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Tree

검색결과 501건 처리시간 0.026초

전통재식 행단(杏壇)의 원형과 세종리 은행나무의 천연기념물적 가치 연구 (A Study on the Traditional Planting Prototype of Haengdan(杏壇) and Natural Monumental Value of Ginkgo Tree in Sejong-ri)

  • 신현실;최병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6-44
    • /
    • 2020
  • 본 연구는 전통재식의 하나인 행단의 원형과 천연기념물 식물의 가치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 은행나무의 천연기념물로서의 가치를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은행나무는 높은 환경 적응력과 실용성, 관상용 가치를 지님과 동시에 유교 및 불교사상과 관련이 깊은 다수의 수목들이 그 가치를 인정받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노거수 가운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은행나무의 역사 문화적 가치를 살펴본 결과, 은행나무는 공자의 유교사상을 상징함으로써 행단, 행정의 장소성을 지니게 되었으며, 불교에서는 사찰의 창건이나 고승의 업적, 민간에서는 자손의 번영과 가풍의 계승을 염원하는 상징성을 지니고 있었다. 셋째, 행단은 1024년 공자의 손자인 공도보가 사당 개축 가운데 단을 설치하고 은행나무를 식재하고 "행단"이라 명명한데서 비롯되었다. 그 후 명대 왕재진의 행단시(杏壇詩)에 행단의 수목을 홍행(紅杏)으로 기록하여 살구나무로 변용하였으나 이는 은행나무와 한자의 독음이 같은 이유에서 온 오류와 도교사상의 영향으로도 볼 수 있으나 한국은 최초의 은행나무를 사용한 행단을 고수해왔다. 넷째, 생물학적으로 세종리 은행나무는 암수 한 쌍의 구성이 특징적이며, 경관적으로도 용트림 형상의 수나무와 수직형태의 암나무가 대비를 이루고 있다. 또한 진정성과 완전성 측면에서 고려시대 충신 임난수 장군과 은행나무의 관련성이 여러 문헌에서 확인되고 있다.

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 소장 전통 목가구의 연륜연대 및 수종 분석 (Analysis of Species and Tree-Ring Dating of Traditional Furniture in Forest Museum of Korea National Arboretum)

  • 이현채;이광희;황근연;이해주;김희채;김성식;손병화;남태광;김요정;박원규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4-94
    • /
    • 2012
  • We present the species and the dendrochronological dates of Korean traditional furniture in Forest Museum Collection of Korea National Arboretum. Seven of thirteen were successfully dated. Chest with a flap door (84-55-1) was dated A. D. 1623. Others dated were cabinet (83-41-1: A. D. 1759), Chest with a turnover door (83-39-1; A. D. 1801), Cabinet with two horizontal section (88-39; A. D. 1843), Rice chest (82-27-3; A. D. 1849), Cabinet with two horizontal section (83-40-2; A. D. 1877), Chest with a flap door (84-50; A. D. 1918). Most of existing cabinets were made in 1800s. The 84-55-1 chest was one of the earliest pieces of furniture in the collections of Korea museums. The furniture is usually composed one species. The major species was Pinus densiflora. Bedside cabinet (83-41-1) and Cabinet with two horizontal section (88-39) were made from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Becasue they were dated by the tree-ring chronology of Mt. Bekdu, the timber of their boards could be from the area of Mt. Bekdu.

  • PDF

전통목가구의 연륜연대측정 : 장(欌)과 반닫이 사례연구 (Tree-Ring Dating of Korean Traditional Furnitures: A Case Study on Cabinet and Chest)

  • 박원규;김요정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3호통권131호
    • /
    • pp.1-10
    • /
    • 2005
  • 우리나라 고건축 연구에 성공적으로 적용된 연륜연대측정법을 전통 목가구에 응용하고자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장(欌) 1점과 반닫이 1점에 대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표준연대기와 크로스데이팅 결과 각각 1839년, 1904년의 절대연대가 마지막 나이테에 부여되었다. 수피가 있는 장은 1839년에 벌채된 나무로 제작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닫이는 수피부분이 없어 가공시 없어진 변재부의 나이테 수를 고려하였을 때, $1930{\pm}10$년에 벌채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반닫이의 경우는 연륜연대에 의해 목재의 산지가 설악산 지역임이 밝혀져 '강원도반닫이'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연륜연대측정법을 이용하여, 양식에 근거를 둔 기존의 미술사적 접근과는 다른 자연과학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전통 목가구의 편년을 확립할 수 있음을 제시하여 주었다.

