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Phenolic Contents

검색결과 990건 처리시간 0.04초

홍삼 추출물을 첨가한 요구르트의 항산화능 (Antioxidant Activity of Yogurt Supplemented with Red Ginseng Extract)

  • 김순임;고서현;이영주;최해연;한영실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58-366
    • /
    • 2008
  •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red ginseng extracts prepared under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were evaluated by a variety of antioxidant assays, including $DPPH^{\cdot}$ radical scavenging, $ABTS^{+\cdot}$ radical scavenging, superoxide anion scavenging, nitrite scavenging and reducing power activities. The contents of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s were also determined. The various antioxidant activities were compared to positive controls such as Trolox, tannic acid and ascorbic aci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all of the extracts were shown to be the highest in the ethanol extract.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red ginseng powder were the lowest among the samples. The amounts of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s were at a maximum in the ethanol extract. Correlation analysis demonstrated the existence of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the phenolic compounds contents of extract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yogurt was increased as the result of the addition of red ginseng extract.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yogurt to which red ginseng extract was added were similar to those of yogurt without red ginseng extract. The overall sensory score and color of yogurt made from 0.5% red ginseng was the best of the tested yogurts. In accordance with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red ginseng extract was approximately 0.5%.

강황, 자색고구마, 톳을 첨가한 쌀국수의 기능성 (Functional Properties of Rice Noodles Supplemented with Turmeric, Purple Sweet Potato or Seaweed (Hizikia fusiforme))

  • 손종연;강근옥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50-256
    • /
    • 2013
  • We investigated noodles supplemented with turmeric, purple sweet potato, or seaweed (Hizikia fusiforme) for their functional properties, including total phenol, flavonoid contents, electron donating abilities,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The percentage of total phenolic compounds in turmeric, purple sweet potato, and seaweed noodles were 2.40, 2.47, and 1.27%, respectively, whereas the percentage of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0.55, 0.92, 0.74%, respectively. Results showed that purple sweet potato noodles had the highest amount of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s compared to the other types of noodles. The electron donating abilities of the turmeric, purple sweet potato, and seaweed noodles were 4.72, 4.11, and 3.11 at 1,000 ppm respectively.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of the turmeric, purple sweet potato, and seaweed noodles were 75.93, 79.81, and 73.51% at pH 1.2, respectively. Purple sweet potato noodles had the highest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with an effect better than BHT and ascorbic acid. The ferrous ion chelating effect of turmeric, purple sweet potato, and seaweed noodles were 12.17, 13.63, and 42.12%. All of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good anti-oxidative activity; thus rice noodles supplemented with turmeric, purple sweet potato, or seaweed, have good functional effects for human beings.

다양한 페놀성 물질과 Folin-Ciocalteu 시약의 반응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 평가 (Factors Affecting Reactivity of Various Phenolic Compounds with the Folin-Ciocalteu Reagent)

  • 홍정일;김현정;김지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05-21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F-C시약을 이용한 페놀성 물질의 정량방법에서 다양한 종류의 페놀성 성분들의 반응특성 및 반응영향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정량방법 중 $Na_2CO_3$를 선처리는 F-C시약을 먼저 처리하는 방법에 비해 대부분 페놀성 물질들의 발색반응도 감소를 야기하였으며, 특히 -OH 밀도가 높은 galloyl group을 가진 gallic acid 및 EGCG 등의 성분이 두드러진 감소를 나타내었다. F-C시약과 $Na_2CO_3$를 동시에 처리하는 경우 F-C시약을 선처리 하는 경우에 비해 각 페놀성 물질의 반응성이 약간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 원인은 페놀성 물질들이 산성인 F-C시약에서보다 $Na_2CO_3$ 용액의 알칼리 환경에서 화학적으로 불안정하기 때문이며, pH 7.4 및 9의 환경에서 페놀성 물질로부터 생성된 산화물들은 F-C시약과의 반응성이 약화됨을 확인하였다. 이 과정중에 같이 형성된 $H_2O_2$는 F-C와의 반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FeA와 SiA와 같은 monophenol류는 방법의 차이에 따라 큰 반응성의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발색도는 느리지만 꾸준히 증가하는 kinetics 패턴을 보였다. 실제 시료에의 적용을 위해 연잎 추출물을 제조하고 각 정량방법에 대한 반응도 차이를 조사한 결과, 역시 $Na_2CO_3$ 처리환경에서 현저한 발색반응도 저하를 나타내었다. 보다 정확한 페놀성 물질의 정량을 위해 적절한 표준물질의 선택 및 정량 방법 등에 대한 표준화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자생 갈조류의 생리활성 물질 분석 및 총 항산화능력 비교 연구 (Analysis and comparison of bioactive compounds and total antioxidant capabilities of Korean brown algae)

