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ee detection

검색결과 517건 처리시간 0.025초

Keypoint Detection과 Annoy Tree를 사용한 2D Hand Pose Estimation (Fast Hand Pose Estimation with Keypoint Detection and Annoy Tree)

  • 이희재;강민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1호
    • /
    • pp.277-278
    • /
    • 2021
  • 최근 손동작 인식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다. 하지만 대부분 Depth 정보를 포함한3D 정보를 필요로 한다. 이는 기존 연구들이 Depth 카메라 없이는 동작하지 않는다는 한계점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프로젝트는 Depth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고 2D 이미지에서 Hand Keypoint Detection을 통해 손동작 인식을 하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학습 데이터 셋으로 Facebook에서 제공하는 InterHand2.6M 데이터셋[1]을 사용한다. 제안 방법은 크게 두 단계로 진행된다. 첫째로, Object Detection으로 Hand Detection을 수행한다. 데이터 셋이 어두운 배경에서 촬영되어 실 사용 환경에서 Detection 성능이 나오지 않는 점을 해결하기 위한 이미지 합성 Augmentation 기법을 제안한다. 둘째로, Keypoint Detection으로 21개의 Hand Keypoint들을 얻는다. 실험을 통해 유의미한 벡터들을 생성한 뒤 Annoy (Approximate nearest neighbors Oh Yeah) Tree를 생성한다. 생성된 Annoy Tree들로 후처리 작업을 거친 뒤 최종 Pose Estimation을 완료한다. Annoy Tree를 사용한 Pose Estimation에서는 NN(Neural Network)을 사용한 것보다 빠르며 동등한 성능을 냈다.

  • PDF

Virus Detection Method based on Behavior Resource Tree

  • Zou, Mengsong;Han, Lansheng;Liu, Ming;Liu, Qiwe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7권1호
    • /
    • pp.173-186
    • /
    • 2011
  • Due to the disadvantages of signature-based computer virus detection techniques, behavior-based detection methods have developed rapidly in recent years. However, current popular behavior-based detection methods only take API call sequences as program behavior features and the difference between API calls in the detection i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This paper divides virus behaviors into separate function modules by introducing DLLs into detection. APIs in different modules have different importance. DLLs and APIs are both considered program calling resources. Based on the calling relationships between DLLs and APIs, program calling resources can be pictured as a tree named program behavior resource tree. Important block structures are selected from the tree as program behavior features. Finally, a virus detection model based on behavior the resource tree is proposed and verified by experiment which provides a helpful reference to virus detection.

Automatic Defect Detection from SEM Images of Wafers using Component Tree

  • Kim, Sunghyon;Oh, Il-seok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17권1호
    • /
    • pp.86-93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defect detection method using component tree representations of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images. The component tree contains rich information about the topological structure of images such as the stiffness of intensity changes, area, and volume of the lobes. This information can be used effectively in detecting suspicious defect areas. A quasi-linear algorithm is available for constructing the component tree and computing these attributes. In this paper, we modify the original component tree algorithm to be suitable for our defect detection application. First, we exclude pixels that are near the ground level during the initial stage of component tree construction. Next, we detect significant lobes based on multiple attributes and edge information. Our experiments performed with actual SEM wafer images show promising results. For a $1000{\times}1000$ image, the proposed algorithm performed the whole process in 1.36 seconds.

X-treeDiff+ 기반의 한글 문서에 대한 변화 탐지 (Change Detection of Hangul Documents Based on X-treeDiff+)

  • 이석균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9-37
    • /
    • 2010
  • XML 문서에 대한 변화탐지는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그러나 한글 문서 파일 형식으로 XML이 지원되고 있음에도 한글 문서의 특성을 반영한 변화 탐지 연구는 아직 미비하다. 한글 문서는 일반적인 XML 문서와는 달리 서식 정보의 비중이 매우 커서 X-treeDiff+와 같은 일반적인 XML 문서의 변화탐지 알고리즘을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한글 문서에 대한 변화탐지를 위해 새로운 내용 기반의 대응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이를 X -treeDiff+에 구현하였다. 실험을 통해 제안된 알고리즘은 대부분의 편집과정의 문서에 대해 우수한 성능을 보이고 있음을 제시했다.