진화 알고리듬을 위한 새로운 트리 표현 방법 (A New Tree Representation for Evolutionary Algorithms)

  • 석상문;안병하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19
    • /
    • 2005
  • The minimum spanning tree (MST) problem is one of the traditional optimization problems. Unlike the MST, the degree constrained minimum spanning tree (DCMST) of a graph cannot, in general, be found using a polynomial time algorithm. So, finding the DCMST of a graph is a well-known NP-hard problem of importance in communications network design, road network design and other network-related problems. So, it seems to be natural to use evolutionary algorithms for solving DCMST. Especially, when applying an evolutionary algorithm to spanning tree problems, a representation and search operators should be considered simultaneously. This paper introduces a new tree representation scheme and a genetic operator for solving combinatorial tree problem using evolutionary algorithms. We performed empirical comparisons with other tree representations on several test instances and could confirm that the proposed method is superior to other tree representations. Even it is superior to edge set representation which is known as the best algorithm.

전통정원에서 '오동(梧桐)'의 수종, 식재 위치와 경관적 활용 (Species, Planting Position and Scenic Utilization of 'Paulownia Tree(梧桐)' in the Traditional Garden)

  • 홍형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0-30
    • /
    • 2013
  • 인류 문명과 함께해 온 나무 중 하나인 '오동'은 정원수로도 널리 사용되어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전통 정원에 '오동'이 어디에 어떻게 식재되었는가? 또 그로부터 취한 효용성은 무엇이었는가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규명하고자 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전통 정원에서 '오동나무'와 '벽오동' 등 수종을 명확히 구분하고, 또 이들을 방위에 따라 가려서 식재하였는가? 둘째, 의기(宜忌)에 준해서 정전(庭前)에 오동나무 식재를 금기시했다면 어떤 위치에 식재하였는가? 셋째, 옛 사람들은 왜 오랜 기간에 걸쳐 오동을 즐겨심고 가꾸었으며, 이를 통해 어떠한 효용을 취하고자 했는가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여러 사료들에 담긴 내용과 의미를 고찰하고 해석하는 기술(description)적 연구방법이 사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백과사전류와 농서, 원예서 등 고문헌을 고찰한 결과, '오동'에 대한 설명이 편찬자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구체적인 수종의 구분도 모호하다. 따라서 방위에 따라 '오동'의 수종을 가려서 식재하는 등의 제한이 적용되지는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오동'의 식재와 관련된 의기 사항은 "산림경제"가 아닌 "증보산림경제"와 "임원경제지"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2. 옛 정원을 묘사한 시문을 통해서도 오, 동, 오동, 벽동 등의 어휘가 큰 구분 없이 사용되었음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정원에 도입된 '오동'의 수종은 오동나무와 벽오동을 비롯해 개오동나무도 활용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3. '오동' 식재와 관련된 의기 사항이 보편적으로 적용되지는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정전(庭前)' 즉, 뜰 앞이나 뜰 가 등 집 가까이에도 오동이 즐겨 식재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4. 옛 정원의 정원수로서 오동의 효용성은 '가을의 전령'으로서 계절감을 강조하는 수목으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5. 오동은 일시적 경관의 정취를 더하는 수목으로서의 효용성도 있었다. 즉, 옛 사람들은 '달'과 가장 잘 어울리는 사물을 '오동'이라고 보았고, 이 둘이 병치된 운치를 즐겼다. 또 '오동'은 잎에 떨어지는 빗소리를 즐기는 등 비오는 날의 정취를 더해주는 수목 중 하나로 활용되었다. 본 연구의 한계는 많은 한문 자료 중 번역물에 국한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점이다. 추후 연구과제는 새로운 사료의 발굴과 번역 성과물이 축적됨으로써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산림지역 수목의 기하학적 구조 측정을 위한 휴대용 라이다 장비의 활용성 평가 (Assessment on the Applicability of a Handheld LiDAR for Measuring the Geometric Structures of Forest Trees)

  • 최승운;김태근;김종필;김성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48-5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흉고직경, 수고 등 산림지역 수목의 기하학적 구조 측정을 위한 휴대용 라이다 장비의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휴대용 라이다 장비의 정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태백산국립공원 내 대상지역(30m×30m)을 선정하고 매목조사를 통해 흉고직경과 수고를 측정하였다. 또, 라이다 장비의 활용성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 편향, 평균제곱근오차, 절대평균오차, 상관계수 등 4가지 통계지표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흉고직경의 경우 매목조사와 휴대용 라이다 장비를 이용한 측정치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휴대용 라이다 장비는 기존의 조사방식을 대체하기에 충분하였다. 그러나, 매목조사에 의한 수고 측정치는 다양한 오차를 포함하고 있어 라이다의 정확도를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향후 보다 신뢰성 있는 수고 측정방법을 통해 수집된 자료로부터 라이다 장비의 정확도를 평가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조경식재를 통한 농촌마을 경관조성에 관한 연구 - 함안군 여항면 내곡리를 사례로 - (Landscape Design for the Rural Village - A Case Study of Naegokri, Yeohang-myeon, Haman-gun -)

