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oth Avulsion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6초

소아환자에 있어서 외상방지를 위한 마우스가드의 치험례 (MOUTHGUARD FOR PREVENTING ORAL INJURIES IN CHILDREN)

  • 김경희;김종수;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37-542
    • /
    • 2005
  • 구강악안면 영역의 외상은 치아파절, 탈구, 골절, 연조직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뇌진탕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미국과 일본에서는 contact sports 일부에서 마우스가드의 장착이 의무화되어 있으나, 현재 한국에서는 운동 시 마우스가드의 장착을 거의 볼 수 없는 실정이다. 마우스가드는 크게 ready-made type과 custom-made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Ready made type의 마우스가드에는 형태가 일정하고 조정이 곤란한 stock mouthguard와 다소 조정이 가능한 mouth formed mouthguard가 있다. Custommade type의 마우스가드는 적합성이 뛰어나며 정확한 교합, 하악위를 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마우스가드는 입술과 구강연조직을 치아로부터 보호하고, 치아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시켜 파절이나 탈구가능성을 줄여준다. 또한, 악골의 골절과 변위를 방지하고 충격을 흡수한다. 성장기 아동의 경우 치아손상의 30% 정도가 스포츠나 레포츠에 의한 것이라는 보고가 있으며, 이 경우 치아나 잇몸은 물론 성장 중인 치조골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이 때 외상처치는 어려우며, 그 예후 또한 불명확하다. 따라서 성장기 아동의 마우스가드 장착은 외상 예방차원에서 중요하다. 이에 저자는 단국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환아에게 ERKODENT$^{(R)}$사의 ERKOFORM-RVE를 이용한 흡입성형 마우스가드(vacuum type mouthguard)를 적용한 임상경험을 보고하는 바이다.

  • PDF

Does photobiomodulation on the root surface decrease the occurrence of root resorption in reimplanted teeth? A systematic review of animal studies

  • Theodoro Weissheimer;Karolina Frick Bischoff;Carolina Horn Troian Michel;Bruna Barcelos So;Manoela Domingues Martins;Matheus Albino Souza;Ricardo Abreu da Rosa;Marcus Vinicius Reis So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8권3호
    • /
    • pp.24.1-24.16
    • /
    • 2023
  • This review aimed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 "Does photobiomodulation treatment of the root surface decrease the occurrence of root resorption in reimplanted teeth?" Electronic searches were performed in the MEDLINE/PubMed, Cochrane Library, Scopus, Web of Science, Embase, and Grey Literature Report databases. Risk of bias was evaluated using SYRCLE Risk of Bias tool. The Grading of Recommendations, Assessment, Development, and Evaluations (GRADE) tool was used to assess the certainty of evidence. In total, 6 studies were included. Five studies reported a reduced occurrence of root resorption in teeth that received photobiomodulation treatment of the root surface prior to replantation. Only 1 study reported contradictory results. The photobiomodulation parameters varied widely among studies. GRADE assessment showed a low certainty of evidence. It can be inferred that photobiomodulation treatment of the root surface prior to replantation of teeth can reduce the occurrence of root resorption. Nonetheless, further clinical studies are needed.

EGF, T3, HB-EGF 가 치주인대섬유모세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GF, T3 and HB-EGF on Human Periodontal Fibroblasts)

  • 홍은경;차정헌;김연태;최병재;김성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38-446
    • /
    • 2007
  • 치주인대섬유모세포들은 완전탈구 된 치아의 성공적인 재식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외상으로 인해 완전탈구된 치아의 보존을 위한 보관액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성장인자들과 호르몬들은 치주인대섬유모세포들의 생존을 위한 치료적 제제로 고려되고 있다. Epidermal growth factor(EGF)는 다른 조직에서 재생과 상처 치유 과정의 중요한 역할인자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완전탈구 된 치아를 위한 치료적 적용을 위해 EGF의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또한 EGF와 tri-iodothyronine(T3)의 혼합액, EGF와 Heparin-binding epidermal growth factor-like growth factor(HB-EGF)의 혼합액이 세포 증식에 미치는 상승 효과를 평가하였다. 치주인대섬유모세포의 세포증식은 EGF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10 ng/ml 농도에서 최대 세포증식을 보였다. EGF는 상처치유분석에서 상처 치유촉진과 이동성을 보여주었다. EGF에 T3와 HB-EGF를 첨가한 혼합액에서 배양한 세포는 EGF만 처리한 경우보다 세포 증식이 상승되었다. EGF와 T3 혼합액의 상승효과 기전을 유추하기 위해서 RT-PCR로 EGF 수용기의 발현을 확인하였고, T3가 EGF 수용기 발현을 증가시켰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EGF와, EGF와 T3, EGF와 HB-EGF의 혼합액은 완전탈구된 치아의 치료에 있어 유용한 선택이 될 것이다.

