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e-Ring Dating of Korean Traditional Furnitures: A Case Study on Cabinet and Chest

전통목가구의 연륜연대측정 : 장(欌)과 반닫이 사례연구

  • Park, Won-Kyu (School of Forest Resour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Yo-Jung (School of Forest Resour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박원규 (충북대학교 산림과학부) ;
  • 김요정 (충북대학교 산림과학부)
  • Received : 2005.02.04
  • Accepted : 2005.05.02
  • Published : 2005.05.25

Abstract

Tree-ring chronologies can be used to date historical buildings or furnitures by matching them with chronologies of living trees. Tree-ring dating gives a calendar year to each tree ring and produces the cutting dates of logs or woods. In this study, we intend to extend our tree-ring dating applications to Korean furnitures. As a case study, we examined two traditional furnitures, one cabinet 'Jang' and the other chest, 'Bandaji'. The cutting date of the cabinet woods was A.D. 1839. The date of the outmost ring in the chest was A.D. 1904. Due to no bark present, the cutting date of the chest was only estimated as $1930{\pm}10$ by 'sapwood rings' estimation method. Ring-width pattern of the latter one also indicated that the origin of the chest must be Kangwon province. This case study suggests that tree-ring dating would be a useful and accurate method to identify the critical dates for the chronicles of Korean traditional furnitures.

우리나라 고건축 연구에 성공적으로 적용된 연륜연대측정법을 전통 목가구에 응용하고자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장(欌) 1점과 반닫이 1점에 대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표준연대기와 크로스데이팅 결과 각각 1839년, 1904년의 절대연대가 마지막 나이테에 부여되었다. 수피가 있는 장은 1839년에 벌채된 나무로 제작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닫이는 수피부분이 없어 가공시 없어진 변재부의 나이테 수를 고려하였을 때, $1930{\pm}10$년에 벌채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반닫이의 경우는 연륜연대에 의해 목재의 산지가 설악산 지역임이 밝혀져 '강원도반닫이'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연륜연대측정법을 이용하여, 양식에 근거를 둔 기존의 미술사적 접근과는 다른 자연과학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전통 목가구의 편년을 확립할 수 있음을 제시하여 주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학술진흥재단

References

  1. 김삼대자, 1994. 전통목가구. 대원사. 서울
  2. 김요정, 박원규. 2004. 나무나이테를 이용한 전통가구 재질 분석과 제작연대측정-조선 후기 사례연구. 한국문화재보존학회 제19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서울, pp.22-27
  3. 김희수, 김삼기. 2003. 목가구. 국립민속박물관. 서울. p.627
  4. 박상진. 2000. 출토 및 목조문화재의 수종. 목조문화재와 전통종이의 수종과 재질에 관한 국제세미나 프로시딩. 충북대 농업과학기술연구소. 청주. pp.1-7
  5. 박영규. 1982. 한국의 목가구. 삼성출판사
  6. 박원규, 이진호, 서정욱, 김요정. 2000, 문화재청(간). 고목재 나이테를 이용한 경회루 건축연대측정과 재질분석. 경회루 실측조사 및 수리보고서. pp.326-332, 밀알기획, 서울
  7. 박원규, 손병화, 한상효, 2003. 창경궁 통명전 목부재의 연륜연대 측정-방에서 마루로 변형된 시기규명을 중심으로. 건축역사연구 35: 53-63
  8. 배만실. 1998. 이조목공가구의 미(2판). 보성문화사. 서울. p. 276
  9. 손병화, 김요정, 박원규. 2004. 고목재의 연륜연대 측정을 위한 소나무 변재부의 연륜개수 추정. 한국목재공학회 2004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속초 pp. 228-230
  10. 이종석. 1986. 한국의 목공예 (상, 하). 열화당, 서울
  11. 정대영. 1998. 한국의 장. 동인방, 서울. p. 246
  12. Baillie, M. G. L. 1982. Tree-Ring Dating and Archaeology. Croom Helm, London and Canberra. p. 274
  13. Schweingruber, F. H. 1988. Tree Rings: Basic and Applications of Dendrochronology. D. Reidel Pub. Co., Dordrecht, Holland. p. 276
  14. Stokes, M. A. and T. L. Smiley, T. L. 1968. An Introduction to Tree-Ring Da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 73
  15. 光谷拓實. 2001. 年輪年代法と文化財. 日本の美術 No. 421(2001年6月), 至文堂, 東京. p.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