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Korean instruments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3초

단소의 비브라토 특성 분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danso vibrato tones)

  • 방희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552-558
    • /
    • 2023
  • 국악의 관악기 중 하나인 단소의 요성, 즉 비브라토의 특성은 연구가 많이 되지 않은 분야이다. 본 연구에서는 단음 및 연주곡 음원을 이용하여 단소 비브라토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비브라토음들에 대해 시간에 따른 intonation, vibrato rate, vibrato extent 값을 측정하였고, 비브라토음별로 평균치도 산출하였다. Vibrato rate 결과에서는 비브라토의 속도가 느리게 시작된 후 빠르고 크게 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음별 평균치들은 매우 넓은 범위를 가지는 것으로 관측되었는데, 이상의 결과는 서양 음악과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단음과 연주곡은 vibrato rate와 vibrato extent 결과에서 다소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악기에서 비브라토의 intonation, vibrato rate, vibrato extent의 결과를 수치화하여 제시한 연구는 많지 않았으며, 단소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결과는 단소 비브라토에 대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단소의 비브라토와 관련된 교육이나 단소 가상 악기, 단소 어플리케이션 등에서 참고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양금의 음악도상학적 고찰 (A Study on the Musical Iconography Consideration of Yanggeum)

  • 이유정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85-95
    • /
    • 2020
  • 악기(樂器)는 음악을 연주하는 데 쓰이는 기구로서 뿐만 아니라 음악적, 역사적 또는 사회적 맥락에서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양금은 사다리꼴 모양의 몸통 위에 줄을 괘에 얹어 채를 이용하여 현을 쳐서 연주하는 타현악기(打絃樂器)로 고대 아라비아와 페르시아에서 기원하여 세계 여러 지역에서 창조적으로 계승되어 연주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형태나 연주법의 변화 없이 원형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한국 전통양금을 음악도상학(音樂圖像學, Musical Iconography)적 연구 방법을 통해 악기에 함축되어 있는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가 악기연구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악기 본연의 이해를 높일 뿐만 아니라 악기가 함축하고 있는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음악도상학적 방법을 통한 연구를 통해 악기연구가 보다 다층적인 면에서 활성화되고 음악학의 영역이 더욱 폭넓은 측면에서 다루어지기를 바라는 바이다.

범용 디지털 신호처리기를 이용한 국악기 사운드 엔진 개발 (Sound Engine for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Using General Purpose Digital Signal Processor)

  • 강명수;조상진;권순덕;정의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29-23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TMS3320F2812 신호처리기를 이용하여 가야금과 태평소의 사운드 엔진을 구현하였다. Commuted Waveguide Synthesis (CWS) 기반의 가야금과 태평소 모델을 신호처리기에 탑재하고 악기 선택 버튼을 두어 해당 악기의 사운드 샘플을 매 일정 시간마다 합성하도록 하였다. 합성음은 SPI 통신을 이용하여 DAC로 전송되며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거쳐 스피커를 통해 재생된다. 합성 모델의 지연 라인은 합성음의 피치를 조절하는데, 이 지연라인의 길이를 결정하기 위해 GPIO를 이용하여 한 샘플을 합성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측정하였다. 가야금은 $28.6{\mu}s$, 태평소는 $21{\mu}s$가 소요되었다. 태평소와 가야금의 동시 발음수를 고려하였을 때 태평소는 동시 발음수 1을 가지므로 $21{\mu}s$, 가야금은 일반적으로 동시 발음수가 2이므로 $57.2{\mu}s$의 연산시간이 필요하다. 이는 실시간 연주가 충분히 가능한시간이다. 제안한 사운드 엔진의 경우,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에서 각 사운드 샘플의 합성과 DAC로의 전송이 일어난다.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은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타이머의 주기 매칭 이벤트를 이용하여 $60{\mu}s$마다 주기적으로 호출된다. 이와 같이 합성된 음을 녹음하여 원음과 스펙트럼으로 비교한 결과, 가야금은 원음과 매우 유사한 음을 합성할 수 있었고, 태평소는 '무(無), 황(黃), 태(太), 중(仲)' 음을 제외한 나머지 음에 대해서 태평소의 음색을 잘 표현하는 음을 합성 할 수 있었다.