  • PDF

재식전 건조시간에 따른 Emdogain$^{(R)}$ 의 적용이 치근흡수에 미치는 영향 : 조직학적, 3차원영상 분석 (THE EFFECT OF EMDOGAIN. APPLICATION IN REPLANTED BEAGLE'S ANTERIOR TEETH : 3- DIMENSIONAL AND HISTOLOGIC ANALYSIS)

  • 엄찬용;최영철;박재홍;최성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07-618
    • /
    • 2008
  • 완전탈구된 치아의 구강외 건조시간에 따른 Emdogain$^{(R)}$의 적용이 재식치의 치주조직의 치유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체중 10-13 kg의 비글 3마리의 상하악 12개의 전치를 발거하여 재식하였다. 구강외 건조시간은 15(I 군), 30(II 군) 및 60분(III 군)으로 분류한 후, 각 군은 Emdogain$^{(R)}$을 적용한 실험군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을 두었다. 건조시간에 따른 Emdogain$^{(R)}$의 적용이 치주조직치유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치과용 cone beam CT를 이용한 3차원적 영상과 조직학적 관찰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에서 건조 시간이 길어질수록 재식 후 염증성 흡수가 현저히 증가하였다(P<0.001). 2. Emdogain$^{(R)}$의 적용은 대조군에 비하여 염증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I 군과 III 군에서 Emdogain$^{(R)}$ 을 적용한 실험군에서 염증성 흡수의 감소가 나타났으나(P<0.01), II군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3. 치근의 흡수는 치근단 1/3 부위(절편 16, 15, 14순으로)에서 주로 발생하였으며(P<0.05, 0.001), 또한 치경부 1/3 부위(P<0.05)에서도 현저히 나타났다. 4. 치아의 장축에 직각인 절단면에서 관찰된 흡수는 주로 협설측 부위에 주로 발생하였다(P>0.01).

  • PDF

광주광역시 초중고 교사들의 치아외상에 대한 지식과 태도 (DENTAL TRAUMA MANAGEMENT KNOWLEDGE AMONG A GROUP OF TEACHERS IN GWANG-JU)

  • 윤영미;이난영;이상호;장향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17-228
    • /
    • 2011
  • 학교에서 학생들의 치아외상은 흔한 일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광주광역시의 초중고 교사들의 치아외상 처치 방안과 지식을 설문지를 사용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광주광역시의 초중고 중에서 무작위로 선정된 초등학교 교사 325명, 중학교교사 101명, 고등학교 교사 232명으로 총 658명(남성362명, 여성296)에게 설문지를 배분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지 1에는 성별, 나이, 교직경험, 치과적인 외상에 관한 교육여부 등이 포함되었다. 설문지 2는 특정 치아외상이 일어난 상황에서 적절한 태도에 대한 질문을 포함하고 있다. 설문지 3은 가능한 응급 서비스와 손상된 치아의 상태에 관한 지식을 물어보는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치아파절시 대처 태도에서 남녀 교사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치아 완전탈구시 대처 태도에서 초중고교사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문항별로 차이는 있었으나, 치아 외상 처치에 있어서 광주광역시 교사들의 전반적인 지식과 인지상태가 불충분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향후 치아외상시 즉각적 처치에 대한 초중고 교사들의 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적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어린이의 치아 외상에 대한 전라북도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도 조사 (A SURVEY ON THE KNOWLEDGE AND AWARENESS OF TRAUMATIC DENTAL INJURIES IN A GROUP OF JEON-BUK PROVIN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이제우;이광희;라지영;안소연;김윤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20-128
    • /
    • 2012
  • 본 연구는 전라북도 지역 초등학교 교사에게 적합한 치아외상 교육내용 및 효과적인 전달 방법이 마련될 수 있도록 치아외상에 대한 지식수준을 파악하고 기존 연구에서 자세히 다루지 않았던 교육현황을 조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북지역 초등학교 교사 231명에게서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설문 문항은 응답자의 일반 사항, 치아외상 교육현황 및 태도, 사례를 통한 지식수준, 치아 보관 매체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조사 결과 치아외상 대처방법에 교육을 받은 교사는 15.2%에 불과하였고, 교사들을 대상으로 치아외상 대처방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97%가 필요하다고 대답하여 교사 스스로도 치아외상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었으며 교육 방식으로는 전문가에 의한 직접 교육을 선호하였다. 사례를 통한 평가에서는 문항 간에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응급상황시 적절히 대처하기에는 지식수준이 대체로 불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전라북도 초등교사들에게 적합한 교육방식과 교육내용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연구 및 교사들에게 알맞은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등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표피성장인자가 치주인대 섬유 모세포의 증식과 부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GF ON PROLIFERATION AND ATTACHMENT OF HUMAN PERIODONTAL FIBROBLASTS)

