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Dance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24초

전통춤의 전승 패러다임 현상에 관한 연구 - 이동안류 진쇠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aradigm Phenomenon of Traditional Dance - Focusing on the Jinsoechum by Lee Dong An)

  • 봉정민;최지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961-969
    • /
    • 2021
  • 한국춤의 역사적 흐름에서 한국 전통춤은 근대화 과정으로 인한 무대무용으로의 전환, 전통춤의 유형화 작업, 전통춤의 재구성 또는 재창작화라는 변화의 과정을 거치며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한국 전통춤 전승에 있어서 시대성을 반영한 재구성·재창작화 경향은 2000년대 이후 전통춤 공연 현장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전통춤 공연은 원형복원과 보존을 수행하는 공연과 시대성을 반영한 전통춤 진화 현상이라는 두 가지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통춤이 전승되는 형태의 변화와 전통춤이 진화하는 과정에 대한 연구이며, 그중 이동안류 진쇠춤의 전승패러다임의 변화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전통춤의 전승 패러다임의 변화는 원형이 가지고 있는 의의나 형태가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시대적 흐름을 통해 무대화 되었다는 점에서 시대적인 관점을 수용하고 전통춤의 현대화를 꾀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다양한 구성방식의 활발한 변화가 수행되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전통춤의 전승 패러다임은 미래 지향적인 전통춤의 전승 방안으로서 새로운 면모를 제시하는 등 다양한 방향성을 유도 한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인정할 수 있다고 하겠다.

율동적 동작 훈련이 여성 노인의 균형, 걸음걸이, 하지 근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Dance Movement Training on Balance, Gait and Leg Strength in Home Bound Elderly Women)

  • 전미양;최명애;채영란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647-658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dance movement training on balance, gait and leg strength in elderly women who are forced to remain at home. Fifteen elderly women of an experimental group between the ages 65 and 75 years who have normal vision and passed the hearing and Romberg test, participated in the 12 weeks' dance movement training. Fourteen subjects of a control group were selected. Korean traditional dance movement training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music by the authors. It took approximately 50 minutes to perform the dance movement program.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al group practiced dance training for 3 times a week during 12 weeks. During the 50 minutes workout, the subjects practiced 15 minutes of a warm-up dance, 25 minutes of a conditioning dance, and 10 minutes of a cool-down dance. The intensity for the conditioning phase was between 60% and 65% of age-adjusted maximum heart rates. The balance, gait and leg strength were measured prior to and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Total balanc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Scores of sternal nudge, one leg standing balance and reaching up among 13 items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dance movement training. Total scores of gait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following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movement training.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in step height, path deviation and turning while walking among 9 items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following 12 weeks of dance movement training. The leg strength of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following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movement training. The balance, gait and leg strength have significantly correla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following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movement training. Th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traditional dance movement training can improve balance, gait and leg strength in home bound elderly women.

  • PDF

우리춤 체조가 노인여성의 정신건강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Exercise upon Ment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Women)

  • 김영희;한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3082-3087
    • /
    • 2011
  • 본 연구는 우리춤 체조가 노인여성의 정신건강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된 연구로 60세 이상 노인여성 180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우리춤 체조 실시군 90명, 대조군 90명이 편의 표집되었으며 우리춤 체조 실시군과 대조군에게 간이정신검사-90-개정판과 주관적 삶의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여성에게 우리춤 체조 실시는 정신건강과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정신건강의 하위영역 중 우리춤 체조 실시군에서 신체화, 강박증, 우울, 정신건강 전체심도지수 증상이 의미있게 낮게 나타났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대상자의 정신건강과 삶의 만족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경제상태였으며, 경제상태가 높은 군이 삶의 만족도, 정신건강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승무의 연구 동향과 과제 : 1978년~2021년 국내 전문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Seungmu's Research Trends and Project : For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from 1978 to 2021)

  • 최석권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01-207
    • /
    • 2022
  • 본 연구는 1978년에서 2021년 국내 학술지에 수록된 승무 연구동향을 분석 하였다. 한국 전통춤 승무는 우리 민족생활의 변화와 함께하며 한민족의 얼과 기술적인 가치를 지닌 민초들의 생활상을 반영하는 예술이다. 승무는 유구한 세월동안 전승되었으며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전통춤으로 자리잡았다. 학술적인 부분에서도 수많은 양질의 연구논문들이 많이 보고되었다. 승무 춤의 동향분석은 지속 가능한 전통문화 유산인 승무 춤의 계승과 보존 발전을 공고히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며, 아울러 다양한 승무 춤 관련 선행연구들을 정리해보는 과정으로 한국 전통춤의 활성화 및 대중화에 기초를 닦는 의미 있는 과정이라 생각한다.

