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catheter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2초

진행된 담도암의 경관조사 (Transcatheter Irradiation of Advanced Extrahepatic Biliary Tract Carcinoma)

  • 김경애;김성규;신세원;김명세;송선교;권굉보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5권2호
    • /
    • pp.173-176
    • /
    • 1987
  • 담도암은 서서히 자라며 원격전이가 늦은데 비하여 완전절제가 어렵고 수술 후 재발율이 높아. 생존율은 매우 낮다. 많은 예에서 국소치료의 실패가 치료실패의 요인으로 밝혀짐에 따라 술후 방사선 치료의 중요성이 인정되어 왔다. 외부방사선치료 만으로는 충분한 선량을 조사할 수 없으므로 국소적인 고선량치료법으로서 술중방사선치료, 간질방사선치료 (interstitial irradiation), 경관방사선치료(transcatheter irradiation)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경관방사선치료의 보고는 드물다. 영남대학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는 진행된 담도암 1예에서 암 종괴의 부분절제 후 삽입된 T-자관을 통하여 고선량 방사선 치료를 실시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소아 가성비장동맥 파열의 동맥색전술 치험 1예 (Arterial Embolization for the Ruptured Splenic Artery Pseudoaneurysm in a Child)

  • 한석주;이도연;한애리;최기홍;오정탁;최승훈;황의호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6권2호
    • /
    • pp.143-148
    • /
    • 2000
  • Pseudoaneurysm of the splenic artery may arise from a vascular erosion by a surrounding inflammatory processes in acute and chronic pancreatitis. Rupture of the pseudoaneurysm may threaten the patient's life. Conservative management for massive hemorrhage may cause 100 percent mortality and even with prompt therapy there is a high mortality. Preoperative detection of bleeding source is desirable because of the difficult identification of the bleeding site at laparotomy. Angiographic identification and embolization of the hemorrhagic vessels in selected cases may obviate the risk of urgent surgery. The authors have recently managed a case of ruptured splenic artery pseudoaneurysm combined with a pancreatic pseudocyst in a 6 years old boy. A bolus enhanced CT scan and angiography confirmed the diagnosis. We managed this child successfully with the urgent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followed by elective surgery.

  • PDF

간동맥 화학색전술 후 시술부위의 모래주머니 적용무게에 따른 효과 (The Effect of the Weight of a Sandbag on the Sheath Region after a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 차경숙;고지운;이기령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4-33
    • /
    • 2017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exudate and bleeding incidence and the changes in back pain and discomfort based on the weight of a sand bag applied to the femoral puncture site after hepatic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Methods: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comprised 82 patients randomly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groups. Experimental group 1 patients had a 600g sandbag, experimental group 2 patients an 800g sandbag, and control group patients a 1900g sandbag, on femoral access sites post procedure. The three groups of patients were assessed on level of exudate and bleeding and asked about back pain and discomfort at 30, 60, 120, 180 and 240 minutes after the procedure.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udate and bleeding between the three groups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sandbag post procedure. Both back pain and discomfort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bleeding and exudation due to the weight of the sandbag. The lowest level of back pain and discomfort was found in the group with the lightest weight (600 g). Therefore, the use of lighter-weight sandbags to prevent post procedure vascular complications is proposed.

  • PDF

간세포암의 간동맥 화학색전술 후 발생한 급성 폐손상 1예 (A Case of Acute Lung Injury Complicated by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 조세행;김주항;김병수;장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5호
    • /
    • pp.781-786
    • /
    • 1995
  • 간세포암에 이환된 61세 남자에서 lipiodol과 doxorubicin을 이용하여 간동맥 항암 화학 색전술을 시행하였고 3일 후 급성 호흡 부전증이 발병하였으며 임상 양상 및 방사선학적 소견상 급성 폐부종 및 폐렴에 의한 급성 폐손상에 합당하였다. 감염, 혈전 및 종괴에 의한 폐색전증, 울혈성 심부전에 의한 급성 호흡 부전증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하여 혈액, 객담 배양 검사를 시행하였으나 균주는 동정되지 않았고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 복부 핵자기 공명 영상, 심 초음파 등을 시행하였으나 심장이나 하대 정맥에서 종괴나 혈전을 발견할 수 없었으며 심기능은 정상이었다. 상기 소견으로 본 환자의 급성 호홉 부전증의 원인으로서 lipiodol에 의한 폐 지방전색증을 추정하게 되었다. 환자는 보전적 요법을 시행받고 증상 발현 4주 후 임상증상 및 흉부 단순 촬영상 호전을 보여 퇴원하였다. 저자 등은 lipiodol과 doxorubicin을 이용하여 간세포암의 화학색전술을 시행 후 lipiodol에 의한 폐지방 색전증이 원인인 급성 폐손상이 발생한 종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Successful emergency transcatheter aortic valve implantation