  • 이채현;박예나;이상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54-59
    • /
    • 2020
  • 본 연구는 해양자원정보시스템의 '해양갈조식물자원'에서 표준화된 갈조류 10종을 분양 받아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항산화능력을 비교한 연구이다. 10종의 갈조류 중 총 폴리페놀이 높은 갈조류는 넓패, 개미역쇠, 그리고 검둥모자반이였으며, 이들 중 넓패와 검둥모자반은 총 플라보노이드 및 항산화능력도 다른 갈조류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능력을 보였다. 또한,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항산화능력 간의 상관관계 조사를 통하여 총 플라보노이드보다 총 폴리페놀 함량이 해조류의 총 항산화능력에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넓패 및 검둥모자반은 높은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갈조류 기능성 식품 소재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 연구의 자료는 국내 자생하는 갈조류의 생리활성물질과 기능성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Agricultural Characters, Phenolic and Nutritiona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igeon Pea (Cajanus cajan) Germplasms Cultivated in the Republic of Korea

  • Choi, Yu-Mi;Hyun, Do Yoon;Lee, Sukyeung;Yoon, Hyemyeong;Lee, Myung-Chul;Oh, Sejong;Ko, Ho-Cheol;Shin, Myoung-Jae;Hur, Onsook;Yi, Jung Yoon;Desta, Kebede Taye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0-61
    • /
    • 2020
  • Pigeon pea (Cajanus cajan) is an important legume species that produces seeds that are rich in phenolic compounds and dietary nutrient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agricultural characters, phenolic and nutritional contents, and antioxidant capacities of seeds from 82 pigeon pea germplasms cultivated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accessions exhibited compact (24.39%), semi-spreading (74.39%), or spreading (1.22%) growth habits and determinate (89.02%), indeterminate (8.54%), or semi-determinate (2.44%) flowering patterns. Days to 75% maturity ranged from 30 to 72 d, and yield per plant ranged from 6.00 to 148.60 g. Meanwhile, total phenolic, crude protein, crude fiber, and dietary fiber contents ranged from 16.42 ± 0.62 to 29.67 ± 0.43 mg gallic acid equivalent per g of dried extract, from 16.76 ± 6.74% to 22.61 ± 0.05%, from 4.70 ± 0.24 to 8.63 ± 0.02%, and from 12.98 ± 0.71 to 33.19 ± 1.50%, respectively. In addition, DPPH radical-scavenging capacity ranged from 1.61 ± 0.10 to 16.04 ± 2.30 mg ascorbic acid equivalent per g of dried extract, and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ranged from 3.03 ± 0.86 to 42.24 ± 0.72 mg Trolox equivalent per g of dried extract. Phenolic content was correlated with both DPPH radical-scavenging capacity (r = 0.63) and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r = 0.29). Nine accessions (IT170290, IT170291, IT170270, IT170276, IT170379, IT170386, IT170388, IT170418, and IT170340) exhibited early maturity, compact and erect growth habits, and above averag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henolic and protein contents. In addition, accessions IT170290 and IT170291 were especially promising pigeon pea germplasms to grow, owing to various favorable characteristics (e.g., high yield and dietary fiber content). Hence, these accessions could be useful cultivars to the Republic of Korea if considered in future agricultural systems.

