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assic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23초

남포층군의 아미산층에서 산출된 패갑류 화석 (Fossil Conchostraca from the Amisan Formation of the Nampo Group, Korea)

  • 김종헌;이귀형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81-189
    • /
    • 2015
  • 충청남도 서부에 분포하는 아미산층에서 많은 패갑류 화석이 채집되었다. 이들 화석은 아미산층의 여러 층준에서 밀집된 상태로 산출되며, 아열대 기후의 담수 환경에서 번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아미산층산 패갑류 화석은 다음과 같이 3속 4종으로 분류되었다: Euestheria kawasakii, E. shimamurai, Sphaerestheria koreanica, 그리고 Cyclestherioides rampoensis. 그중에서 후자는 이전에 아미산층에서 기록된 종이고, 나머지 3종은 새로이 발견된 종이다. 패갑류 화석에 의한 아미산층의 지질 시대는 후기 트라이아스기로 추정된다.

포항분지에 대한 석유지질학적 연구

  • 김기현;김재호;김상석;박동배;이용일
    • 한국석유지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석유지질학회 1998년도 제5차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48-55
    • /
    • 1998
  • The Pohang Basin is located in Pohang City and adjacent coastal areas in the southeastern Korea. It has a sequence of 900 meters of Neogene marine sediments (Yeonil Group) while offshore basins in the East Sea, e.g., the Ulleng basin, is over 10 Km in thickness. An understanding of the marine Yeonil Group in the Pohang Basin may provide insights into the hydrocarbon potential of the offshore East Sea regions. Heulandite, smectite, dolomite, kaolinite and opal-CT are commonly found as diagenetic minerals in the Yeonil Group. Among these minerals, heulandite occurs as a main cement only in sandstones consisting of volcanic matrix, Smectite composition and diagenetic mineral facies such as heulandite and opal-CT may reflect that the Yeonil Group has undergone shallow burial, temperatures below about 60 degrees. This suggest that sandstones have experiened weak diagenetic alteration. In order to reconstruct the thermal history of the basin, apatite fission-track analysis was carried out. Aapparent apatite fission-track ages (AFTAs) exhibit a broader range of ages from 238 Ma to 27 Ma with mean track lengths in the range of $15.24\pm8.0$ micrometers, indicating that these samples had undergone significant predepositional thermal alteration. The Triassic to Cretaceous AFTAs seem In represent the timing of cooling of their sedimentary sources. Late Cretaceous mean AFTA $(79.0\pm8.0 Ma)$ on the Neogene Yeonil Group indicates that the Yeonil Group had not been buried deeper than 2km since its deposition. The organic matters of. the Pohang Basin remain in the immature stage of thermal evolution because burial depth and temperature were not sufficient enough for maturation even in the deep section of the basin.

  • PDF

A Brief Review on Limestone Deposits in Korea, Vietnam and Applications of Limestone

  • Kwak, Yujung;Tuan, Lai Quang;Jung, Euntae;Jangb, Changsun;Oh, Chaewoon;Shin, Kyung Nam
    • 에너지공학
    • /
    • 제29권3호
    • /
    • pp.42-49
    • /
    • 2020
  • Precipitated Calcium Carbonate (PCC) can be utilized in energy-effective paper production. Limestone is a raw material for synthesizing PCC. Since the PCC production yield depend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limestone, a basic investigation of the raw limestone is required. This study provides a brief review of the origin of limestone, limeston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limestone deposits in Korea and Vietnam. Most limestones in Korea were formed in the Paleozoic era. On the other hand, limestones in Vietnam have various ages from the Precambrian to the Triassic. Limestone is the most largely produced mineral in Korea, but Vietnam has 5 times more amount of limestone reserves than Korea.

