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dal Correction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3초

조류발전용 수직축 터빈의 유체동력학적 3차원 효과에 관한 연구 (Hydrodynamic Aspects on Three-dimensional Effects of Vertical-axis Tidal Stream Turbine)

  • 현범수;이정기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61-70
    • /
    • 2013
  • 조류발전용 수직축터빈(VAT)의 3차원적인 유체동력학적 성능을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치해석은 2차원과 3차원으로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물리적 유동현상의 차이를 파악하였다. 3차원 효과는 주로 날개 끝단에서 발생하는 날개끝 보오텍스가 주된 원인으로서, 이로 인해 터빈 날개가 내어주는 양력이 손실되고 회전하는 터빈은 토크가 감소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본 연구에서 채택한 통상적인 수직축 터빈의 스팬-직경비 범위에서 상당한 수준으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 터빈을 선정하고 2차원으로 성능해석 후 3차원 효과를 보정하는 비교적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하였다.

Sevoflurane with opioid or dexmedetomidine infusions in dogs undergoing intracranial surgery: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 Marquez-Grados, Felipe;Vettorato, Enzo;Corletto, Federico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1권1호
    • /
    • pp.8.1-8.11
    • /
    • 2020
  • This study reports the clinical use of two sevoflurane-based anesthetic techniques in dogs undergoing craniectomy. Twenty-one animals undergoing elective rostrotentorial or transfrontal craniectomy for brain tumor excision, anesthetized with sevoflurane, were enrolled in this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Anesthetic records were allocated to two groups: Sevo-Op (sevoflurane and short acting opioid infusion): 8 dogs and Sevo-Dex (sevoflurane and dexmedetomidine infusion): 13 dogs. Average mean arterial pressure (MAP), heart rate, end-tidal carbon dioxide, end-tidal sevoflurane and intraoperative infusion rates during surgery were calculated. Presence of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bradycardia, tachycardia, hypotension, hypertension, hypothermia, hyperthermia was recorded. Time to endotracheal extubation, intraoperative occurrence of atrioventricular block, postoperative presence of agitation, seizures, use of labetalol and dexmedetomidine infusion were also recorded. Data from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with Fisher's exact test and unpaired t tests with Welch's correction. Odds ratio (OR) and 95% confidence interval (CI) were calculated for categorical variables. Intra-operatively, MAP was lower in Sevo-Op [85 (± 6.54) vs. 97.69 (± 7.8) mmHg, p = 0.0009]. Time to extubation was longer in Sevo-Dex [37.69 (10-70) vs. 19.63 (10-25), p = 0.0033]. No differences were found for the other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variables investigated. Post-operative hypertension and agitation were the most common complications (11 and 12 out of 21 animals,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fusion of dexmedetomidine provides similar intra-operative conditions and post-operative course to a short acting opioid infusion during sevoflurane anesthesia in dogs undergoing elective rostrotentorial or transfrontal intracranial surgery.

심장수술 환아에게 기도흡인과 기관지 확장제의 투여 방법이 활력징후 및 폐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racheal Suction and Method of Bronchodilator Inhalation on Vital Signs and Pulmonary functions in Patients with Open Heart Surgery(OHS))

  • 송효숙;전태국;박표원;김경은;정지혜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96-107
    • /
    • 2003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racheal suction and the effects of different methods of bronchodilator inhalation (Ultrasonic nebulizer: MDI puff, MDI puff with spacer) in VSD surgery patients. Material & Method: From June 2001 to March 2002, sixty consecutive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control group (n= 15), ultrasonic nebulizer group (n=15), metered dose inhalation (MDI) puff group (n=15) and MDI with spacer group (n=15). Vital signs (HR, BP, CVP), ABGA and pulmonary functions were measured before suction (baseline for suction), after suction, 15 minutes after suction (base of bronchodilator inhalation), 30 minutes after bronchodilator inhalation, and 2 hours after bronchodilator inhalation. Stas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software. Repeated measure ANOVA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racheal suction. One way ANOVA with Bonferroni's correction and multiple range test (the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test) were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lbuterol inhalation. Result: 1. Heart .ate increased significantly immediately after suction (p<.01) and recovered 15 minutes after suction. 2. $PaO_2$ and PH decreased significantly immediately after suction (p<.05) and $PaO_2$ recovered 15 minutes after suction. $PaCO_2$ increased immediately after suction and significantly 15 minutes after suction (p<.01). But changes in vital signs and ABGA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3. Tidal volume decreased significantly 15 minutes after suction (p<.05). 4. Changes of HR and tidal volume were greater in the nebuizer group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p<.05) 30 minutes after bronchodilator inhalation and recovered 2 hours after bronchodilator inhalation. 5. Changes of airway deadspace was greater in the nebulizer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MDI puff group 30 minutes after albuterol inhalation (p<.05) and at 2 hours (p<.01). Conclusion: Tracheal suction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vital signs and pulmonary functions after OHS. Although the methods of bronchodilator inhalation did not showed any significant difference on pulmonary function, the nebulizer method increased $PaO_2$ (20%) and tidal volume transiently. If the patient needs bronchodilator inhalation with bronchospasm after OHS, the nebulizer method is the best choice. More study on the effects of bronchodilator inhalation in bronchospasm group is needed.