  • 김상범;이승주;이상영
    • 농촌계획
    • /
    • 제14권1호
    • /
    • pp.59-71
    • /
    • 2008
  • The landscape commonly refers to the appearance of the land, including its shape, texture, and colours. Among many factors contributing to the landscape, tree and plants factors playa significant role in rural landscape as a colours. Therefore the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 where had been designated under the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 since 2007 in Naegok-ri, Eohang-myeon, Haman-gun has planned to design the tree plant planning for creating a unique rural landscape. The landscape proposal for the new Rural Village in Naegokri, Yeohang-myeon, Haman-gun suggests three main strategies; 1) The riverside area and reservoir area adjoined forest was required to be prepared to offer organization waterside landscape and forest landscape through landscape planting and selecting trees i.e. able to reflect sense of the season that promote high quality values of landscape area in rural. 2) The area adjoined stable was required to strengthen the screen planting and buffer planting with multiple plant layer structure and trees of branches and leaves closeness, shrubs of beauty flowers in order to improve disamenity landscape and odours. 3) The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 adjoined entrance was required to open space such as multipurpose garden, specialized or themed garden which include Landmark factors and prepared to the space with the various theme and visual diversity in order to take charge of function as landmark characteristic in Naegok-ri, Eohang-myeon, Haman-gun, and so on. In conclusion, this winning principal purpose of this study is applied to basic tree plant model for sustainable rural landscape creation in rural areas by selecting beautiful landscape plants and the tree plant planning.

온톨로지 트리기반 멀티에이전트 세만틱 유사도매칭 알고리즘 (A Multi-Agent Improved Semantic Similarity Matching Algorithm Based on Ontology Tree)

  • ;조영임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1027-1033
    • /
    • 2012
  • Semantic-based information retrieval techniques understand the meanings of the concepts that users specify in their queries, but the traditional semantic matching methods based on the ontology tree have three weaknesses which may lead to many false matches, causing the falling precision. In order to improve the matching precision and the recall of the information retrieval, this paper proposes a multi-agent improved semantic similarity matching algorithm based on the ontology tree, which can avoid the considerable computation redundancies and mismatching during the entire matching proces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performed on our algorithm show improvements in precision and recall compared with the information retrieval techniques based on the traditional semantic similarity matching methods.

FT의 빠른 신뢰도계산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rapid calculating of reliability for Fault Tree)

  • 이일재;이광원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80-190
    • /
    • 1997
  • A new method in the fault tree analysis (FTA) for the reliability calculation is suggested. Two steps are necessary in traditional method in evaluation of the occurrence probability of top event in fault tree (FT). The first step is to find the minimal outsets, and the second one is to substitute the result into the poincare equation. In order to reduce the enormous computing time of this method, lots of rapid algorithms have been developed. Almost of all achievements were, however, based on the partial structural properties of FT. In this paper, the FT is transformed to a non-linear graph G which has the same minimal outsets of original n, and then the reliability is calculated using the domination theory. In this new method, the required number of equation terms are at most $2^n$ (n is node number of graph G), while $2^m$-1 (m is the number of minimal cutsets) calculation terms are required in the poincare equation in traditional method. Since m>>n in general. our new method reduces the calculation time significantly.

  • PDF

농촌지역 노거수의 지속가능한 보전을 위한 평가체계 개발 연구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System for the Sustainable Conservation of Old Tree in Agricultural Landscape)

  • 손진관;김미희;이시영;강동현;김남춘;강방훈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59-69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e an evaluation system for sustainable conservation of old trees with historic and traditional values in rural areas. Existing evaluation system was modified through field application of 10 old trees and expert research twice for development of new evaluation system. 4 evaluation items in 10 evaluation items were deleted by first expert research. Some items are proposed to offer a figure explanation by second expert research. End-developed evaluation items are consisted of 6 items ((1) Ground State, (2) Blight, Harmful Insects, (3) Tree Form, (4) Canopy Vitality, (5) Bark, (6) Damage) reflecting the order of importance evaluation. Old trees evaluation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continuously to conserve the old trees in the rural areas and gradually help to increases the historic and traditional val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