호남 전단대내에 분포하는 엽리상화강암류의 지질시대와 생성과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Geochronology and Petrogenesis of Foliated Granites in the Honam Shear Zone, South Korea)

  • 김용준;박영석;강상원
    • 자원환경지질
    • /
    • 제27권3호
    • /
    • pp.247-261
    • /
    • 1994
  • Honam Shear Zone is a mylonite zone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NE-SW trend located southern part of Korea peninsula. Geologic ages and petrogenesis of foliated granites in this zone are as follows: Igneous rocks of this zone are composed of granite gneiss, Paleozoic granites, Songrim granites, Jurassic granites and Cretaceous granites. Foliated granites show deformed phase of Paleozoic and Songrim granites during Daebo Orogeny. And isotopic ages obtained from foliated granites are early Permian to late Triassic period (276~200 Ma). Most of foliated granite masses are igneous complex consisting of a series of differential product of cogenetic magma. The individual rock mass of foliated granites plotted on Harker diagram shows mostly similar trend of calc-alkali series. REE diagram indicates that LREE amount of foliated granites are more enriched than HREE and negative Eu anomalies of them are weaker than those of the other granites. From these data, we suggest the rocks are generated from continental margin under syntectonic environment. Original magma type of foliated granites correspond to I-type, syn-collision type and Hercyano type. In compressive stress field between Ogcheon folded belt and Youngnam massif, foliated granites had formed due to mylonitic deformation. Those facts indicate that magma of foliated granites would had been generated by melting in lower crust or contamination in upper mantle.

  • PDF

증평-덕평 지역 중부 옥천변성대에 분포하는 이질 편암의 K-Ar 흑운모 연대 (K-Ar biotite ages of pelitic schists in the Jeungpyeong-Deokpyeong area, central Ogcheon metamorphic belt, Korea)

  • 조문섭;김인준;김현철;민경원;안중호;장미경개
    • 암석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78-184
    • /
    • 1995
  • 증평-덕평 지역에서 산출하는 중부 옥천변성대의 13개 이질 편암에서 구한 K-Ar 흑운모 연대는 한 개 시료를 제외하고는 89-213Ma 의 범위에 속한다. 이들 K-Ar 연령은 쥬라기와 백악관 화강암체어 가까와 질수록 체계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쥬라기 백악관 화강암체 부근에서 얻은 K-Ar 흑운모연대는 각각 166Ma와 89Ma이다. 따라서 연구 지역의 흑운모 연대는, 트라이아스가 후기 내지 쥬라기 초기의 광역-열 변성작용 이후, 중생대화강암의 관입에 의한 열적 작용 때문에 부분적으로 또는 거의 완전히 재평형되었음을 알 수 있다.

  • PDF

옥천 각섬암의 Sm-Nd 동위원소연구 : 예비보고서 (Sm-Nd Isotopic Study of the Ogcheon Amphibolite, Korea: Priliminary Report)

  • 권성택;남정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24권3호
    • /
    • pp.277-285
    • /
    • 1991
  • We applied Sm-Nd isotopic system to so-called amphibolites occurring within the Ogcheon group to provide constraints on the age of the metasedimentary rocks and to characterize tectonic environment of basaltic magmatism. An internal mineral isochron age of $677{\pm}91Ma({\sigma})$ was obtained from a coarse-grained, intrusive, amphibolite near Mungyeong. Considering previous studies on the age of the Ogcheon group, we interpret that the isochron represents either early metamorphic or emplacement age. The depositional age of the metasedimentary rocks intruded by the amphibolite would be prior to late Proterozoic. The present study and Cambro-Ordovician fossil evidences of previous workers suggest that both Precambrian and Phanerozoic rocks are present in the Ogcheon group. Positive ${\varepsilon}$ Nd values(+2.4 to +3.5) of four whole rocks indicate mantle origin for the amphibolite. These isotopic data, along with published immobile trace element data of Cluzel et al.(1989), strongly suggest that parental rocks of the amphibolite formed in an intraplate environment rather than in island arc or midocean ridge. The age and tectonic environment of amphibolites in the Ogcheon belt suggest that the basaltic magmatism may be related to the late Proterozoic break-up of a presumed supercontinent, but not to the Triassic(?) collision between North and South China continents.