한국 전통춤 전수교육의 경험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국가무형문화재 승무, 살풀이춤, 태평무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ecognition of Experience of Passing Down Educ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Focusing on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Seungmu, Salpurichum and Taepyeongmu-)

  • 이순화;안병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22-134
    • /
    • 2019
  • 이 연구는 한국 전통춤의 특성을 개념화하고 승무, 살풀이춤, 태평무 전수교육 경험과정에서 나타난 인식을 탐색하고 범주화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20년 이상 한국 춤 경력과 3년 이상 전통춤 이수자 각 2인씩 총6인을 선정하여 전수교육에서 경험한 전통춤 특성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체험인식을 중심으로 연계하였다. 심층면담 및 집단토론 내용을 토대로 귀납적 영역분석을 시도하였으며, 분석의 핵심은 구성주의와 경험이론을 토대로 전통춤의 본질과 특성, 전수교육의 상호작용과 경험인식, 레퍼토리별 전승의 교육적 토대와 비전을 분석틀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레퍼토리별 이수자들이 공감하는 한국 전통춤의 특성은 신명체험과 즉흥성, 최상의 절제미와 최고의 표현미로 나타났다. 둘째, 전수교육의 경험인식은 (1)과정중심의 상호소통 (2)전승을 위한 새로운 교육체계 (3)공감을 위한 사회적 담론형성이다. 결론적으로 기능전수라는 전통춤 전수교육의 체험과 전승을 위한 새로운 비전은 상호소통과 경험인식의 합리성에 공감하고, 연구결과는 전통춤 전수교육의 유용성과 창의적 요인들로 구분되어 교육적 측면과 연계하여 논의되었다.

한국 전통춤의 전승 및 보급을 위한 이러닝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Learning System of Korean Traditional Dance for Transmission and Dissemination)

  • 이종욱;이지현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5-11
    • /
    • 2017
  • 한국 전통춤은 인류의 문화적 자산으로 문화적 활용가치를 가지고 있지만 전수희망자의 부족과 대중적인 무관심으로 소멸의 위기에 처해 있다. 네트워크 기술과 영상매체 기술을 활용한 전통춤의 이러닝(E-Learning)은 위에서 제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이 연구는 전통춤 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이러닝 교육과정 및 실시간 이러닝 교육시스템들을 제안하였다. 시스템들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 사용자 평가법에 따라 비교평가하고 피드백 및 교육경험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전통춤의 실시간 이러닝 교육시스템을 제안함으로써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고 새로운 매체 경험을 통해 무형문화재로서 전통춤을 전승, 보급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율동적 동작(Dance movement) 훈련이 노년기 여성의 생리, 심리적 변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Dance Movement Training on Psychophysiological Variables in Korean Elderly Women)

  • 전미양;최명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833-852
    • /
    • 1996
  • Regular long term dance movement could be one of ways to induce improvement of psychophysiological variables, resulting in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to evaluate the effect of dance movement training on both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in the elderly. This study was focus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dance movement training on psychophysiological variables-body weight, body fat, lean body mass,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gility, resting heart rate and blood pressure,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in Korean elderly women. Thirty four subjects, aged between 65 and 75years who have normal cognition, sensory function, cerebellum function, cardiovascular funct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Seventeen experimental group subjects were selected from E-elderly university in Kyung Gi province, and Seventeen control group subjects were selected from N-welfare facility in Seoul City. Seventeen experimental group subjects participated for 12weeks dance movement program. Korean traditional dance movement program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music by the author. The program consisted of approximately 50minutes of dance, 3times a week for 12weeks. During 50minutes workout, there were 15minutes of warm-up dancing, 25minutes of conditioning dance and 10minutes of cool-down dancing. The intensity for the conditioning phase was at between 60% and 65% of age-adjusted maximum heart rates. The body weight, body fat, lean body mass, muscle strength(grip strength, leg strength),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gility, resting heart rate and blood pressure,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were measured prior to and following the experimental treatment. The participants in dance movement were interviewed focusing on subjective feeling following 12 week's regular dance movement. Data were analyzed with mean, standard deviation, percentage of change, X²-test, t-test, and ANCOVA test using SPSS PC/sup +/ program. Subjective feeling was categorized into cognito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The body weight (F=15.52, p=.000), body fat (F=18.33, p=.000) and lean body mass (F=7.28, p=.011)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following the dance movement training. 2) The leg strength (F=30.96, p=.000), muscle endurance (F=9.06, p=.005), agility(F=44.92, 000), flexibility(F=6.84, p=.014)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following the dance movement train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grip strength(F=.43, p=.515)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3) The heart rate(F=26.96, p=.000), systolic (F=10.40, p=.000) and diastolic(F=3.99, p=.005) blood pressure at r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following the dance movement training. 4)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score of depression (F=3.49, p=.071) was observed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5) Score of life satisfaction of experimental group was remarkab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following 12weeks of dance movement training (p<0.05). 6) Thematic responses about the dance movement following the training were positive. "I feel good" was the most frequent among cognitopsychological responses and "I feel lightness of body" was the most frequent among physiological responses. Th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traditional dance movement training can improve psychophysiological variables of Korean elderly.