Antioxidant property of leaves and calluses extracts of in-vitro grown 5 different Ocimum species

  • Song, Hyuk;Kumar, Prem;Arivazhagan, Girija;Lee, Sang-Il;Yoon, Hyung-Moon;Kim, Ick-Hee;Kwon, Hyuk-Jung;Kim, Jong-Moon;Hakkim, Faruck Lukmanul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9권3호
    • /
    • pp.146-153
    • /
    • 2012
  •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property of leaf and callus extracts of five selected in vitro grown Ocimum species (Ocimum sanctum, Ocimum kilimandscharicum, Ocimum gratissimum, Ocimum basilicum, and Ocimum americanum) and their respective callus extracts was investigated. The callus cultures were successfully initiated on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supplemented with 2,4-dichlorophenoxy acetic acid (2,4-D) (1mg L) combin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0.1-0.4 mg L) of kinetin as plant growth regulators. Total phenolic contents were estimated using the Folin-Ciocalteu reagent.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e^{2+}$ chelating activity, and ${\beta}$-carotenelinoleic acid bleaching assays were used to determine the biological effects of the extracts. Interestingly, all the callus extracts exhibited significant (p<0.05) increase in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Furthermore, a liner correlation was obtained between the total phenolic content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2$ = 0.783). The extracts of leaves and calluses of Ocimum species exhibited activity in all the in vitro antioxidant assays, but its extent was less potent that the positive controls butylated hydroxyl anisole (BHA) and ascorbic acid. A higher accumulation of phenolics in the callus extracts suggests that isolation of high-concentration materials with antioxidant activivity is possible from in vitro callus cultures rather than field-grown plant organs. Furthermore, these extracts may be used as an effective preservative in the food industry.

한식 식품군의 in vitro 총 항산화능 (TDAC)과 ex vivo DNA 손상 보호효과와의 관련성 (Protective effect of Korean diet food groups on lymphocyte DNA damage and contribution of each food group to total dietary antioxidant capacity (TDAC))

  • 이민영;한정화;강명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5호
    • /
    • pp.277-287
    • /
    • 2016
  • 본 연구는 제5기 2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한식 식품군의 총 페놀 함량, in vitro 항산화활성 및 인체세포를 이용한 ex vivo DNA 손상 감소효과를 비교하고, 각 지표간의 상관성을 분석하며, 한식의 총 식사 항산화능에 대한 각 식품군의 기여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제5기 2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식의 식물성 식품을 10가지 식품군 (곡류, 과일류, 채소류, 견과류, 김치류, 해조류, 감자류, 버섯류, 두류, 오일류)으로 분류한 후 각 식품군별로 총 섭취량의 1% 이상 섭취한 식품 84종을 한식의 식물성 식품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각 식품군의 총 페놀함량을 측정하였고,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TEAC assay, $ORAC_{ROO{\cdot}}$ assay를 사용하여 in vitro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한식의 식품군별 항산화능 (dietary antioxidant capacity, DAC)은 in vitro 항산화활성 평균값과 각 식품군의 1일 섭취량을 고려하여 계산하였고 한식 TDAC는 각 식품군의 DAC로의 합으로 구하였으며, TDAC에 대한 각 식품군 항산화능의 기여도를 평가하였다. 인체 임파구에서의 ex vivo DNA 손상 정도는 comet assay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한식 식품군의 총 페놀함량은 버섯류, 과일류, 채소류, 해조류, 김치류 등의 순으로 높았으며, 3가지 in vitro 실험법을 평균한 식품군의 항산화활성 순위는 버섯류, 해조류, 채소류, 김치류, 과일류 등의 순이었다. 각 식품군의 항산화활성에 식품섭취량을 고려하여 계산한 한식의 TDAC에 대한 식품군의 항산화능 기여도는 곡류가 33.4%로 가장 높았으며, 과일류 (23.9%), 채소류 (12.7%), 김치류 (11.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인체 임파구에서 ex vivo DNA 손상 보호효과는 버섯류에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 채소류, 과일류, 해조류, 김치류의 순으로 나타났다. 각 식품군의 페놀함량과 in vitro 항산화 활성, 그리고 ex vivo DNA 보호효과의 순위가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각 지표간의 상관성은 매우 높았다. 한식 식품군 중 버섯류, 과일류, 채소류, 해조류에서 총 페놀함량과 항산화 활성, DNA 손상 보호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각 식품군의 총 페놀함량과 in vitro 항산화 활성, ex vivo DNA 보호효과 지표 간의 상관성은 매우 높았다. 한식의 TDAC에 대한 식품군별 항산화능 기여도는 곡류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과일류, 채소류, 김치류의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한식의 우수성을 항산화 측면에서 밝히는데 매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포도씨의 proanthocyanidin 함량 및 항산화 활성 (Proanthocyanidin Content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Grape Seeds)