  • 이종은;김종관;김성오;김연태;최형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95-402
    • /
    • 2005
  • 손상 받은 치주 조직의 치유과정은 치주인대 섬유 모세포의 세포 활성도에 영향을 받는다. 또한 치유과정 중 치주인대 섬유 모세포간의 재부착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표피성장인자가 치주인대 세포의 증식과 부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으로 이를 바탕으로 향후 완전 탈구된 치아의 보관용액이나 재식전 처리제로서의 표피성장인자의 효용성을 고찰해 보기 위함이다. 발치된 사람의 제 1소구치에서 치주인대 섬유모세포를 채취 및 배양한 후, 세포독성을 및 세포의 최고 활성도를 평가 하기 위해 MTT assay를 시행하였다. 표피성장인자가 첨가된 실험군과 대조군의 세포증식의 차이를 비교하였고, western blot을 통해서 세포 부착에 관여하는 섬유결합소의 발현을 실험군과 대조군을 통해 비교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표피성장인자는 치주인대 섬유모세포에 대하여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으며, 최고의 활성도를 보이는 농도는 10ng/ml였다. 또한 치주인대 섬유모세포의 배지내 증식정도는 10ng/ml의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세포간 부착에 관여하는 섬유결합소의 발현율이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표피성장인자는 치주인대 섬유모세포의 재생을 촉진하며 따라서 완전 탈구된 치아의 보관용액이나 재식전 처리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탈구치 저장 매체로서 치주인대 세포에 미치는 Polydeoxyribonucleotide의 효과에 대한 연구 (Effect of Polydeoxyribonucleotide on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as a Storage Medium for Avulsed Tooth)

  • 노상태;채용권;이고은;김미선;남옥형;이효설;최성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347-359
    • /
    • 2023
  • 본 연구는 탈구된 치아의 저장 매체로서 polydeoxyribonucleotide (PDRN)의 적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HBSS와 10, 25, 50, 100 ㎍/mL 농도의 PDRN 용액과 수돗물에 저장된 인간 치주인대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기 위해 Cell Counting Kit-8 assay와 Live/Dead assay를 시행하였다. 또한, PDRN의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NO 검출 및 qRT-PCR 실험을 진행하였다. 100 ㎍/mL 농도의 PDRN 용액에 저장된 치주인대 세포의 생존율이 다른 용액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 < 0.01). 또한, 100 ㎍/mL 농도의 PDRN 용액은 유의하게 NO의 생산을 줄였다(p < 0.0001). 그리고, HBSS 용액에 비하여 50 및 100 ㎍/mL 농도의 PDRN 용액에서 유의하게 tumor necrosis factor α, interleukin (IL)-4, IL-6, 그리고 IL-10의 발현이 낮았다(p < 0.01). 이 연구를 통해 PDRN은 치주인대 세포에 세포 보존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진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는 효과적인 탈구치 저장매체의 개발을 위한 향후 추가적인 실험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저장용액의 온도에 따른 치주인대세포의 생존율 (A COMPARATIVE STUDY OF PRESERVING ABILITY OF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STORED IN DIFFERENT TEMPERATURED STORAGE MEDI)

