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mber harvest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9초

Establishment of Optimal Timber Harvesting Model by Using Goal Programming

  • Jang, Jae-Young;Choi, Sang-Hyun;Woo, Jong-Choo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8권1호
    • /
    • pp.30-36
    • /
    • 2012
  • The total yield of Pinus koraiensis stands was reviewed along forest function by using goal programming, which is one of the operations research techniques. The 4 kinds of management goals are set to identify timber production in the Research Forest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s a result, scenario 1 was estimated the best timber production over 2,073 ha area and also 588 ha in the third quarter was showed the most timber harvest. The rate of timber harvest was separated by 10 to 50 percent in non-timber forest function in the scenario 1 and that model was applied to the Research Forest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The structure of the area and volume is showed to be balanced quarterly when rate of timber harvest at 10 to 20 percent.

Linear Programming에 의한 삼림경영계획(森林經營計劃) - 잣나무임분(林分)의 삼림수확계획(森林收穫計劃)을 중심으로 - (Forest Management Planning by Linear Programming - Timber Harvest Scheduling of a Korean Pine stand -)

  • 우종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4호
    • /
    • pp.427-435
    • /
    • 1991
  • 삼림수확계획(森林收穫計劃)을 위한 선형계획법(線型計劃法)(LP)의 적용성(適用性)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본 연구(硏究)에서는 삼림경영(森林經營) 계획기간(計劃期間) 10년 동안 보적수확량(保積收穫量)의 시간적(時間的), 공간적(空間的) 최적배분(最適配分)을 위하여 시뮬레이션과 선형계획법(線型計劃法)을 사용하였다. 수확표수치(收穫表數値)를 이용하여 수종별(樹種別) 생장방정식(生長方程式)을 유도했고 시뮬레이션 모형(模型)에 유도된 생장방정식(生長方程式)을 포함시켜 계획기간(計劃期間)동안 잣나무임분(林分)의 축적변동상황(蓄積變動狀況)을 추정(推定)하였다. 이것은 LP모형의 기초 data가 되며 고전적(古典的) 수확조절방법(收穫調節方法)(Paulsen-Hundeshagen 공식법(公式法))에 의해 계산된 분기별(分期別) 수확재적(收穫材積)의 상한치(上限値)등이 LP모형구성에 포함되었다. 2년(年)을 1분기(分期)로 하여 계획기간(計劃期間) 10년(年)을 5분기(分期)로 나누었으며 본(本) 연구(硏究)에서 개발(開發)된 LP모형에 의해 연습림내(演習林內) 잣나무 임분(林分)의 보조소반별(補助小班別) 분기별(分期別) 최적수확(最適收穫) 계획(計劃)을 수립(樹立)하였다.

  • PDF

Assessment of Timber Harvest in Tropical Rainforest Ecosystem of South West Nigeria and Its Implication on Carbon Sequestration

  • Adekunle, Victor A.;Lawal, Amadu;Olagoke, Adewole O.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1호
    • /
    • pp.1-14
    • /
    • 2014
  • Timber harvest in natural forests and its implications on carbon sequestration were investigated in the Southwestern Nigeria. Data on timber harvest from forest estates for a 3-year period were collected from the official record of States' Forestry Department. The data registered the species, volume and number of timbers exploited during the study period. The data were analyzed accordingly for rate of timber harvest and carbon value of the exploited timbers using existing biomass functions. Values were compared for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tates using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exploited logs, in terms of volume and number of trees, have the highest amount of carbon removal. There was a variation in type of timber species being exploited from each state. The total number of harvested trees from Oyo, Ondo, Ogun, Ekiti and Osun were estimated at 100,205; 111,789; 753; 15,884 and 18,153 respectively. Total quantity of carbon removed for the 3-year period stood at 2.3 million metric tons, and this translated to 8.4 million metric tons of $CO_2$. The annual carbon and $CO_2$ removal therefore were estimated at 760,120.73 tons and 2.8 million tons/ year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in the amount of $CO_2$ removed from the five states. Based on our result, we inferred that there is increasing pressure on economic tree species and it is plausible that they are becoming scarce from the forests in Southwestern Nigeria.. If the present rate of log removal is not controlled, forests could become carbon source rather than carbon sink and the on biological conservation, wood availability and climate change may turn out grave. For the forest to perform its environmental role as carbon sink, urgent conservation measures and logging policies are needed to be put in place.