다중-클래스 SVM 기반 야간 차량 검출 (Night-time Vehicle Detection Based On Multi-class SVM)

  • 임효진;이희용;박주현;정호열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325-333
    • /
    • 2015
  • Vision based night-time vehicle detection has been an emerging research field in variou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ADAS) and automotive vehicle as well as automatic head-lamp control. In this paper, we propose night-time vehicle detection method based on multi-class support vector machine(SVM) that consists of thresholding, labeling, feature extraction, and multi-class SVM. Vehicle light candidate blobs are extracted by local mean based thresholding following by labeling process. Seven geometric and stochastic features are extracted from each candidate through the feature extraction step. Each candidate blob is classified into vehicle light or not by multi-class SVM. Four different multi-class SVM including one-against-all(OAA), one-against-one(OAO), top-down tree structured and bottom-up tree structured SVM classifiers are implemented and evaluated in terms of vehicle detection performances. Through the simulations tested on road video sequences, we prove that top-down tree structured and bottom-up tree structured SVM have relatively better performances than the others.

XML 문서에 대한 편집스크립트 생성 알고리즘 (An Algorithm Generating Edit Scripts for XML Documents)

  • 이석균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8권1호
    • /
    • pp.80-89
    • /
    • 2011
  • 최근 XML문서의 변화탐지가 중요한 연구 분야로 등장하고 있지만 변화탐지의 결과, 즉 편집스크립트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보적인 수준이다. 본 연구에서는 XML 문서의 변화탐지 알고리즘인 X-treeDiff+의 편집스크립트 생성알고리즘인 X-treeESgen을 제시한다. 이는 실행시간 O(n)의 성능을 가지면서 기존의 다른 알고리즘과 달리 삽입, 삭제, 갱신의 기본연산 이외에 이동 및 복사 연산을 지원한다. 또한 편집스크립트 생성과정이 변화탐지의 대용과정과 독립적으로 설계되어 있어 다양한 튜닝이 가능한 특정이 있다.

온라인 텍스트문서의 계층적 트리 기반 주제탐색 기법 (A Novel Technique of Topic Detection for On-line Text Documents: A Topic Tree-based Approach)

  • 현만;김한준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96-399
    • /
    • 2012
  • Topic detection is a problem of discovering the topics of online publishing documents. For topic detection, it is important to extract correct topic words and to show the topical words easily to understand. We consider a topic tree-based approach to more effectively and more briefly show the result of topic detection for online text documents. In this paper, to achieve the topic tree-based topic detection, we propose a new term weighting method, called CTF-CDF-IDF, which is simple yet effective. Moreover, we have modified a conventional clustering method, which we call incremental k-medoids algorithm. Our experimental results with Reuters-21578 and Google news collection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very useful for topic detection.

Automatic Detection of Dead Trees Based on Lightweight YOLOv4 and UAV Imagery

  • Yuanhang Jin;Maolin Xu;Jiayuan Zheng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9권5호
    • /
    • pp.614-630
    • /
    • 2023
  • Dead trees significantly impact forest production and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pose constraints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forests. A lightweight YOLOv4 dead tree detection algorithm based on unmanned aerial vehicle images is proposed to address current limitations in dead tree detection that rely mainly on inefficient, unsafe and easy-to-miss manual inspections. An improved logarithmic transformation method was developed in data pre-processing to display tree features in the shadows. For the model structure, the original CSPDarkNet-53 backbone feature extraction network was replaced by MobileNetV3. Some of the standard convolutional blocks in the original extraction network were replaced by depthwise separable convolution blocks. The new ReLU6 activation function replaced the original LeakyReLU activation function to make the network more robust for low-precision computations. The K-means++ clustering method was also integrated to generate anchor boxes that are more suitable for the dataset.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improved algorithm achieved an accuracy of 97.33%, higher than other methods. The detection speed of the proposed approach is higher than that of YOLOv4,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accuracy of the detection process.

