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flavonoids level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1초

마이크로웨이브 에너지를 이용한 레몬그라스로부터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추출: CCD-RSM을 이용한 최적화 (Extraction of Total Flavonoids from Lemongrass Using Microwave Energy: Optimization Using CCD-RSM)

  • 유봉호;장현식;이승범
    • 공업화학
    • /
    • 제32권2호
    • /
    • pp.168-17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웨이브 에너지를 이용하여 항산화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레몬그라스로부터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추출하였다. 또한 반응표면분석법 중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이용하여 추출공정을 최적화하였다. 추출공정의 독립변수로는 주정/초순수의 부피비,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시간,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세기를 설정하였고, 반응치는 추출수율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확인하였다. CCD-RSM 분석 결과 최적조건인 주정/초순수 부피비(56.3 vol.%),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시간(6.1 min),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세기(574.6 W)에서 추출수율(17.2%)와 플라보노이드 함량(44.7 ㎍ QE/mL dw)의 결과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종합만족도는 D = 0.8562이고, P-value는 추출수율(0.037)과 플라보노이드 함량(0.002)으로 나타났다. 이 조건에서의 실제실험 결과 오차율은 5.0% 이하로 나타나 높은 유의수준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메밀(Fagopyrum species)의 생장에 따른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품종별 차이 (A time-course study of flavonoids in buckwheats (Fagopyrum species))

  • 이민기;박석훈;김선주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1호
    • /
    • pp.87-94
    • /
    • 2011
  • Flavonoid contents of common buckwheat (cv. Kitawase) and tartary buckwheat (cv. Hokkai T 8, Hokkai T 9 and Hokkai T 10) were determin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Moreover, they were measured at different plant developments such as 10, 18, 20, 22 and 30 days after sowing (DAS) and with plant parts including leaf, stem and flower harvested at 30 DAS. Total flavonoids including chlorogenic acid, four kinds of C-glycosylflavones (orientin, isoorientin, vitexin, isovitexin) and rutin of tartary buckwheats (range of 44.2-54.7, mean 44.2) were found 35% higher than those of common buckwheat (28.9 mg/g dry wt.). Among them, rutin was measured above 80% of total flavonoid contents. The other flavonoids (chlorogenic acid and four kinds of C-glycosylflavones) presented the highest level at 10 DAS and decreased according to plant developments. On the other hand, rutin content of Kitawase presented the highest level (33.6 mg/g dry wt.) at 22 DAS and decreased up to 30 DAS. Rutin content in tartary buckwheat temporarily decreased from 10 to 18 DAS and then reversely increased up to 30 DAS presented the highest level as 'U' curve. In Hokkai T 10, rutin content was found the highest level (53.8 mg/g dry wt.) at 30 DAS. In different plant parts harvested at 30 DAS, rutin content of leaf (range of 42.8-68.0, mean 57.0) was 5.3-fold higher than that of stem (range of 8.0-15.9, 10.8 mg/g dry wt.), regardless of cultivar. Significantly, rutin content (78.7) in the flower of Kitawase was 1.8 times higher than in the leaf and 9.8 times in the stem. Especially, chlorogenic acid content (14.6 mg/g dry wt.) in the flower of Kitawase was 63-fold higher than in the leaf, and 20-fold in the stem.

플라보노이드 함유 엉겅퀴를 이용한 기능성 다류 개발 (Development of Functional Tea Product Using Cirsium japonicum)

  • 정미숙;엄혜진;김재광;김건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61-265
    • /
    • 2007
  •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엉겅퀴를 대상으로 식물부위, 건조방법에 따른 총플라보노이드와 apigenin 함량 분석 및 엉겅퀴차의 소비자 기호도 검사를 수행한 결과, 잎에서 추출된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꽃 및 줄기의 순서로 나타났다. 건조 방법에 따른 총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잎과 꽃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줄기에서는 동결건조와 오븐건조가 자연건조보다 높게 나타났다. Apigenin함량도 잎에서 가장 많이 확인되었으며 꽃, 줄기의 순서로 나타났다. 건조방법에 따른 apigenin함량 변화는 엉겅퀴의 잎과 줄기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꽃에서는 동결건조와 자연건조보다 오븐건조에서 그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소비자 기호도 검사에서는 엉겅퀴꽃잎혼합차의 선호도가 엉겅퀴잎차 보다 높았으며, 이러한 제품이 시판될 때의 구매의향도 엉겅퀴꽃잎혼합차가 엉겅퀴잎차보다 높게 나타났다.

