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phenolic compound

검색결과 360건 처리시간 0.024초

유자 첨가 양파발효음료의 제조 및 생리활성 (Development of an Onion Vinegar Beverage Containing Yuza (Citrus junos Sieb ex Tanaka) and Its Biological Activity)

  • 정은정;차용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63-570
    • /
    • 2016
  • 양파식초는 양파특유의 냄새로 인한 관능적인 저하를 가지므로 양파의 불쾌치를 차폐할 수 있는 감미조향제의 선택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중심합성계획에 따른 반응표면분석을 통하여 감미조향제(유자착즙액, 사과농축액 및 황설탕)의 첨가량을 결정하였다. 즉 독립변수를 달리한 각 실험조건을 다섯 단계로 부호화 하고 실험설계 18조건(8개 요인실험점, 6개의 축점, 4개의 중심점)에 따라 기호도검사(9점 평점법)를 실시하여 중심합성법의 종속 변수로 선정하여 유자 첨가 양파발효음료(양파식초 : 용수 : 황설탕 : 사과농축액 : 유자착즙액 = 6.0 : 77.6 : 4.9 : 9.2 : 2.3(w/w비율))를 제조하였다. 최적 배합조건에서 제조된 유자 양파발효음료의 phenolic compound, total flavonoid, quercetin 및 생리활성(항균성, 항항산화성, 항혈전용해능) 분석결과 총 phenol함량은 14.8 mg/100 g, total flavonoids의 함량 2.6 mg/100 g, quercetin 함량은 1.4 mg/100 g으로 측정되었다. 유자 첨가 양파발효음료는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typhimurium, Escherichia coli 및 Enterobacter aerogenes 4종의 균에서 항균성을 가졌고 DPPH 라디칼 소거능에서는 18.2%, SOD 유사활성에서는 11.5%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로 개발된 유자 양파발효음료는 원료인 양파로부터 기인되는 영양성분 및 발효과정에서 생성되는 각종 유기산으로부터 복합적인 생리활성이 기대되는 제품으로 사료된다.

무청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Radish (Raphanus sativus L.) Leaves)

  • 구경형;이경아;김영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90-395
    • /
    • 2008
  • 건조 무청을 물, 50% 에탄올 및 50% 메탄올로 추출한 물질의 생리활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건조 무청의 추출물 수율은 브랜칭하지 않은 건조 무청인 관동 무청(DRLK)은 $26.56{\sim}32.56%$이고, 미농단백 무청(DRLM)은 $34.34{\sim}36.90%$였다. 반면에 브랜칭한 무청군 수율은 $18.70{\sim}23.56%$로 브랜칭하지 않은 시료보다 수율이 낮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브랜칭한 무청 시료는 $49.06{\sim}59.37mg/g$ 범위였고, 브랜칭을 하지 않은 시료는 $53.41{\sim}62.08mg/g$이었다. 시료에 따라서는 관동 무청시료(DRLK, BDRLK)보다 미농단백무 시료(DRLM, BDRLM)가 약간 더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은 브랜칭하지 않은 시료는 80% 이상의 활성을 보였고,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36.63{\sim}51.17%$ 범위의 활성을 보였으며, SOD 유사활성은 $38.53{\sim}45.38%$의범위의 활성을 보인 반면 브랜칭한 시료는 각각의 생리활성 측정에서 브랜칭하지 않은 시료보다 낮은 활성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관동 무청군이 미농단백 무청군보다 전자공여능, 아질산 소거능 및 SOD 유사활성에 있어서 약간 높은 활성을 보였고, 브랜칭하지 않은 무청이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Variations in total phenols, total anthocyanins, and antioxidant activity levels in black chokeberry (Aronia melanocarpa) fruits subjected to dry and moist heat treatments

  • Kim, Hekap;Mai, Thu Thi Hoai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503-509
    • /
    • 2020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ry and moist heat treatments on total phenols, total anthocyanins, and antioxidant activity levels in black chokeberry (Aronia melanocarpa) fruits. Lyophilized chokeberry powder samples were heated in a drying oven at 60, 100, 160, 180, and 200℃ for 20, 40, or 60 min. Finely ground fresh chokeberry fruits were heated in water at 60, 80, and 100℃ for 20 min, and bioactive compound and antioxidant activity levels were measured. The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nd treatment duration. Antioxidant activity was preserved at 160℃ or lower without significant loss for dry heating, whereas moist heat treatment increased both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with increasing temperature.