배음 분석을 통한 가상악기의 음색비교 - 소금과 플룻을 중심으로 - (Virtual Instrument Tone Comparisons Through Harmonics Analysis - Focused on Sogeum and Flute -)

  • 성기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299-307
    • /
    • 2020
  • 1964년부터 국악기의 현대화, 표준화, 과학화 등을 위해 국악기에 대한 연구와 개량사업이 추진되었으나, 국악기가 가지고 있는 고질적인 문제들은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이러한 주요 원인중 하나는 국악기에 대한 악기 음향학 연구가 선행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국악기 중 협주곡이나 독주곡에서 사용하고 있는 소금은 맑은 음색과 높은 음역으로 인하여 국악관현악단에서도 서양 오케스트라에서의 플룻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악기이다. 본 논문에서는 비슷한 음색으로 들리는 소금과 플룻의 음색을 악기가 가지고 있는 배음의 분포와 구조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전체적인 음색은 소금에 비하여 플룻이 풍부하고 부드럽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고음으로 갈수록 배음들의 비슷한 구성으로 인하여 두 악기의 음색이 비슷하게 들린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추후에는 다양한 국악기들에 대한 악기 음향학적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국악기의 대중화와 세계화에 작게나마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컨탁트(Kontakt) 기반의 한국 전통 가상 악기 개발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VSTi Based on Kontakt Sampler)

  • 김병오;이정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181-188
    • /
    • 2013
  • 우리나라 전통 악기를 샘플 음원으로 만들어 활용의 편의성과 유용성을 높이려는 시도는 여러 차례 수행된 바 있다. VST 플러그인, 시퀀서, 샘플라이브러리 등 다양한 방법론이 추구되었지만 실사용으로 이어지는 않아서 추가적인 방법론 모색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런 맥락에서 우리나라 국악기 음원의 활용성을 높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음악 창작자들 사이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샘플러인 컨탁트(Kontakt)를 기반으로 하여 우리나라 전통 악기의 대표격이라 할 수 있는 해금 및 대금의 음원 샘플을 개발하였다. 다양한 음악적 표현을 가능케 하기 위해 샘플러가 제공하는 유용한 기능들과 폭넓게 호응할 수 있는 음원 개발에 주안점을 두고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주홀 특성을 적용한 악기 무대 배치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제작 (Simulation Software for Instrument Placement on Stage Based on the Acoustic Properties of Concert Halls)

  • 김완중;유원대;김근형;이기범;여운승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960-97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연주홀 특성에 맞는 무대 위에서의 악기 배치를 가상적으로 구현하는 문제를 다룬다. 악기 배치에 따른 소리의 변화를 예상하기 위한 모델로는 위치기반 잔향 효과 이론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무대 위 여러 지점에서 발생된 임펄스 응답을 측정한 후, 각 악기가 배치된 곳에 해당하는 임펄스 응답과 악기 음원을 컨볼루션하고 이를 무대 위 모든 악기에 적용하는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무대에서의 악기 위치를 지정함에 따라 실시간 분할 컨볼루션 엔진을 기반으로 이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국립국악원 내 공연장에서 측정된 임펄스 응답과 국악기 음원을 사용하여 본 프로그램의 효용성을 확인하기 위한 청취 평가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시뮬레이션 된 잔향효과가 악기 무대 배치에 따른 위치의 느낌을 잘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와이어 본더에서의 초저 루프 기술 (The Low Height Looping Technology for Multi-chip Package in Wire Bonder)

  • 곽병길;박영민;국성준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7-22
    • /
    • 2007
  • Recent new packages such as MCP(Multi-Chip Package), QDP(Quadratic Die Package) and DDP(Dual Die Package) have stack type configuration. This kind of multi-layer package is thicker than single layer package. So there is need for the low height looping technology in wirebonder to make these packages thinner. There is stiff zone above ball in wirebonder wire which is called HAZ(Heat Affect Zone). When making low height loop (below $80\;{\mu}m$) with traditional forward loop, stiff wire in HAZ(Heat Affected Zone) above ball is bended and weakened. So the traditional forward looping method cannot be applied to low height loop. SSB(stand-off stitch) wire bonding method was applied to many packages which require very low loops. The drawback of SSB method is making frequent errors at making ball, neck damage above ball on lead and the weakness of ball bonding on lead. The alternative looping method is BNL(ball neckless) looping technology which is already applied to some package(DDP, QDP). The advantage of this method is faster in bonding process and making little errors in wire bonding compared with SSB method.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 of BNL looping technology applied in assembly house and several issues related to low loop height consistence and BNL zone weakness.