  • 황인욱;이혜련;김숙경;정호철;최종욱;이상한;이숙희;정신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59-863
    • /
    • 2008
  • 포도씨의 품종에 따른 총 페놀 함량과 proanthocyanidin의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았다. 총 페놀 함량은 Folin-Ciocalteu법으로 측정하였고, $16.71\;{\sim}\;28.60\;mg$/100 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Proanthocyanidin 함량은 vanillin sulfuric acid법으로 측정하였고, $18.36\;{\sim}\;55.30\;mg$/100 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품종 중에서 자옥 품종이 가장 높은 페놀 함량과 proanthocyanidin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은 자옥 품종이 역시 가장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총 페놀 함량과 proanthocyanidin 함량은 항산화 활성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0.92). 따라서 포도씨 추출물은 항산화 건강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추출조건에 따른 유근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Effect of Extraction Conditions on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of Root Bark Extract from Ulmus pumila L.)

  • 김재민;조명래;서규은;김예슬;정태동;김영현;김단비;신기해;오지원;이종석;이진하;김종예;이대원;이옥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8호
    • /
    • pp.1172-1179
    • /
    • 2015
  • 본 연구는 유근피를 항산화 소재로 사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에탄올의 농도(0, 40, 80% 에탄올) 및 추출 시간(1, 2, 3시간)이 다른 조건에서 추출하였으며, 이들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다양한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ORAC value 등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근피 추출물은 80% 에탄올로 3시간 추출하였을 때 가장 높은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또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은 에탄올 함량에 따른 활성 차이는 보였으나 추출시간에 따른 항산화 활성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ORAC는 유근피 추출물의 추출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함께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유근피 추출물은 80% 에탄올을 이용하여 $70^{\circ}C$에서 3시간 추출을 할 때 항산화 활성을 갖는 phenolic 및 flavonoid 계열의 유효성분이 가장 많이 추출되었다. 또한 유근피 80% 에탄올 3시간 추출물은 피부 섬유아세포와 3T3-L1 지방세포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를 가졌으며, 3T3-L1 지방세포에서 활성산소종 생성량을 감소하였다. 따라서 높은 항산화력을 가진 유근피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제로 충분히 사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ntimicrobial Activity of Thinned Strawberry Fruits at Different Maturation Stages

  • Kim, Dong Sub;Na, Haeyoung;Song, Jeong Hwa;Kwack, Yurina;Kim, Sung Kyeom;Chun, Changhoo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6호
    • /
    • pp.769-775
    • /
    • 2012
  • Among the phenolic compounds that is generally present in strawberry fruits, five simple phenolics, three flavonoids, and a stilbene were tested for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even fungi and one oomycete. trans-Cinnamic acid showe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nd the antimicrobial effect of the simple phenolics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hydroxyl groups. Phytophthora capsici was the most susceptible to the phenolic compounds tested in this study. trans-Cinnamic acid, p-hydroxybenzoic acid, and kaempferol were mainly detected in 'Seolhyang' strawberry fruits, and the total phenolic contents of the fruits decreased during their development. Extracts of the green (1-10% red color) and red (above 90% red color) strawberry fruits reduced the mycelial growth and zoospore germination rate of P. capsici, and the extract of red strawberry fruit showe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he zoospore germination of P. capsici.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trawberry fruits contain antimicrobial phenolic compounds and that strawberry fruit extract can be used as a natural fungist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