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tatus of Supply-Demand and Procurement of the Timber for Wooden Cultural Properties

문화재용(文化財用) 목재(木材)의 수급(需給) 및 유통(流通) 실태(實態)

  • Received : 1999.12.12
  • Published : 2000.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us of supply-demand and procurement of the timber used for wooden cultural properties. Because people require the high quality pine timber with cultural assurance and public function for cultural properties, it is priced far higher than ordinary construction timber. The timber consumption was estimated at 18 thousand cubic meter in 1998, of which the large sized log(LSL) with the small end diameter over 30cm consisted of 35.5%, equivalent to 6,300 cubic meter. Majority of the timber was supplied from private forest located in Kangwon-do and national forest, accounting for 65.7% and 16.7%, respectively. Recently the supply more and more relied on timber logged in Kangwon-do. Owing to lack of domestic supply of LSL class timber, part of the volume has been substituted by import log. Most of carpenters working on cultural properties thought that supply of LSL timber would hardly meet the increasing demand for uses of wooden cultural properties. Finally, in order to uphold the tradition of wooden cultural properti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forest management plan which aim at producing large size high quality pine timber.

본 연구는 문화재용 목재의 수급 및 유통 실태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문화재용 목재는 문화성, 공공성, 고품질성이라는 특성을 갖고 있으며, 이 특성으로 인해 일반용재에 비해 매우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98년 문화재용 목재 수요는 약 1.8만$m^3$이며, 그 중 특수재 및 특대재는 총 수요의 35.5%인 6.3천 $m^3$로 추정되었다. 문화재용 목재공급은 주로 국유림(16.7%) 및 강원도 민유림(65.7%)에서 생산된 것으로 추정되며, 최근 강원도로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소나무 대경목의 자원 부족으로 문화재 수리 시 외재가 일부 대체목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문화재수리업자는 문화재용 목재수요는 증가할 것이나 대경재 공급은 어려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결국 문화재용 목재수급을 통한 목조건축문화재의 전통을 계승하기 위해서는 소나무 대경재 생산을 목표로 한 산림경영계획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