중에 bromide ion(Br-)이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존재함을 암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마을상수는 도시상수와는 다른 THMs 생성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것은 아마도 원수의 수질 특성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섬유상활성탄에 의한 THMs 및 THMs 전구물질의 흡착특성 (Adsorption of THMs and THM Precursors on Activated Carbon Fibers)

  • 한명호;이진식;윤이용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21-130
    • /
    • 1996
  • Adsorption isotherms of three trihalomethanes(THMs: $CHCl_3$, $CHBrCl_2$ and $CHBr_2Cl$) and the other organics(p-chlorophenol and sucrose)on activated carbon fibers(ACFs) were measured. Adsorption capacities of the ACFs for these THMs were found to be comparable with or slightly larger than those of granular activated car bons(GACs) which have been widely used for trihalomethanes control in drinking water. Also, the breakthrough curve prediction was successfully carried out using a mathematical model on basis of the assumption that the adsorption equilibrium is instantaneously established when a THM solution contacts the ACF. In practice, THM removal from drinking water was investigated at water works using benchscale ACF adsorptJOn columns. The volume of water treated at a space velocity(SV) of about $100h^{-1}$ was approximately 40 l/g-ACF. The practical adsorption capacities of PCP and sucrose in column adsorption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ose of theoretically calculated results using the batch adsorption measurments. And the saturation time model of these substrates in the columns was also agreed succesfully with practical measurments.

  • PDF

대청호 원수내 냄새 및 THM 제거방안 연구 (Removal of Odor and THM from the Raw Water of Daecheong Dam)

  • 전항배;윤기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0권3호
    • /
    • pp.235-245
    • /
    • 1997
  • 대청호 원수를 취수하여 정수하는 대청수도에서 이취미를 제거하고 THM(Trihalomethanes) 발생량을 줄이기 위하여 기존 표준정수공정에 오존과 활성탄여과공정을 추가한 pilot plant 실험을 수행하였다. pilot 실험결과 표준정수공정에서 DOC(dissolved organic carbon)는 약 25% 제거되었으나, 오존공정에서는 거의 제거되지 않았고, 30일이 지난 후 GAC(granular activated carbon)에서는 약 75%까지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정수공정에서 이취미는 약 30%, 오존산화공정에서 약 60%정도 제거되었고, 활성탄여과에서 대부분 제거되었으나, Column 1과 2에서는 DOC와 같이 이취미물질도 파과(breakthrough)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염소처리 대신에 중1, 2염소처리를 도입할 경우 전염소처리와 비교하여 약 25%정도의 THM발생량이 감소하였으며, 후염소처리만할 경우 약 30%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