  • Lee, Jung-Hee;Ji, Ah-Young;Kim, Young Ju;Song, Changho;Jin, Moo-Nyun;Kim, Sun Wook;Hong, Myeong-Ki;Hong, Geu-Ru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1권2호
    • /
    • pp.144-147
    • /
    • 2014
  • Despite the necessity of surgical aortic valve replacement, many patients with symptomatic severe aortic stenosis (AS) cannot undergo surgery because of their severe comorbidities. In these high-risk patients, percutaneous transcatheter aortic valve implantation (TAVI) can be safely accomplished. However, no study has shown that TAVI can be performed for patients with severe AS accompanied by acute decompensated heart failure. In this case report, 1 patient presented a case of severe pulmonary hypertension with decompensated heart failure after diagnosis with severe AS, and was successfully treated via emergency TAVI. Without any invasive treatment, acute decompensated heart failure with severe pulmonary hypertension is common in patients with severe AS, and it can increase mortality rates. In conclusion, TAVI can be considered one of the treatment options for severe as presented as acute decompensated heart failure patients with pulmonary hypertension.

POST-TAVR ECG 기반의 PPI 예측 모델 연구 (Research of PPI prediction model based on POST-TAVR ECG)

  • 송인서;양세모;이강윤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29-38
    • /
    • 2024
  • 경피적 대동맥 판막 치환술(TAVR) 후에는 인공 심박동기 삽입술(PPI)을 비롯한 TAVR 이후 합병증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며 그에 따라 정확한 예측 모델에 대한 필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이미지 의존적 방법론에서 벗어나 ECG 정보를 중심으로 예측하는 XGBoost 기반의 최적의 PPI 예측 모델을 개발했다. 이 모델은 심전도상의 특정 신호들인 DeltaPR, DeltaQRS 등을 주요 지표로 삼아, 환자의 전도 장애 및 PPI와의 연관성을 파악하며, 기존의 이미지와 ECG 데이터를 결합한 모델과 ECG 기반의 모델 보다 뛰어난 AUC 0.91 성능을 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델은 두 병원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PPI 예측 모델을 구현 및 검증하였으며, 검증 결과 ECG 데이터의 특성이 PPI 예측에 큰 영향을 미치며 95.28%의 높은 유사도를 보였다. 이로써 본 연구의 예측 모델이 다양한 병원 데이터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최적의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PPI와 각 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명확히 했으며, 고비용의 의료 이미지에 의존하지 않고 ECG 데이터를 사용하여 높은 정확도로 PPI를 예측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는 의료 결정 과정에서 인간 개입의 의존도를 줄이며, 신뢰할 수 있고 실용적인 PPI 예측 모델 개발로의 중요한 진전을 의미한다.

신경섬유종증 1형에서 발생한 파열된 상직장동맥류의 경도관 동맥 색전술: 증례 보고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of a Ruptured Superior Rectal Artery Aneurysm in Type 1 Neurofibromatosis: A Case Report)

  • 박세진;김영환;강웅래;지승우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3호
    • /
    • pp.726-732
    • /
    • 2020
  • 신경섬유종증 1형은 상염색체우성질환으로 가장 흔한 유전 질환 중 하나이다. 혈관병증은 드물게 발생할 수 있으며, 신경섬유종증 1형 혈관병증은 동맥류, 협착, 동정맥기형의 형태로 나타난다. 동맥류의 경우 자연파열과 같은 치명적인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신경섬유종증 1형과 연관된 하장간막동맥류의 파열로 인한 장간막출혈은 매우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신경섬유종증 1형에 의한 방추형 상직장동맥류의 자발적 파열로 내원한 56세 여성환자에서 코일을 이용한 경도관 동맥 색전술을 시행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체-폐동맥루의 혈관 내 치료: 증례 보고 (Endovascular Treatment of a Systemic-to-Pulmonary Artery Fistula: A Case Report)

  • 이은별;심동재;김도영;이정휘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3호
    • /
    • pp.682-687
    • /
    • 2021
  • 체-폐동맥루는 주로 외상, 감염, 종양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으나 위험 인자가 없는 환자에서 생기는 체-폐동맥루는 매우 드물다. 이들은 감염이나 출혈 혹은 폐 고혈압 등을 유발할 수 있어 치료가 필요하다.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한 67세 여자 환자에서 늑간동맥-폐동맥루가 발견되었다. 먼저 배출혈관인 확장된 폐동맥으로 역행성으로 접근하여 코일 색전술로 치료하였으나 5개월 후 인접폐동맥의 확장이 관찰되어 공급동맥인 늑간동맥을 N-butyl cyanoacrylate를 이용하여 색전하였다. 10개월 추적검사에서 환자의 증상과 확장된 폐동맥은 호전되었다. 체-폐동맥루를 치료에서 순차적 혹은 동시에 역방향과 순방향 접근으로 혈관 내 치료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겠다.