Identification of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Effects from the Exudate of Germinating Peanut (Arachis hypogaea)

  • Lee, Jin-Hwan;Baek, In-Youl;Kang, Nam-Suk;Ko, Jong-Min;Kim, Hyun-Tae;Jung, Chan-Sik;Park, Keum-Yong;Ahn, Young-Sup;Suh, Duck-Yong;Ha, Tae-Jo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1호
    • /
    • pp.29-36
    • /
    • 2007
  • Five phenolic compounds 1-5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e exudate of geminating peanut (Arachis hypogaea). The structures were fully characterized by analysis of physical and spectral data. All isolated compounds were tested for antioxidant activities us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d hydroxyl radical. Compounds 2, 3, and 5 exhibited a strong scavenging effect on DPPH (2: $IC_{50}\;=\;10.4\;{\um}M$, 3: $IC_{50}\;=\;45.2\;{\mu}M$, 5: $IC_{50}\;=\;5.0\;{\mu}M$), and ABTS (2: $IC_{50}\;=\;9.6\;{\mu}M$, 3: $IC_{50}\;=\;5.5\;{\mu}M$, 5: $IC_{50}\;=\;3.3\;{\mu}M$) radical activity, whereas these compounds had weak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_{50}\;>\;200\;{\mu}M$). The total phenolic contents of the extracts using n-hexane, EtOAc, and n-BuOH were found to be 96.4-964.3 mg gallic acid equivalent per g dry material (GAE/g) and n-BuOH fraction showed the highest total phenolic content (964.3 mg GAE/g). These studies suggest that the exudate of geminating peanut may possess possible health related benefits to humans.

홍국주의 제조와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 유영주;황인식;정순택;박양균;김선재;박배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춘계총회 및 제22차 학술발표회
    • /
    • pp.148-148
    • /
    • 2003
  • 최근 홍국색소는 천연계착색료로서 뿐만 아니라 발효식품, 발효조미료등에도 이용되어 기호에 맞는 새로운 홍국 개발도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다. 혈청콜레스테롤저하작용, 혈압강하작용, 혈당강하작용, 항산화작용등 여러가지 약리효능을 지닌 홍국균을 이용해 재래적 방법에 근거하여 홍국주를 제조하여 그 제조공정을 확립하고 품질특성을 확인하였다. Monascus purpureus를 액체배양법에 의해서 홍국코지를 제조하고 코지의 역가는 $\alpha$-amylase와 $\beta$-amylase 활성은 400unit와 4.44unit를 나타났으며, acid protease 활성은 80unit, neutral protease 활성은 91.4unit로 나타났다. 홍국코지에 증자된 쌀과 물을 혼합하여 발효경과를 측정하고, 발효가 끝난 홍국주의 DPPH법에 의한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Total phenolic compound함량, ACE저해작용등을 측정하였다. 홍국주의 발효경과 분석은 알콜도수는 2차 담금 후 2일째-13.2도, 4일-13.5, 6일째-13.5, 8일째-13.5, 10일째-13.4로 나타났다. 환원당은 2일째-23.26, 4일-20.68, 6일째-21.74, 8일째-19.93, 10일째-14.23 $^{\circ}$Brix로 점점 감소한다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색도에서 적색을 나타태는 Hunter value a값은 2일째 -14.72, 4일-14.97, 6일째-15.70, 8일째-16.43, 10일째-17.29로 시간이 지날수록 붉은 색소가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H는 2일째-4.52, 4일-4.02, 6일째-4.11, 8일째-13.11, 10일째-13.18로 pH가 약간 낮아진 것을 볼 수 있다. 산가는 2일째-8.4, 4일-6.7, 6일째-7.0, 8일째-7.5, 10일째-11.5로 pH가 산성화 될 수록 산가는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홍국주의 전자 공여능에 의한 항산화력은 25.6%, 아질산염 소거능은 27.6%, Total phenolic compound 함량은 12.34mg%, ACE저해작용은 38%의 항산화력을 나타냈다.