Effects of alfalfa flavonoids extract on the microbial flora of dairy cow rumen

  • Zhan, Jinshun;Liu, Mingmei;Wu, Caixia;Su, Xiaoshuang;Zhan, Kang;Zhao, Guo q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9호
    • /
    • pp.1261-1269
    • /
    • 2017
  • Objective: The effect of flavonoids from alfalfa on the microbial flora was determined using molecular techniques of 16S ribosome deoxyribonucleic acid (rDNA) analysis. Methods: Four primiparous Holstein heifers fitted with ruminal cannulas were used in a $4{\times}4$ Latin square design and fed a total mixed ration to which alfalfa flavonoids extract (AFE) was added at the rates of 0 (A, control), 20 (B), 60 (C), or 100 (D) mg per kg of heifer BW. Results: The number of operational taxonomic units in heifers given higher levels of flavonoid extract (C and D) was higher than for the two other treatments. The Shannon, Ace, and Chao indices for treatment C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for the other treatments (p<0.05). The number of phyla and genera increased linearly with increasing dietary supplementation of AFE (p<0.05). The 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 plot showed substantial differences in the microbial flora for the four treatments. The microbial flora in treatment A was similar to that in B, C, and D were similar by the weighted analysis. The richness of Tenericutes at the phylum level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AFE (p = 0.10). The proportion of Euryarchaeota at the phylum level increased linearly, whereas the proportion of Fusobacteria decreased linearly with increasing AFE supplementation (p = 0.04). The percentage of Mogibacterium, Pyramidobacter, and Asteroleplasma at the genus level decreased linearly with increasing AFE (p<0.05). The abundance of Spirochaeta, Succinivibrio, and Suttonella at the genus level tended to decrease linearly with increasing AFE (0.05

동부나물의 부위별 생육, 폴리페놀 및 항산화성 차이 (Difference in Growth, Phenolics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owpea Sprouts at Different Plant Parts)

  • 천상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232-238
    • /
    • 2013
  • 새싹재배기에서 7일간 재배된 동부 새싹나물의 부위별 생육,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성 및 항산화효소 활성 차이를 검토하였다. Folin-Denis방법에 따른 총 페놀 함량은 동부나물 자엽의 메탄올 추출물(48.8 mg $kg^{-1}$)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뿌리(30.8 mg $kg^{-1}$), 하배축(22.2 mg $kg^{-1}$) 순으로 나타났다(p < 0.05). 한편,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총 페놀 함량과 같은 경향을 보였으나 더 낮은 함량이 검출되었다. DPPH 라디컬 소거능은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동부나물 자엽의 추출물(82.5%)에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뿌리(52.6%), 하배축(35.0%) 순으로 나타났다(p < 0.05). 항산화효소 활성은 APX와 CAT 활성은 하배축에서 가장 높았고 POX와 SOD 활성은 뿌리가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런 경향은 재배 후 5일과 7일째 동부나물에서 같게 나타났다. 따라서 상관분석에 따르면 총 페놀 함량이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보다 항산화성과 항산화효소 활성에 더 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생리활성물질 함량과 그 활성 정도는 부위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Transgenic Lettuce Expressing Chalcone Isomerase Gene of Chinese Cabbage Increased Levels of Flavonoids and Polyphenols

  • Han, Eun-Hyang;Lee, Ji-Sun;Lee, Jae-Woong;Chung, In-Sik;Lee, Youn-Hyung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5호
    • /
    • pp.467-473
    • /
    • 2011
  • Flavonoid are large group of the polyphenolic compounds which are distinguished by an aromatic or phenolic ring structure and the phenolic compounds are induced by microbial infection, ultraviolet radiation, temperature and chemical stress. They are known for their antioxidant activity, anti-allergic, anti-inflammatory, anti-microbial and anti-cancer activities. In this study, changes in flavonoid content were investigated using heterologous chalcone isomerase (CHI) expression system. Also, phenolic compounds level was measured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flavonoids and phenols contents. Explants of lettuce (Lactuca sativa L.) were transformed with Agrobacterium tumefaciens LBA 4404 strain containing pFLH-CHI (derived from pPZP2Ha3) vector constructed with CHI gene from Brassica rapa. The putative transgenic plants were confirmed by genomic DNA PCR analysis. Also the transcription levels of the gene were analyzed by semi-quantitative RT-PCR with gene specific primers.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increased at $T_0$ and $T_1$ generations over 1.4 and 4.0 fold, respectively. Total phenol contents also increased at $T_1$ gener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HI gene plays an important role to regulate the accumulation of flavonoids and its component changes.

두과작물 새싹의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성 비교 (Phenolics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prouts in Several Legume Crops)

