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mber demand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19초

목재수요(木材需要)의 소득(所得) 및 가격탄력성(價格彈力性) 분석(分析) (Analysis of the Income and Price Elasticities of Timber Demand in Korea)

  • 박명규;박석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41-48
    • /
    • 1981
  • 과거(過去) 27년(年)(1953~1979년(年))동안 우리나라의 목재수요탄력성(木材需要彈力性)은 소득(所得)의 증감(增減) 및 가격변동(價格變動)에 대응(對應)해서 어떻게 변화(變化)되어 왔는지를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경제성장(經濟成長)의 단계(段階)를 3기간(期間)으로 구분(區分), 소득탄력성(所得彈力性) 분석(分析)을 하였으며 그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1953~79년간(年間)에 있어서 총목재수요(總木材需要)의 소득탄력치(所得彈力値)는 1.87, 가격탄력치(價格彈力値)는 -0.47이었다. 그리고 해(該) 기간중(期間中) 내재수요(內材需要)의 소득(所得) 및 가격탄력치(價格彈力値)는 각각 0.09, -0.30이었으며, 외재수요(外材需要)의 소득(所得) 및 가격탄력치(價格彈力値)는 각각 2.50, -0.11을 나타내었다. 2. 전란후(戰亂後) 경제회복기(經濟回復期)인 1953~61년간(年間)에 총목재수요(總木材需要)의 소득탄력치(所得彈力値)는 2.11, 가격탄력치(價格彈力値)는 -0.86이었다. 해기간중(該期間中) 내재수요(內材需要)의 소득(所得) 및 가격탄력치(價格彈力値)는 각각 -2.94, -0.57이었고, 외재수요(外材需要)의 소득(所得) 및 가격탄력치(價格彈力値)는 각각 1.20, 0.43이었다. 3. 경제재건기(經濟再建期)인 1962~71년간(年間)에 총목재수요(總木材需要)의 소득탄력치(所得彈力値)는 2.89, 가격탄력치(價格彈力値)는 -0.20이었다. 해기간중(該期間中) 내재수요(內材需要)의 소득(所得) 및 가격탄력치(價格彈力値)는 각각 1.38, -0.25였고, 외재수요(外材需要)의 소득(所得) 및 가격탄력치(價格彈力値)는 각각 3.54, -0.42였다. 4. 고도경제성장기(高度經濟成長期)인 1972~79년간(年間)에 총목재수요(總木材需要)의 소득탄력치(所得彈力値)는 1.07, 가격탄력치(價格彈力値)는 0.17이었다. 해기간중(該期間中) 내재수요(內材需要)의 소득(所得) 및 가격탄력치(價格彈力値)는 모두 0.12였으며, 외재수요(外材需要)의 소득(所得) 및 가격탄력치(價格彈力値)는 각각 1.22, 0.17이었다.

  • PDF

우리나라 목재수요(木材需要)의 장기여측에(長期予測) 관(関)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Long-Term Demand Projections for Timber in Korea)

  • 김장수;박호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9-35
    • /
    • 1980
  • 기존(旣存)의 시계열자료(時系列資料)를 회귀분석(回歸分析)함으로써 우리나라 목재수요(木材需要)를 장기예측(長期予測)하였다. 이론적(理論的)인 검토(檢討)를 거쳐 모집(募集)된 자료(資料)는, 계량분석(計量分析)이 가능하도록 정리(整理)해서 가상적(假想的)인 수요함수(需要函數)를 도출(導出)하였다. 설명변수(説明変数)는 수요산업(需要産業)의 생산활동(生産活動)과 상대가격(相対価格)을 택했으며 모형(模型)의 예측력(予測力)을 검증(検證)한 후, 5 차(次) 5 개년계획(個年計㓰)(안(案))의 지침자료(指針資料)에 의해 총량예측치(總量予測値)를 추정(推定)하였다. 이러한 Simulation 과정(過程)을 거쳐 추정(推定)된 장기국내수요(長期國內需要)는 1987년(年)에 8,480천(千)$m^3$, 1991년(年)에는 10,670천(千)$m^3$로 증가(増加)될 것으로 전망(展望)되었으며 총수요(總需要)는 1987년(年)에 21,430천(千)$m^3$ 그리고 1991년(年)에는 27,190천(千)$m^3$가 수요(需要)될 것으로 추계(推計)되었다.