  • PDF

한반도 동해안의 모래해안 발달과 암석 분포 사이의 상관성 (The Relation between Sandy Shore Distribution and Basic Rock in the Ea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 김영래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1-35
    • /
    • 2018
  • The distribution and size of sandy beaches along eastern Korea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resence of granite rocks. In general, elongated and wide beaches with abundant sands are likely to develop along the coasts where granitic basic rocks comprise the dominant geology or where a large amount of sands are supplied by streams from inland granitic rocks. Small sandy beaches, in contrast, appear in non-granitic rocks (i.e., under sedimentary and/or metamorphic geology). Hence, large beaches are observed continuously along the shore of Gangwon-do, of which coasts consist predominantly of granitic geology. Such continuity declines from Samcheok city to Pohang city. The rock of Gyeonbuk-do is commonly known as sedimentary, deposited between the late Triassic and the early Tertiary Periods. Because few sands are supplied from the upstream areas, sandy beaches unlikely develop along the coasts of the province, only showing a sporadic, discontinuous distribution under Bulguksa granite, granitic gneiss, and some volcanic rocks. Erosion was rarely observed in the beaches where granitic rocks are distributed, whereas merely five beaches seemed to have undergone some level of erosion in non-granitic regions. This is presumably because a larger amount of sands than that which had been eroded away was replenished in areas under granitic geology, while under non-granitic geology having a deficit in sands, no large sandy beaches had formed at first.

중부 옥천대의 지구조 발달과정 (Tectonic evolution of the Central Ogcheon Belt, Korea)

  • 강지훈;;류충렬
    • 암석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9-15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옥천, 청산, 문경 부운령, 부산 지역에서 작성된 암상구분에 의한 상세한 지질도, 변형단계별 지질구조와 미구조, 변형작용과 변성작용 사이의 상대적 시간관계 등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결과와 옥천누층군에서 최근까지 보고된 절대 및 화석 연대자료로부터 중부 옥천대의 지구조 발달과정을 새롭게 고찰해 보았다. 첫 번째 지구조운동($D^*$)은 원경기육괴를 북부 경기육괴(현재의 경기육괴)와 남부 경기육괴(부산 및 박달령 편마암복합체)로 분리시키는 열곡작용에 의해 특징 지워진다. 전기 고생대 동안에는 조선누층군과 이에 상응하는 옥천누층군의 하위층군(석영사질암, 이질암, 탄산염질암, 염기성질암)이 옥천열곡분지에 퇴적 및 분출 관입되었고, 후기 고생대 동안에는 평안누층군과 이에 상응하는 옥천누층군의 상위층군(역질암, 이질암, 산성질암)이 퇴적 및 분출 관입되었다. 두 번째 지구조운동(옥천-청산 지구조운동/송림조산운동: D1)은 후기 페름기~중기 트라이아스기 동안에 발생하였고, D1은 전기단계의 옥천 아지구조운동(D1a)과 후기단계의 청산 아지구조운동(D1b)으로 구분된다. D1a는 북부 경기육괴와 남부 경기육괴의 결합 즉 옥천열곡분지의 닫힘운동과 관련하여 발생하였으며, 그 초기단계에는 옥천누층군에 조립흑운모, 석류석, 십자석 등 중압형 변성광물의 성장과 관련된 M1 중압형 변성작용을 발생시켰고 그 후기단계에는 옥천 중압형 변성암류를 남동-버젼스의 몇몇 나쁘로서 발굴시켰다. 그 결과 옥천변성대에서는 남동-버젼스의 지구조단위들이 형성되고 옥천누층군에는 이에 수반되어 대규모 칼집습곡, 광역엽리, 신장선구조가 형성되었다. D1b는 (북)북동-(남)남서의 압축지구조 환경하에서 발생하여 남중국판(경기육괴와 옥천변성대)과 북중국판(영남육괴와 태백산대)을 결합시켰다. 주요 지질구조로는 결합부의 선단부와 후미부에 (북)북동-버젼스 내지 (남)남서-버젼스를 갖는 (서)북서 방향의 충상단층이 형성되고, 결합부의 측면부에는 북북동 방향의 우수 주향-이동성 청산전단대와 조선 및 평안누층군에 북북동 방향의 직립습곡이 형성되었으며, 한반도에는 대동분지가 형성되었다. 그 이후, 후기 트라이아스기~전기 쥬라기의 대동층군이 퇴적되고, 세 번째 지구조운동(호남 지구조운동/대보조산운동: D2)은 전기~후기 쥬라기 동안에 북북동 방향의 우수 주향-이동성 호남전단운동의 횡압축응력 지구조환경하에서 발생하여 옥천누층군에 비대칭 파랑습곡과 조선 및 평안누층군에 북북동 방향의 횡와습곡과 후기 트라이아기 이전의 지층군이 대동층군의 상부로 충상하는 동남동-버젼스의 충상단층을 형성시켰다. M2 홍주석-규선석형 접촉변성작용은 D2의 휴식기에 해당하는 중기 쥬라기에 대보 화강암류의 관입에 의해 발생하였다. 네 번째 지구조운동(청마리 지구조운동: D3)은 전기 백악기에 남-북 방향의 압축지구조 환경하에서 발생하여 북북동 방향의 좌수 주향-이동성 전단운동에 수반된 당겨-열림형 백악기 퇴적분지를 형성시켰다. M3 후퇴변성작용은 주로 D2 이후에 발생하여 옥천누층군에 녹니석 반상변정을 결정시켰다. D3 이후 옥천지역에서는 기생 킹크습곡과 함께 대규모 금강 끌림습곡을 수반하는 좌수향 금강단층운동(금강 지구조운동: D4)이 발생하였고 이들 킹크습곡은 후기 백악기의 산성 암맥에 의해 관입된다.