Low Contrast and Low kV CTA Before Transcatheter Aortic Valve Replacement: A Systematic Review

  • Spencer C. Lacy;Mina M. Benjamin;Mohammed Osman;Mushabbar A. Syed;Menhel Kinno
    • Journal of Cardiovascular Imaging
    • /
    • 제31권2호
    • /
    • pp.108-115
    • /
    • 2023
  • BACKGROUND: Minimizing contrast dose and radiation exposure while maintaining image quality during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CTA) for transcatheter aortic valve replacement (TAVR) is desirable, but not well established. This systematic review compares image quality for low contrast and low kV CTA versus conventional CTA in patients with aortic stenosis undergoing TAVR planning. METHODS: We perform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o identify clinical studies comparing imaging strategies for patients with aortic stenosis undergoing TAVR planning. The primary outcomes of image quality as assessed by the signal-to-noise ratio (SNR) and contrast-to-noise ratio (CNR) were reported as random effects mean difference with 95% confidence interval (CI). RESULTS: We included 6 studies reporting on 353 patien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cardiac SNR (mean difference, -1.42; 95% CI, -5.71 to 2.88; p = 0.52), cardiac CNR (mean difference, -3.83; 95% CI, -9.98 to 2.32; p = 0.22), aortic SNR (mean difference, -0.23; 95% CI, -7.83 to 7.37; p = 0.95), aortic CNR (mean difference, -3.95; 95% CI, -12.03 to 4.13; p = 0.34), and ileofemoral SNR (mean difference, -6.09; 95% CI, -13.80 to 1.62; p = 0.12) between the low dose and conventional protocols. There was a difference in ileofemoral CNR between the low dose and conventional protocols with a mean difference of -9.26 (95% CI, -15.06 to -3.46; p = 0.002). Overall, subjective image quality was similar between the 2 protocols. CONCLUSIONS: This systematic review suggests that low contrast and low kV CTA for TAVR planning provides similar image quality to conventional CTA.

경피적 동맥관 폐쇄술에서 최근의 기구들의 전략적 이용과 결과 (A new strategy for transcatheter closure of patent ductus arteriosus with recent-generation devices)

  • 김상이;이수현;김남균;최재영;설준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4호
    • /
    • pp.488-493
    • /
    • 2009
  • 목 적 : 경피적 동맥관 폐쇄술은 동맥관 개존증의 표준 치료로 시행되고 있다. 저자들은 동맥관의 최소 직경(MD)과 체혈류와 폐혈류의 비(Qp/Qs ratio)를 기준으로 하여 선택한 각각의 기구들로 경피적 동맥관 폐쇄술 시행한 후 추적 관찰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새로운 기구 선택 기준의 효용성과 안전성을 알아보았다. 방 법 : 2003년 2월부터 2006년 1월까지 본원에서 동맥관 개존증을 진단받고 동맥관의 크기 및 Qp/Qs 비에 따라 CDC, PNO, ADO를 선택하여 경피적 동맥관 폐쇄술을 시행받은 13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2000년 2월부터 2003년 1월까지 본원에서 DO, PNO로 경피적 동맥관 폐쇄술을 시행받은 89명의 환자들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시술 전 환자의 임상적, 혈역학적 지표들을 확인하였고 시술 후 1일, 1개월, 6개월, 12개월, 그리고 12개월 이후 잔류 단락 유무 및 합병증을 평가, 비교하였다. 결 과 : 대상군 138명 모두에서 시술에 성공하였고 기구 색전도 없었으며 시술 후 12개월 이후 잔류 단락이 남아있지 않았다. 주요 합병증의 빈도는 대상군 138명 중 0명(0%), 대조군 89명 중 7명(7.9%)이었고(P<0.05) 전체 합병증의 빈도도 대상군 138명 중 2명(1.4%), 대조군 89명 중 8명(9.0%)으로(P=0.001) 대상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의미 있게 합병증의 빈도가 낮았다. 결 론 : 과거에 경피적 폐쇄가 어려웠던 큰 크기의 동맥관 개존에 ADO를 사용하게 되고 이전 기구들의 단점들이 개선된 최근 기구들을 각각의 특성에 적합하게 전략적으로 선택하여 시술함으로써 경피적 동맥관 폐쇄술의 결과가 향상되었고 더욱 안전하고 완전한 효과를 나타내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