  • PDF

문화재용(文化財用) 목재(木材)의 수급(需給) 및 유통(流通) 실태(實態) (A Study on the Status of Supply-Demand and Procurement of the Timber for Wooden Cultural Properties)

  • 배재수;김외정;박경석;백을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1호
    • /
    • pp.126-134
    • /
    • 2000
  • 본 연구는 문화재용 목재의 수급 및 유통 실태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문화재용 목재는 문화성, 공공성, 고품질성이라는 특성을 갖고 있으며, 이 특성으로 인해 일반용재에 비해 매우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98년 문화재용 목재 수요는 약 1.8만$m^3$이며, 그 중 특수재 및 특대재는 총 수요의 35.5%인 6.3천 $m^3$로 추정되었다. 문화재용 목재공급은 주로 국유림(16.7%) 및 강원도 민유림(65.7%)에서 생산된 것으로 추정되며, 최근 강원도로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소나무 대경목의 자원 부족으로 문화재 수리 시 외재가 일부 대체목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문화재수리업자는 문화재용 목재수요는 증가할 것이나 대경재 공급은 어려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결국 문화재용 목재수급을 통한 목조건축문화재의 전통을 계승하기 위해서는 소나무 대경재 생산을 목표로 한 산림경영계획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우리나라의 목재수요(木材需要)에 관한 연구(硏究) - 장기수요전망(長期需要展望)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mand for Timber in South Korea - with an Emphasis on the Long-term Forecasts -)

  • 윤여창;김의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1권2호
    • /
    • pp.124-138
    • /
    • 1992
  • 본 논문은 한국(韓國)의 장기목재수요함수(長期木材需要函數)를 추정(推定)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1970년부터 1990년까지 21년간의 시계열자료(時系列資料)가 분석자료로서 이용되었으며, 수요전망은 2030년까지의 예측치를 제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침엽수와 활엽수를 구분하여 용도별로 수요함수를 추정하였으며, 더미변수(變數)의 확정방법(確定方法)에 관하여도 자세한 검토가 이루어졌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분석결과(分析結果)를 살펴보면 현재 활엽수에 대한 침엽수의 대체효과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경향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인 바, 주로 건축 토목 등에 소요되는 일반 용재를 중심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수종을 불문하고 대부분의 용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갱목용재의 경우는 오히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종별 용도별 목재수요함수(木材需要函數)에 대한 파라메타 추정결과(推定結果)를 보면 GDP에 대한 수요탄력성이 다른 설명변수의 탄력성보다도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인구 및 대체재의 영향은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는 세계목재시장이 역으로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Global Timber Market on Global Warming when Climate Changes)

  • 이덕만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7권2호
    • /
    • pp.287-311
    • /
    • 2008
  • 본 연구는 지속적인 산림경영 증진의 필요성과 관련한 한 분야의 연구로서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는 세계목재시장이 산림을 통해 대기에 배출하는 순탄소량의 규모에 대한 측정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는 세계목재시장 분석을 위해 개발한 목재공급모형(변형된 TSM 2000)과 동태적 탄소모형(확장된 TCM)을 통합하여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는 세계목재시장이 산림을 통해 대기에 배출하는 순탄소량의 규모를 1995년부터 2085년까지 90년간 시뮬레이션하였다. 정상적으로 성장하는 목재수요(ND) 시나리오 하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2085년에 이르러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는 세계목재시장은 1990년도 대기에 축적된 탄소랑의 약 3.60퍼센트를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는 세계목재시장이 산림의 탄소 유입과 배출을 통해 역으로 지구온난화를 완화하는데 기여하게 된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본 연구는 민감도 분석을 위해 빠르게 성장하는 목재수요(HD) 시나리오와 매우 빠르게 성장하는 목재수요(VHD) 시나리오 하에서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는 세계목재시장이 대기에 배출하는 순탄소량의 규모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시도하였다.