황해 및 인접 지역 퇴적분지들의 구조적 진화에 따른 층서 (Stratigraphic response to tectonic evolution of sedimentary basins in the Yellow Sea and adjacent areas)

  • 유인창;김부용;곽원준;김기현;박세진
    • 한국석유지질학회지
    • /
    • 제8권1_2
    • /
    • pp.1-43
    • /
    • 2000
  • 황해 및 인접 지역에 위치하는 퇴적 분지들의 구조적 진화에 따른 층서를 이해하기 위한 비교 연구가 통합층서기술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잠정적 결과로 우리는 각 분지별 퇴적층들의 시$\cdot$공간상의 대비가 가능한 층서틀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안된 층서틀은 향후 황해 및 인접 지역의 석유자원 탐사를 위한 새로운 층서적 사고의 틀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생층서 자료와 결합시켜 수행한 통합층서해석 결과, 캠브로-오오도비스기, 석탄기-트라이아스기, 쥬라기 초기-중기, 쥬라기 말기-백악기 초기, 백악기 후기, 팔레오세-에오세, 올리고세, 마이오세 초기, 마이오세 중기-플라이오세 퇴적층 등 9개의 단위층들이 인지된다. 본 연구를 통해 인지된 9개 단위층들은 구조층서단위로 황해 및 인접 지역 퇴적 분지들의 퇴적 작용 및 분지 형성과 변형에 관련된 구조운동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남황해 분지는 고생대 동안 남중국 지괴의 북쪽 연변부에 발달하는 대륙 연변부 분지로 시작되었다 쇄설성 및 탄산염 퇴적물들이 상대적 해수면의 변동에 따라 윤회성을 보이면서 분지 내에 퇴적되었다. 그러나, 데본기 동안의 칼레도니안 조산운동에 의해 분지는 융기되어 침식을 받았으며, 결과로 캠브로-오오도비스기 단위층과 석탄기-트라이아스기 단위층 사이에 부정합이 형성되었다. 북중국 지괴와 남중국 지괴가 충돌될 때인 페름기 말기로부터 트라이아스기 말기 사이에 인도시니안 조산운동이 일어났다. 북중국 지괴와 남중국 지괴의 충돌에 따라 친링-다비-수루-임진강 습곡대가 형성되었으며, 고생대 퇴적층들은 융기된 후 변형을 받게 되었다. 이 후 습곡대에 평행한 대륙전사면이 빠르게 침강하면서 발해 분지 및 서한만 분지와 같은 대륙전사면 분지가 형성되어 쥬라기 초기-중기의 후조산성 퇴적물들이 분지를 충진시켰으며, 지역적으로 피기백 형태의 소규모 분지들이 저각의 역단층을 따라 발달하게 되었다. 이들 대륙전사면 분지나 피기백 형태의 분지들은 쥬라기 말기 동안에 일어나는 앤샤니안 조산운동 (일차)에 의해 변형된다. 그러나, 남황해 분지는 쥬라기 초기 및 중기 동안에 대륙내 침강 분지였던 것으로 보인다. 남황해 분지의 쥬라기 초기 및 중기 단위층은 분급도와 원마도가 양호한 규암역을 포함하는 두꺼운 기저 역암층과 함께 하성 및 호성 환경 하에서 퇴적된 사암 및 셰일들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탄루 단층대는 트라이아스기 말기로부터 좌수향의 운동을 시작하였으며, 쥬라기와 백악기를 거쳐 제삼기 초까지 계속되었다. 쥬라기 말기에 들어와 탄루 탄층대를 따라 이차 및 삼차 순위의 주향이동 단층들이 발달되면서 소규모 열개 분지들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에오세말까지 지속된 탄루 단층의 이동에 의해 남황해 분지는 대규모의 횡압력을 받게되어 소규모 열개 분지들은 인리형 분지로 확장되었다. 그러나 쥬라기 말기와 에오세 말기까지 발해 분지는 융기되어 심한 변형을 받게되었다. 발해 분지의 백악기 초기 이후 에오세 말기까지의 부정합이 앤샤니안 조산운동 (이차 및 삼차)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에오세 말에 이르러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의 충돌에 의한 히말라얀 조산운동의 영향으로 탄루 단층의 이동방향이 좌수향에서 우수향으로 변환되기 시작하면서 남황해 분지는 구조역전의 현상이 일어났으며, 동시에 발해 분지는 인리형 분지로 발달하게 되었다. 따라서, 올리고세 동안 발해 분지에서는 퇴적작용이, 남황해 분지에서는 심한 구조역전에 의한 분지변형이 동시에 일어났다 올리고세 이후 현재까지, 남황해 분지와 발해 분지들은 간헐적인 해침과 함께 광역적 침강을 유지하면서 안정된 대륙 및 대륙붕 지역으로 전이되었다.