  • 조재현;김성오;최형준;이제호;손흥규;최병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6-42
    • /
    • 2007
  • 외상성 손상 후 치아 탈구 시 치아를 저장하는 저장용액의 종류와 온도가 치주인대세포의 생존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기 위하여 치주인대세포를 10% fetus bovine serum(FBS) 함유 ${\alpha}-minimal$ essential medium$({\alpha}-MEM)$에서 $37^{\circ}C$ 5% $CO_2$ 공기 혼합 배양기에서 배양하고 4 25, $37^{\circ}C$의 Hank's balanced salt solution(HBSS) 과 ${\alpha}-MEM$, 우유(S회사, P회사), tap water에 저장하고 60분이 지난 후 각 군에 대해 치주인대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MTT assay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4^{\circ}C$ 저장용액의 치주인대세포의 생존율은 ${\alpha}-MEM$과 P회사우유에서 가장 높았고 HBSS, S회사우유, tap water 순으로 낮았다. 2. $25^{\circ}C$ 저장용액의 치주인대세포의 생존율은 ${\alpha}-MEM$에서 가장 높았고 P회사우유, HBSS, S회사우유, tap water 순으로 낮았다. 3. $37^{\circ}C$ 저장용액의 치주인대세포의 생존율은 ${\alpha}-MEM$과 P회사우유, HBSS, S회사우유에서 높았고 tap water에서 가장 낮았다. 4. ${\alpha}-MEM$의 치주인대세포의 생존율은 $4^{\circ}C$에서 가장 높았고 $25^{\circ}C$$37^{\circ}C$순으로 낮았으며 HBSS에서는 $4^{\circ}C$에서 높았고 $25^{\circ}C$$37^{\circ}C$에서 낮았다. 5. S회사와 P회사우유에서 치주인대세포의 생존율은 $4^{\circ}C$$25^{\circ}C$에서 높았고 $37^{\circ}C$에서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외상으로 인해 치아가 탈구되었을 때 탈구된 치아의 저장용액으로 HBSS용액이 추천되고 있으나 이 연구에서 $4^{\circ}C$$25^{\circ}C$ 우유에서 치주인대세포의 생존율이 높았으므로 사고 현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치주인대세포의 생활력 보존에도 유리한 낮은 온도의 우유에 탈구된 치아를 보존하는 방법도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탈구치의 alendronate 도포가 재식 후 염증반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OPICAL ALENDRONATE APPLICATION ON INFLAMMATION OF REPLANTED RAT MOLAR)

  • 최성철;이긍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92-203
    • /
    • 2007
  • 본 연구는 탈구치에 대한 alendronate(ALN)도포가 지연재식모델에 있어 염증반응의 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고자 태생 6주된 54마리 SD Rat의 상악 제 1 대구치를 재식하였다. 실험군은 15분 자연건조 후에 즉시 재식군(I군), 60분 자연건조 후 HBSS 도포군(II군) 그리고 60분 자연건조 후 ALN 도포군(III군)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군 간의 치근의 염증성 흡수상태, 치근의 대치성 흡수정도, 염증의 정도, 그리고 치주인대의 치유정도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I군은 II, III군에 비하여 염증의 정도나 치근의 염증성 흡수정도 등 전반적인 염증반응이 적었고, 치주조직의 재부착 및 재생의 정토가 가장 높았다. 2. II군에서는 전반적으로 염증이 가장 심하였으며, 치근흡수 또한 광범위하였다. 3. III군은 II군에 비하여 치근면에 국소적인 염증반응이 나타났으며 치근의 염증성 흡수 또한 국소적으로 발생하였다(p<0.001). I군에 비하여 치주조직의 염증반응은 증가하였으나(p<0.05) 염증성흡수와 대치성흡수에 있어서는 유의성이 없었다. 4. 각 군에서 대치성흡수의 양상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약간의 증가가 있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탈구치가 구강 외에서 장시간 건조되었을 경우 ALN의 사용은 치근흡수를 억제하고 치주조직의 재생에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LN은 치아의 탈구시에 사용되는 여러 약재들의 대체품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탈구치의 재식시 ALN 사용을 위한 적절한 용량과 도포용제재의 개발을 통하여 치아의 재식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연구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