  • PDF

우리나라 목재수요의 장기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ng-Term Forecast of Timber demand in Korea)

  • 이병일;김세빈;권용대
    • 농업과학연구
    • /
    • 제25권1호
    • /
    • pp.41-51
    • /
    • 1998
  • This study not only carried out to grasp about the sununarized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timber market and production trend of wood products, but also focused on the analysis of korean wood demand and the long-term forecast with econometric analysis.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for wood demand in Korea is that coniferous roundwood demand(CIWD) is explained by coniferous foreign roundwood price(CWRI), Gross domestic product(GDP), a dummy variable. Non-coniferous roundwood demand(NCIWD)is explained by non-coniferous roundwood price(NCWRI), coniferous roundwood price(CWRI), a dummy variable. As the result of long-term forecast by base case, the total roundwood demand was forecasted $11,107,000m^3$ in the year 2000, $11,781,000m^3$ in 2005, $12,565,000m^3$ in 2010. As the result of scenario 1, total roundwood demand was forecasted $11,027,000m^3$ in 2000, $11,435,000m^3$ in 2005, $11,952,000m^3$ in 2010. And as the result by scenario 2, total roundwood demand was forecasted $11,341,000m^3$ in 2000, $12,208,000m^3$ in 2005 $13,257,000m^3$ in 2010.

  • PDF

세계목재시장이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mpact of the Global Timber Market on Global Warming: A Dynamic Integrated Modeling Approach)

  • 이덕만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1권4호
    • /
    • pp.557-579
    • /
    • 2002
  • In recent days, it has been significantly suggested that the promotion of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ameliorating atmospheric carbon. In this respect, we intend to investigate the dynamic impact of the global timber market on carbon flux of forest through net carbon release into the atmosphere. For this purpose, we integrated the TSM 2000 with TCM to simulate the projection of net carbon release of the global timber market over 90 years, starting 1995. As a result, we identified that the global timber market increases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bout l.9% over next 90 years; hence results in a positive effect on global warming. For sensitivity analysis, we performed these procedures under three different timber demand growth scenarios.

  • PDF

Current Status, Future Trend and General Policies of Forestry in China

  • Cheng, Ming;Ahmed, Sheikh Ali;Chun, Su-Kyoung;Kim, Jong-In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16
    • /
    • 2006
  • Based on data collected by the State Forestry Administration (SFA) and other databases, this paper describes the current status, future trend and general policies in China's forestry. Forestry sector plays an important role in GDP growth of China. As a result forestry industry value output is increasing day by day. There is huge gap between demand and supply of timber projected in 2010.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develop fast growing, high yield forest following some specific policies. The ultimate goals of forestry are to construct or improve industry infrastructure, overall upgrade of forest industry structure, income improvement of forest employees and peasants, polices renewal and technology improvement, acceleration of forest processing with high-tech.

  • PDF

목재산업진흥 종합계획에 따른 목재공급 전망 (Outlook of the timber supply to the wood industry buildup master plan)

  • 이상민;김경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715-1724
    • /
    • 2015
  • 이 연구는 정부의 목재산업진흥 종합계획에 기초하여 장기적인 산림의 영급구조 변화와 국내재 공급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목재는 주벌과 수종갱신, 피해지 벌채, 솎아베기 등을 통하여서만 공급된다고 가정하였다. 영급별 면적의 동태적인 변화를 추정하기 위하여 코호트 관계식을 이용하였다. 2010년 전체 시업지의 7.7%에 불과하던 6영급 면적이 크게 증가하여 2100년에는 약 73% 정도를 차지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다른 영급의 면적은 5.3~5.6%의 분포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된다. 목재공급에 있어서는 주벌에 의한 생산이 93~95%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2영급과 3영급의 면적에 좌우되는 솎아베기 생산량은 면적의 감소와 함께 점진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재 예상 공급을 선행연구 결과로 제시된 국내재 예상 수요와 비교하여 자급률을 계산한 결과 2050년에 83% 정도 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最近) 일본(日本)의 임업경제(林業經濟) 동향(動向)과 임업(林業)의 과제(課題) (Recent Trends of Forestry Economics and its Problems in Japan)

  • 박명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70-76
    • /
    • 1980
  • Forestry economics in Japan faces the problems of severe decreasing of timber demand and increased importing of foreign timber. Moreover, lack of labour and heavy wages in forestry cause the failure of normal forest management in Japan. In the situation, it is necessary for enhancing the forest production to reorganize the forest resources, to optimize the amount of importing foreign timber, and to greatly expand the new forest road, reforestation, government subsidy and poritical financial support for the foresters. At present, improvement of mangement of national forest as well as public function of forest are being discussed for the forest production on the government ba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