  • PDF

양제근 추출물 및 분획의 항산화 활성과 Tyrosinase 저해 활성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Extract Rumex japonicus HOUTT Root and Its Fractions)

  • 양선아;서고은;표병식;김선민;최철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0-15
    • /
    • 2017
  • Background: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70% ethanol extract, and its fractions, of the root of Rumex japonicus HOUTT. Methods and Results: The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of the 70% ethanol extract and ethyl acetate fraction were 168.99 mg/g and 651.78 mg/g,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compared through the DPPH radical and nitric oxide (NO) scavenging assays.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DPPH radical and NO scavenging abilities, which confirmed the antioxidant activity. Specifically,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a higher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than ascorbic acid. These results were related to the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Moreover, in the tyrosinase inhibition assay, the ethyl acetate fraction exhibited stronger inhibitory activity than arbutin, which was used as the positive control. The cell viability of L929 cells was analyzed by MTT assay after treatment with 70% ethanol extract and all fractions; no changes in viability were observed, which demonstrated the nontoxic nature of the extract and fraction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extract from the root of R. japonicus and its ethyl acetate fraction could be a novel resource for the development of a cosmetic with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전처리 건조 방법에 따른 간편가정식용 신선초죽의 항산화 효과와 품질 특성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uel as a Home Meal Replacement with Angelica keiskei Powder Pre-treated by Various Drying Methods)

  • 김혜영;최수진;라하나;이종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1-100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uel as a home meal replacement with Angelica keiskei powder pre-treated by far-infrared radiation or freeze-drying methods. Far-infrared treated Angelica keiskei powder (F-IAP) showed significantly lighter, weaker green, and stronger yellow color values than powder subjected to freezedrying (FAP) (p<0.001). F-IAP showed higher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than that of the FAP.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IAP was 50.31%,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AP, at 43.51% (p<0.05). Color values of gruel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ed addition of Angelica keiskei powder (p<0.05). Gruels containing far-infrared treated Angelica keiskei powder (F-IAG) showed higher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as well as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compared to the gruels containing freeze-dried Angelica keiskei powder (FAG). Gruels containing 5 g of Angelica keiskei powder showed 2.0 to 2.5 times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than those containing powder alone due to the presence of other ingredients with antioxidant activities such as black soybean or sweet pumpkin. In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F-IAG containing more than 5 g of Angelica keiskei powder had higher sweetness and roasted grain flavor, as well as lower bitterness and astringency compared to FAG. Sensory acceptance tests of all samples showed higher scores than 5.0 representing possibilities of successful development of gruels as a home meal replacement containing Angelica keiskei powder.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Cleome rutidosperma

  • Bose, Anindya;Mondal, Sumanta;Gupta, Jayanta Kumar;Ghosh, Tirtha;Debbhuti, Debabrata;Si, Sudam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8권2호
    • /
    • pp.135-145
    • /
    • 2008
  • The study was aimed at evaluating the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ethanolic extract and its fractions of Cleome rutidosperma. The antioxidant activity, reducing power, total phenolic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superoxide anion scavenging activity, nitric oxide anion scavenging activity, in vitro antilipid peroxidation activity and in vitro non-enzymatic hemoglobin glycosylation were studied. The results obtained in the study indicate that Cleome rutidosperma is a potential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 All the parameters were found to be concentration dependent and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sample. Flavonoids, phenolic compound like tannins, terpenoids may be responsible for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plant. Variation of solubility parameters in various models may be attributed to non-linearity of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actions models. Further investigation on th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component(s) in the plant may lead to chemical entities with potential for clinical use.