산림수확 시뮬레이터 HARVEST 응용에 의한 벌채지 공간배치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Spatial Allocation of Cut Blocks Using a Timber Harvest Simulator HARVEST)

  • 송정은;장광민;한희;설아라;정우담;정주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1호
    • /
    • pp.96-10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산림수확계획 수립에 있어 벌채지 선정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수확분배시뮬레이션 모델의 도입을 위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Gustafson과 Crow가 개발한 HARVEST를 산림수확 공간분배 모델로 선정하고 국립산림과학원의 광릉시험림을 대상으로 벌채구획의 면적제한, 벌채지 선정방법, 및 벌채지 연접제한과 같은 기본적인 산림수확 경영방침을 적용하여 모델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벌채 구획의 면적제한 조건의 경우 허용벌채면적이 커질수록 벌채구획의 수는 적어지고 벌채구획간의 거리는 멀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의산개형, 군상형 군상택벌형 및 영급순 등 벌채임분의 선정방법을 달리하여 수확 시뮬레이션에 적용한 경우 군상택벌형을 제외하고 벌채구획의 크기와 개소 수는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벌채지간 거리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벌채지의 연접제한은 이미 벌채된 임분 주변에서의 벌채를 제한하므로 벌채구획의 수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한 결과 HARVEST는 산림수확을 수행하는데 있어 다양한 경영목표에 따라 벌채구획의 수와 공간분포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적인 도구로 평가되었다.

Value Chain Optimization in Timber Supply Chain: Case Study in Gangwon-do

  • Kang, Byongrho;Kim, Hyoungtae;Jang, Jaeyoung;Woo, Heesung;Woo, Jongchoo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4호
    • /
    • pp.304-312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s to identify the impact factors of timber production co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on cost components and revenues generated by evaluating the entire timber supply chain. In this research, selected 13 logging zones as target areas and classified 14 forest production cost factors, six groups. Additionally, established 13 externalenvironmental factors with related stakeholders and forestry experts. And the BCR (Benefit Cost Ratio) method was then used to analyze the economics of each zone. Filled up a checklist and rated using 5 point scale for each target region, and extracted major cost factors for the production economy of the item. The analysis of major cost factors in the timber production revealed that wood grab equipment usage fee was the first ranked and forest trees purchase cost was ranked in the $2^{nd}$Also, the $3^{rd}$ranking was logging expenses, and transport cost, which accounted for 84% of the total cost, was ranked in the $4^{th}$. In addition, the rock land ratio, slope, timber payment (forest trees purchase cost), special timber, ratio of timber, DBH (Diameter at Breast Height), and mixed forest ratio were the factors that most affected the timber supply chain cost.

GIS를 이용한 대채제한지(代採制限地) 선정(選定)에 관한 연구(硏究) (An study on selecting the restricted area of timber harvesting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 우종춘;최조룡;원현규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119-123
    • /
    • 2000
  • 본 연구는 GIS를 이용하여 산림경영을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임목의 벌채로 인한 수질오염문제, 토사유출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우선 입목을 벌채를 실시할 경우, 별채 금지구역을 선정하였다. 강원대학교 연습림 지역에 대한 벌채계획 수립 시, 벌채로 인한 여러 가지 위험요소들이 발생하므로 벌채제한지의 선정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용된 GIS 분석방법으로는 Arc/Info 7.1의 기능 중에 하나인 버퍼링 (Buffering) 기능과 중첩기능 (Overlay)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249.82ha에서 52.64ha가 벌채제한지로 나타났고, 수종별로 살펴보면 활엽수가 13.21ha, 잣나무 26.44ha, 낙엽송 12.38ha, 소나무 0.61ha 이었다. 잣나무가 26.44ha로 가장 많은 지역에서 벌채제한지로 나타났다.

  • PDF

대단지(大團地) 산림(山林)의 목재생산계획(木材生産計劃) 분석(分析)을 위한 선형계획(線型計劃) 실험전산모델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Developing An Experimental Model to Solve for Optimal Forest-Level Timber Harvesting Schedules Using Linear Programming)