  • PDF

정조(正租)의 화성행차(華城行次)에 나타난 의장(儀仗)과 복식(服飾)에 관(關)한 연구(硏究) (Honor Guards' Ceremonial and Dress by King Jung-jo Hwa-Sung Hang-Cha)

  • 이혜영;심화진
    • 패션비즈니스
    • /
    • 제6권2호
    • /
    • pp.29-40
    • /
    • 2002
  • Honor guards‘ dress represented by royal carriage parade. This thesis studies the ceremonial dress worn by the ceremonial troops during the Hwa-sung Hang-hang Ban-cha drawing (華城幸行班次圖) in the Chosun dynasty of King Jung-j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national level ceremony by closely looking into the traditional ceremonial dress and the various signs that were used at these events thereby enhancing the cultural status of the Jung-jo King period. The Hwa-sung Hang-hang Ban-cha drawing(華城幸行班次圖) has its characteristics and also has commonality between the garments worn at these ceremonies. These garments are a traditional heritage brought down from many ages before and is a reflection of the changes that have occurred within our everyday life. Among these many records the Bancha-do(班次圖) is a representation of records that show what was worn by both nobles down to the ceremonial troops. The uniforms of the ceremonial troops were not only huge in size but also very diverse according to rank and grade. They used strong true colors with colorful flags, ceremonial items and musical instruments. These all added to the grandeur of the ceremony. The ceremonial flag was itself a symbol and was the core of the whole ceremony and parade. These ceremonial flags represented the heaven, sun, moon, hill and animals as well as supernatural gods. All these showed change in shape, color and content by age and time. Also the Yongmun Gichi(Dragon flag: 龍紋旗幟) is a supernatural being representing the power and wish of the ruler. The Chunsang-mun represents the indivisibl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heaven and also a metaphor for absolute power. A close look at ceremonial instruments show a direct representation towards power such as an axe, spear and sword and integrated with other large ceremonial items not only provided a shade but was also a representation of worship. These all were a more or less representation of authority. The musical instruments expressed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ruler and maintained the marching order and also added grandeur to the parade. A summary of the ceremonial troops in the As seen above, these national ceremonies were a representation of the present power of authority and the will to rule. These ideas and the philosophy of “ruled by heaven” is represented here in the uniforms and the ceremony itself. The Bicentennial anniversary of the Nung - hang of February 1795 will be an excellent opportunity to show and inherit the tradition and recreation of our heritage. In this view we must look at the color and shape of traditional dress to be able to inherit and learn from our ancestors.

한국 아쟁(牙箏)과 중국 알쟁(軋箏)의 악기학적 고찰 (Consideration of Korean Ajaeng and Chinese Yazheng Based on Organology)

  • 이유정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217-226
    • /
    • 2020
  • 아쟁(牙箏)은 현재까지 원형적인 형태를 간직하고 있는 동아시아의 지터류 찰현악기로 전통음악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오늘날 창작 국악에서도 중요한 악기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기존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음악사적 연구의 자료가 충분치 않아 악기학적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본 연구는 아쟁의 악기학적 고찰을 위해 역사적으로 유래가 같은 중국 알쟁(軋箏)의 문헌기록과 음악도상(圖像)자료 등을 통해 지터류 찰현악기의 기원, 악기의 형태, 연주자세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중국 알쟁과 한국 아쟁은 중국의 고대 전통악기인 축(筑)의 한 형태가 기원이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동류 지터류 찰현악기이지만 중국의 알쟁은 연주되는 목적과 장소에 따라 악기 형태가 달랐고, 연주자세도 서서 어깨에 고정시키거나 악기를 지면에 수평으로 고정시켜 연주하는 방법이 있었다. 한국의 아쟁은 고려 때 중국에서 전해진 악기의 형태와 바닥에 앉아서 받침대 위에 악기를 놓고 연주하는 방식이 지금까지도 큰 변화 없이 전승되어 왔다. 이번 연구를 통해 악기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음악사적 의의를 찾아봄으로써 전통음악과 국악기에 대한 보존과 발전을 위해 작게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며, 한국과 중국 전통악기 연구자들의 학문적 교류와 공동연구를 통해 악기학에 대한 다각도적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Sensibility Image Scales for Korean Traditional Motifs

  • Chang, Soo-Kyung;Kim, Jae-Sook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Culture
    • /
    • 제5권1호
    • /
    • pp.58-66
    • /
    • 2002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e sensibility image scales for Korean traditional motifs by quantitatively measuring their images and preference and to classify them into clusters. Data were collected via a questionnaire from seven hundred twenty five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Re experimental materials were forty eight stimuli of Korean traditional motifs with different categories, interpretation types, composition types, and application objects. The instruments consisted of 7-point polar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of twenty three bipolar adjectives including preference. Data were analyzed by correspondence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R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image scales for textile patterns and dress designs using Korean traditional motifs were constructed. The axes of sensibility image scales for both textile patterns and dress designs were defined by quality level and degree of simplicity. Second, four clusters on the scale of textile patterns and two clusters on the scale dress designs were identified. Third, in the case of textile Patterns, the preferred cluster had high-quality and classical images, while the cluster that was not preferred had a complex image. In the case of dress designs, the preferred cluster had simple and high-quality images, while the cluster that was not preferred had complex and low-quality imag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