예루살렘세이지(Phlomis frutcosa L.) 추출물의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활성과 항산화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and Antioxidant Activity of Yerusalem sage (Phlomis frutcosa L.))

  • 김정환;윤소정;조영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2호
    • /
    • pp.178-182
    • /
    • 2005
  • Yerusalem sage를 물과 에탄올로 추출하여 생리 기능성을 알아보았다.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물 추출물이 9.4 mg/g, 알코올 추출물이 11.1 mg/g로 나타났고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DPPH가 물 추출물과 알코올 추출물 각각 97.6%, 87.2%로 나타났고,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는 각각 1.1, 1.6으로 알콜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높게 나타났다. ABTS는 물 추출물과 알코올 추출물에서 각각 96.8%, 91.4%로 높게 나타났으며 TBARS 값은 $0.9{\times}10^{-3}\;{\mu}M,\;0.3{\times}10^{-3}\;{\mu}M$로 대조구 $1.1{\times}10^{-3}\;{\mu}M$에 비해 malonaldehyde와 thiobarbituric acid가 반응하여 생성되는 복합체 TBARS값이 낮아 추출물이 지방 산화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Helicobacter pylori균의 항균활성 측정을 위하여 알콜 추출물의 phenolic compound 함량을 $50\;{\mu}g$에서 $200\;{\mu}g$까지 $50\;{\mu}g$씩 disc paper에 증가시켜 첨가한 결과 저해환의 직경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9 mm, 10 mm, 12 mm, 15 mm로 크게 나타났다. HPLC로 항산화 및 항균력을 가진 페놀산의 존재유무를 분석한 결과 물과 알코올 추출물에서 chlorogenic acid함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 Yerusalem sage는 인공 합성 항산화제가 가지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천연 항산화제 및 위 십이지장 계통의 질환을 예방하는 기능을 겸비한 기능성 물질로 개발이 기대되었다.

초석잠 [Stachys sieboldii MIQ.] 줄기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Stachys sieboldii MIQ. Stalks)

  • 백홍석;나영수;류병호;송승구
    • KSBB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266-271
    • /
    • 2003
  • 아직 국내에서는 드물게 경작되고 있지만 이미 옛 고서적에 나와 있는 초석잠 (Stachys sieboldii MIQ.)에는 많은 유용한 물질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줄기의 메탄을 추출물 100 mg을 메탄을 20 mL에 녹여 만든 샘플에서 total poplyphenol과 flavonoid가 각각 9.33 $\mu\textrm{g}$/mL (1.97%), 3.77 $\mu\textrm{g}$/mL (0.75%)씩 함유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각 유기 용매층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도를 비교해 본 결과 DPPH법을 통해 기존의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 (21.8 $\mu\textrm{g}$), BHT (100 $\mu\textrm{g}$) 그리고 BHA (20.6 $\mu\textrm{g}$)와 비교해도 에틸아세테이트 (15 $\mu\textrm{g}$), 부탄올 (50 $\mu\textrm{g}$) 추출물의 항산화능이 뒤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과산화 지질 형성 억제능과 아질산염 소거능 조사에서 에틸아세테이트의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도를 나타내었으며 기존의 항산화제들과 비슷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이를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다시 분획하였고 UV/VIS 흡광광도계를 통해 최대 흡광도의 파장은 280-330 nm 사이에 나타내었다. 그 중 최대 흡광도가 284 nm인 ES-1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이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phenolic compounds의 UV-VIS spectral data와 일치하며 다양한 phenolic compounds가 초석잠 (Stachys sieboldii MIQ.) 속에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