  • PDF

남한(南韓)의 신기화강암류(新期花崗岩類)의 관입시기(貫入時期)와 지각변동(地殼變動) (Study on the Intrusion Epochs of Younger Granites and their Bearing to Orogenies in South Korea)

  • 김옥준
    • 자원환경지질
    • /
    • 제4권1호
    • /
    • pp.1-9
    • /
    • 1971
  • The "Younger Granites" in Korea were being believed to be late Cretaceous in age and named "Bulkuksa granites" by all previous works until the writer had discovered Jurassic granite in 1963. The present paper is to prove its validity by age dating on these granites which was carried out by Professor Y. Ueda, Tohoku University, Japan. The age of 37 granites samples from various localities ranges from 68 my to 181 my. Of these 10 samples belonged to early Jurassic, 6 samples to mid-Jurassic, 4 samples to late Jurassic, 5 samples to early Cretaceous, and 12 samples to late Cretaceous in age. It is of the writer's opinion that the granites intruded in from early Jurassic to early Cretaceous age belong to Daebo granites and are syntectonic plutons associated with Daebo orogeny, and only those of late Cretaceous age belong to Bulkuksa granites that were associated with Bulkuksa disturbance. Daebo granites are aligned along NE-SW Sinian direction in the middle parts of Korea and crop out in the cores of folded mountains which were formed by Daebo Orogeny, such as Charyong, Noryong, Sobaek, and Dukyu Ranges. On the contrary Bulkuksa granites are restricted in Kyongsang basin and adjacent few localities in distribution and show no alignment. Granites supposedly associated with other disturbances of post-precambrian Have not been found so far in S. Korea. Age dating of granites has revealed that Daebo orogeny might be continuous from Songrim distur bance of late Triassic age. From this viewpoint, it could be assumed that Daedong system of Jurassic age were deposited in separate intermontain basins while Daebo orogeny was active, so that Daedong system in separate localities in Korea could not been correlated in their lithology as well as stratig raph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