  • PDF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Balinese Costume - Focus on the Legong Dance Costume -

  • Langi, Kezia-Clarissa;Park, Shinmi
    • 복식
    • /
    • 제67권4호
    • /
    • pp.38-57
    • /
    • 2017
  • Traditional costume in Indonesia represents identity of a person and it displays the origin and the status of the person. Where culture and religion are fused, the traditional costume serves one of the most functions in rituals in Bali.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Balinese costumes by focusing on the Legong dance costume. Quantitative research was performed using 332 images of Indonesian costumes and 210 images of Balinese ceremonial costumes. Qualitative research was performed by doing field research in Puri Saba, Gianyar and SMKN 3 SUKAWATI(Traditional Art Middle School). The paper illustrates the influence and structure of Indonesian traditional costume. As the result, focusing on the upper wear costume showed that the ancient era costumes were influenced by animism. They consist of tube(kemben), shawl(syal), corset, dress(terusan), body painting and tattoo, jewelry(perhiasan), and cross. The Modern era, which was shaped by religion, consists of baju kurung(tunic) and kebaya(kaftan). The Balinese costume consists of the costume of participants and the costume of performers. Bali dancing is grouped into Wali dance(sacred), Bebali dance(theatrical), and Balih-balihan dance(entertainment). The Legong dance is included in the Balih-balihan dance, and its costume developed from 1920 until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Legong dance costumes are 'Theatrical,' 'Angelic,' 'Charming,' and 'Decorative.' In conclusion, the balance of religion, culture, and art gives a unique trait in Bali. The Balinese social system, which is based on Hinduism, has influenced art and its function. This relationship creates a strong structure to the Balinese ceremonial costume, especially the Legong dance costume.

지역아동센터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효과 연구 -전통춤 프로그램 중심으로- (A Study on Effect of the Children Culture Art Education Program Activity in Local Child Care Center -Focusing on Traditional dance program-)

  • 배나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15-123
    • /
    • 2017
  •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에서 운영하는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중 전통춤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들을 위한 차별화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충남지역 A지역아동센터를 대상으로 2016년 3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일주일에 1회 50분 수업으로 16회를 운영하였으며 프로그램명은 "즐거운 전통춤 배우기"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A지역아동센터에서 프로그램에 참여한 25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참여 후 좋은점과 아쉬웠던 점에 대해서 질문하였고 지금까지 수업에 대한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하였다. 연구방법은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개방적이고 구조화된 질문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목적에 맞추어 질문 목록들을 사전에 준비하여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긍정적이였다. 아동들은 전통춤프로그램을 통한 문화예술교육활동을 체험함으로 해서 자연스럽게 예의범절 교육을 익혔으며, 대화법도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전통춤 프로그램에 부정적 태도를 보였던 아동들이 차츰 긍정적으로 활동에 참여했다. 둘째, 전통춤을 강의하는 강사에 대한 평가를 살펴보았다. 성실하고 책임감있게 강의를 준비하여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프로그램에 대한 아동들의 반응은 긍정적이었다. 전통춤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강사는 수업을 미리 준비하고, 아동을 맞이하며 수업시간을 성실하게 운영하였다. 전통춤을 강의하는 강사들은 무용 전문가, 무용 전공자로 구성되어 아동들을 가르치는데 깊이가 있었다. 풍부한 강의 경험으로 수업시간에 아동들을 다루는데 능숙하였으며, 설명도 아동의 눈높이에 맞게 설명하여 쉽게 이해되는 전통춤 수업을 진행 하였다.

청소년의 한국전통문화인식, 한국무용이미지, 문화유산보존 그리고 한국무용체험의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awareness, Korean dance image,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and the experience intent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of Korean adolescents)

  • 서희정;박세혁;이윤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317-328
    • /
    • 2020
  •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한국전통문화인식, 한국무용이미지, 문화유산보존 그리고 한국무용체험의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서울과 경기도의 중·고등학생 482명에게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459부의 설문지를 SPSS 25.0과 AMOS 25.0로 자료처리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한국전통문화인식 중 한국전통문화관심만 한국무용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한국전통문화교육과 한국전통문화활용능력은 한국무용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무용 이미지는 한국문화유산보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타나났다. 셋째, 한국무용이미지는 한국무용체험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타나났다. 마지막으로, 문화유산보존은 한국무용체험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