  • 정주상;박은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2권3호
    • /
    • pp.292-304
    • /
    • 1993
  • 이 연구에서는 대단지 산림자원의 수확벌채계획(收穫伐採計劃) 수립을 위한 선행계획 전산모델의 기초체계를 제시하였다. 모델에서 사용한 선형계획수식화모형은 비감소수확(非減少收穫)에 허용증감율을 적용하여 목표림의 유도, 최소 목재공급의 한계 및 최대 벌채면적의 한계와 같은 산림생산 제약조건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 모델에서는 Model I 및 Model II 기법에 의한 선형계획 수식화가 가능하고, Matrix 출력은 MPS 양식에 의한다. 전산모델 개발에 있어서 선형계획기법에 의한 산림자원 경영분석방법론(經營分析方法論)의 타당성(妥當性)은 문헌고찰에 의해 이미 국내에 소개된 바 있는 감반율법(減反率法) 및 이분검색법(二分檢索法)의 해법특성(解法特性)과의 비교고찰(比較考察)을 통해 검토하였다. 또한 제시된 모델체계의 적용성은 대규모 산림자원 경영계획을 수렵하기 위한 사례분석을 통해 검토하였다. 사례분석을 위한 연구대상지로 서울대학교 남부연습림 백운산지역(약 11,000ha)을 선택하여 위에서 제시된 산림생산(山林生産) 제약인자(制約因子)들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최적벌채계획(最適伐採計劃)을 수립하고, 목재생산 제약인자들의 강도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 PDF

탄소저장(炭素貯藏) 및 목재생산효과(木材生産效果) 중심(中心)의 산림경영계획(山林經營計劃)을 위한 다목적(多目的) 선형계획법(線型計劃法)의 응용(應用) (Optimal Forest Management Planning for Carbon Sequestration and Timber Production Using Multiobjective Linear Programming)

  • 박은식;정주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3호
    • /
    • pp.335-341
    • /
    • 2000
  • 이 연구에서는 탄소저장 및 목재생산효과를 동시에 고려하여 최적 산림경영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다목적 선형계획수식모형을 개발하고, 사례연구를 통해 탄소저장과 목재생산효과의 선호도에 따른 최적 산림수확계획의 변화 경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로는 홍천의 가리산 지역을 선정하였으며, 선형계획수식모형에는 비감소수확, 수확벌채량 및 수확면적의 최대, 최소범위, 계획기간말의 임상구조 등을 제약하는 다수의 조건들을 포함시켰다. 또한 탄소저장 및 목재생산효과와 같이 상충적인 요소를 경영계획에 반영하기 위한 합리적 절충방안의 하나로 경영목적의 선호도에 따른 결합생산가능곡선을 제시하였다.

  • PDF

심박수를 이용한 임목수확작업의 작업강도 분석 (Heart Rate Strain of Forest-workers in Timber Harvesting Operation)

  • 백승안;이은재;남기훈;조구현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3권4_2호
    • /
    • pp.593-601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hysical strain with heart rate monitor in timber harvesting operations in order to reduce occupational accidents. The timber harvesting activities are manual cutting(felling, limbing and bucking) with a chainsaw and extraction by cable yarder. The study took place on Japanese larch stand. The average height was 26m and average diameter at breast height(DBH) was 3 7cm. The havest unit was gentle slope to steep slope. Results showed that the heart rate increases for chocking, felling, limbing and bucking were 94.0%, 87.9%, 84.8% and 56.4% respectively. The rate of Work Load Index was higher in the limbing(61.4%) activity than other activities chocking(55.2%), felling(54.1%) and bucking(32.1%). During 50% working heart rate test it was found that limbing(1.09), chocking(1.05) and felling(1.04) was exposed to high work intensity compared to bucking(0.83). The results showed that maximum acceptable work times(felling, chocking and limbing) were 2.30 hour, 1.85 hour and 1.60 hour respectively. To avoid occupational accidents, timber harvest workers may use a suitable working hour schedule to felling, chocking, limbing.

탄소가치를 고려한 소나무림의 최적관리 방안 (The Optimal Harvest Scheme for Pine Trees When Carbon Value Is Considered)

  • 이상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164-1170
    • /
    • 2013
  • 나무는 대기 중의 탄소를 흡수하기 때문에 산림은 목재의 생산지로서만 아니라 탄소저장고로 고려되어야한다. 이 연구는 산림의 탄소흡수 역할을 고려한 최적 벌채연령을 찾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관리방법별 연령별 재적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문제해결을 위해 다이나믹프로그래밍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벌채연령은 탄소의 가치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보다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정부가 규정하는 국유림 소나무에 대한 벌채연령보다는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유림 소나무에 대한 정부의 관리에는 탄소흡수에 대한 가치뿐만 아니라 다른 공익적 가치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사유림에 대한 규정은 적정 벌채연령보다 짧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사유림경영에 비효율성을 초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