X-tree Diff: 트리 기반 데이터를 위한 효율적인 변화 탐지 알고리즘 (X-tree Diff: An Efficient Change Detection Algorithm for Tree-structured Data)

  • 이석균;김동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0C권6호
    • /
    • pp.683-694
    • /
    • 2003
  • 인터넷 사용이 급속도로 증가함에 따라 XML/HTML 문서와 같이 트리 구조로 표현되는 데이터의 변화 탐지가 중요한 연구 분야로 등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변화 탐지를 위한 데이터 구조로 X-tree와 이에 기초한 휴리스틱 변화 탐지 알고리즘 X-tree Diff 를 제안한다. X-tree Diff 는 X-tree 의 변화 내용에 대한 최소 비용 편집 스크립트를 찾는 알고리즘과는 달리 휴리스틱 트리 대응 알고리즘을 통해 병화 내용을 확인하는 알고리즘으로, X-tree 에 속한 모든 노드에 대해 각각의 노드를 루트로 하는 서브트리의 구조와 서브트리속에 속한 노드들의 데이터들을 128비트 해시값으로 표현한 값인 트리 MD를 각 노드에 저장하고, 이를 변화 탐지 과정에서 활용하여 신-구 버전의 X-tree들에 속한 서브트리들의 비교을 효율적으로 처리한다. X-tree Diff 는 4단계로 구성되며 1)신-구버넌의 X-tree노드들에 대해, 우선 1:1 대응이 가능한 모든 동등한 서브트리 쌍을 찾고, 2) 이들 서브트리 쌍의 루트로부터 신-구 버전의 X-tree의 루트까지의 경로 상에 존재하는 노드들에 대한 대응관계를 결정한다. 3) 그 후 신-구 버전의 X-tree의 루트들로부터 깊이 우선 탐색으로 노드를 방문하며 대응이 결정되지 않은 노드들에 대한 대응여부를 결정해 나간다. 4) 마지막까지 대응여부가 결정되지 않은 도드들은 삭제나 삽입된 것으로 간주한다. X-tree Diff XML 문서들에 대한 버저닝(Versioning) 을 목적으로 설계된 BUILD Diff 알고리즘과 달리 XML/HTML 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알고리즘이 명확하고 간결하여 다양한 형태의 확장이 가능하다. 알고리즘의 성능도 개선되어 신-구 X-tree의 노드의 수를 n이라 할 때, O(n)의 시간 복잡도를 갖는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현재 보안 관련 상용 시스템인 WIDS(Web-Document Instrusion Detection System) 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WIDS를 이용하여 20여개 신문-방송 사이트에서 변화가 탐지된 11,000 개 페이지에 대한 성능평가를 보이고 있다.

Tree-Pattern-Based Clone Detection with High Precision and Recall

  • Lee, Hyo-Sub;Choi, Myung-Ryul;Doh, Kyung-Go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5호
    • /
    • pp.1932-1950
    • /
    • 2018
  • The paper proposes a code-clone detection method that gives the highest possible precision and recall, without giving much attention to efficiency and scalability. The goal is to automatically create a reliable reference corpus that can be used as a basis for evaluating the precision and recall of clone detection tools. The algorithm takes an abstract-syntax-tree representation of source code and thoroughly examines every possible pair of all duplicate tree patterns in the tree, while avoiding unnecessary and duplicated comparisons wherever possible. The largest possible duplicate patterns are then collected in the set of pattern clusters that are used to identify code clones. The method is implemented and evaluated for a standard set of open-source Java applications.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very high precision and recall. False-negative clones missed by our method are all non-contiguous clones. Finally, the concept of neighbor patterns, which can be used to improve recall by detecting non-contiguous clones and intertwined clones, is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