  • 천상욱;김동관;김영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9-168
    • /
    • 2013
  • 대두, 녹두, 및 동부 종자로 7일간 재배된 새싹나물의 생육,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성 및 항산화효소 활성 차이를 검토하였다. 작물별 새싹나물의 총 신장은 녹두와 콩이 동부보다 유의적으로 컸으며 생체중은 오히려 콩과 동부가 녹두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Folin-Denis방법에 따른 총 페놀 함량은 콩나물의 메탄올 추출물(82.2 mg $kg^{-1}$)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동부나물(32.2 mg $kg^{-1}$), 녹두나물(24.5 mg $kg^{-1}$) 순으로 나타났다(p < 0.05). 한편,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총 페놀 함량과 같은 경향을 보였으나 더 낮은 함량이 검출되었다. DPPH 라디컬 소거능은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전체적으로 낮은 활성이었으나 동부와 녹두 추출물(44와 42%)이 콩나물(25%)보다 비교적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항산화효소 활성은 APX와 POX활성은 동부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녹두, 콩 순으로 나타났고, CAT와 SOD 활성은 콩나물이 동부와 녹두나물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총 페놀 함량($r^2$ = 0.53 ~ 0.90)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r^2$ = 0.47 ~ 0.94)은 항산화성과 항산화효소 활성에 높은 연관성이 있으며, 그 함량과 활성은 작물별로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냉동 동결 건조 머큐베리 분말 첨가 파운드케이크의 항산화 활성과 품질 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Properties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s Prepare using Freeze Dried Maquiberry (Aristotelia chilensis [Mol.]) Powder)

  • 이혜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067-1077
    • /
    • 2014
  • A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effect of adding freeze dried maquiberry powder on the quality of pound cakes. Freeze dried maquiberry was added to the flour at a ratio of 0.5, 1, 1.5 and 2.5%.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estimated by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content, and flavonoid content in freeze dried maquiberry powder of pounds cakes. Antioxidative activity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total phenolic and total flavonoids contents of freeze dried maquiberry powder of pound cakes (r=0.9126, p<0.001, r=0.8366, p<0.001, respectively).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eze dried maquiberry powder of poundcakes were estimated. The specific volume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ed substitution level of freeze dried maquiberry powder (p<0.01). The lightnes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ed freeze-dried maquiberry powder of pound cake crust and crumb (p<0.01, p<0.01). The hardness and adhesiveness increased, while gumminess tended to reduce with increased maquiberry powder. The consumer acceptability score of 0.5~2.5% freeze dried maquiberry powder of pound cakes ranked significantly (p<0.01)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in overall preference. These results showed that freeze dried maquiberry powder is a good ingredient to increase consumer acceptability and health.

곰취 '쌈마니' 품종의 재배지역 및 수확기별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ative Study of Antioxidant Activities at Different Cultivation Area and Harvest Date of the Gomchwi 'Sammany' Variety)

  • 서종택;김기덕;손황배;김수정;홍수영;김율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45-254
    • /
    • 2020
  • 본 연구는 곰취 신품종 '쌈마니' 의 고랭지와 평난지 수확기 및 가공 상태에 따른 항산화 활성 차이를 구명하고자 수행 하였다. 4월 18일부터 7월 15일까지 수확하여 생것과 데친 것을 냉동 건조한 후 메탄올에 추출하여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free radical 소거능과 환원력을 분석하였다. 재배지역 및 수확기별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free radical 소거능과 환원력은 평난지에서는 4월 18일 조기 수확보다는 5월 수확이 더 효과적이었으며, 고랭지에서는 5월보다는 6월에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배지역, 수확기 및 가공상태별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free radical 소거능과 환원력은 평난지에서는 4월 조기 수확보다는 5월부터 더 효과적이었으며, 고랭지에서는 6월부터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생체와 데친 것을 비교하였을 때, 생체가 모든 항목에서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평난지재배보다 고랭지 재배가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쌈마니' 품종은 평난지에서는 5월, 고랭지에서는 6월에 수확하여 생으로 먹는 것이 데쳐서 먹는 것보다 항산화 활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식용꽃 추출물의 폴리페놀과 카테킨류 함량이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lyphenol and Catechin Levels on Antioxidant Activity of Several Edible Flower Extracts)

  • 이미경;박정숙;송희자;천상욱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1-118
    • /
    • 2014
  • 주요한 꽃차의 재료로 이용되고 있는 백목련, 매화 및 홍화의 성분 및 생리활성 차이를 검토하고자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카테킨류 함량 및 항산화성을 분석하였다. 각종 시료의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총 페놀 함량을 Folin-Denis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표준물질을 catechin, chlorogenic acid, tannic acid로 각각 달리하여 측정한 결과 백목련이 72.6 ~ 118.0 mg/kg 범위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이 매화와 홍화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백목련이 25.1 mg/kg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다른 꽃과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성을 알아보기 위해 DPPH 라디컬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250 mg/kg의 추출물 농도에서 백목련과 매화는 각각이 93.0과 92.6%로 높게 나타났으나, 홍화는 23.0%로 낮은 활성을 보였다. 총 catechin 함량에 있어서 백목련이 총 8종의 카테킨류 중 6종의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었고 9,425.5 mg/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매화와 홍화는 각각 5종과 2종의 화합물이 함유되어 각각 3,407.8과 190.6 mg/kg으로 낮게 나타났다. 한편 카페인 함량은 매화에서 비타민 C함량은 매화와 홍화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백목련 꽃은 다른 꽃에 비해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고 항산화성이 높아 유망한 기능성 꽃차로서 이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꽃차의 총 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카테킨류 함량은 그들의 항산화성과의 높은 상관계수를 보임으로써 연관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