  • PDF

전산화단층촬영에서 폐 반고형결절의 크기와 용적에 호흡이 미치는 영향: 개인 내 전폐용량과 일호흡량 간 비교 (The Effect of Lung Volume on the Size and Volume of Pulmonary Subsolid Nodules on CT: Intraindividual Comparison between Total Lung Capacity and Tidal Volume)

  • 이현지;안찬식;유석종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6호
    • /
    • pp.1534-1544
    • /
    • 2021
  • 목적 전산화단층촬영에서 호흡에 의한 폐 용적의 변화가 폐 반고형결절의 크기와 용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총 31명의 환자에서 42개의 반고형결절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먼저 총 폐활량 상태에서 전산단층화촬영을 시행 받은 후, 결절이 포함된 부분만 일호흡용적 상태에서 추가로 촬영하였다. 각각의 반고형결절의 직경과 용적을 측정하였고, 전체 폐 용적은 결절의 중심이 있는 동측 폐의 단면적으로 추정하였다. 동일한 개인 내에서 총 폐활량과 일회 호흡량 간 측정값 변화의 유의성을 통계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총 폐활량 상태와 비교하였을 때, 일회 호흡용적 상태에서 폐 단면적은 평균 12.7 cm2, 반고형결절의 직경 및 용적은 평균적으로 각각 0.5 mm와 46.4 mm3 감소하였다(p < 0.001). 총 폐활량 상태와 일호흡량 상태 간 폐 면적 변화는 반고형결절의 직경 변화(rho = 0.341; p = 0.027) 및 부피 변화(rho = 0.401; p = 0.014)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폐 용적의 변화를 고려하여 보정한 후에는 반고형결절의 평균 직경과 부피가 총 폐활량 상태와 일호흡량 상태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각각 p = 0.062, p = 0.124). 결론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측정한 반고형결절의 크기와 용적은 동일한 환자 내에서도 촬영 당시의 폐 용적에 유의한 영향을 받는다.

Radiometric Characteristics of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 for Land Applications

  • Lee, Kyu-Sung;Park, Sung-Min;Kim, Sun-Hwa;Lee, Hwa-Seon;Shin, Jung-Il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77-285
    • /
    • 2012
  • The GOCI imagery can be an effective alternative to monitor short-term changes over terrestrial environments.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radi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GOCI multispectral imagery for land applications. As an initial approach, we compared GOCI at-sensor radiance with MODIS data obtained simultaneously. Dynamic range of GOCI radiance was larger than MODIS over land area. Further, the at-sensor radiance over various land surface targets were tested by vicarious calibration. Surface reflectance were directly measured in field using a portable spectrometer and indirectly derived from the atmospherically corrected MODIS product over relatively homogeneous sites of desert, tidal flat, bare soil, and fallow crop fields. The GOCI radiance values were then simulated by radiative transfer model (6S). In overall, simulated radiance were very similar to the actual radiance extracted from GOCI data.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calculated from the GOCI bands 5 and 8 shows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MODIS NDVI. In this study, the GOCI imagery has shown appropriate radiometric quality to be used for various land applications. Further works are needed to derive surface reflectance over land area after atmospheric correction.

공간정보를 이용한 광안리 해안선 변화에 관한 연구 (The Coastline Change on Gwangalli Using Spatial Information)

  • 최철웅;오치영;이창헌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3-19
    • /
    • 2009
  • 광안리 해수욕장은 해운대 해수욕장과 더불어 부산을 대표하는 해수욕장 중 하나로 2003년 광안대로 완공 이후 관광객이 꾸준히 늘어 2006년에는 1,000만명 이상의 관광객이 찾는 관광명소이다. 관할구청에서는 광안리 해수욕장 관리를 위해 해마다 양빈사업과 자갈제거 작업을 수행하고 있지만 체계적인 모니터링과 침식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60년간 항공사진, 조석자료, GPS측량자료를 이용하여 광안리 해수욕장의 해안선의 변화를 분석하고, 광안리 해상에 건설된 광안대교가 해안선변화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지난 60년간 광안리 해변의 면적은 40% 증가하였으며, 광안대교가 해안선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LANDSAT 위성영상을 이용한 과거 35년간 두만강 하구 해안선 변화 연구 (Coastline Changes in the Tumen River Estuary over the Past 35 Years Using the Landsat Satellite Imagery)

  • ;;;이동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57-66
    • /
    • 2024
  • Coastline changes evolution of different intensities at all times under the influence of natural and anthropogenic effects. In this paper, we extracted the coastline of the Tumen River estuary from 1985 to 2020 using the digitizing method, verified the accuracy using the visual interpretation results, and analyzed the changes of the coastline of the Tumen River estuary through the area method and the baseline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astline showed an erosion trend during 35 years, with an average erosion rate of 0.05 m/year, an average erosion distance of 3.06 m, and an erosion area of 19.25 ha. Among the human activities that retarded the erosion of the coastline, these activities had a long-term impact on the natural morphology of the coastline.

Topex/Poseidon위성 고도계 자료에 대한 신호처리 및 한반도 주변해역에 대한 그 적용 (Signal Treatement for Topex/Poseidon Satellite Altimetric Data and Its Application near the Korean Seas)

  • 윤홍주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2-31
    • /
    • 1999
  • Topex/Poseidon위성의 고도계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 주변해역에서의 해양 및 대기적 보정인자들의 특성과 평균 해수면 및 그 변화를 각각 알아 보았다. 이때 사용한 고도계 자료는 1992년 9월부터 1994년 8월(총 70개의 싸이클)까지의 자료를 사용했다. 또한 동시에 고도계 자료의 추출 및 신호 처리를 통한 최종의 해양신호(해수면)를 쉽게 구할 수 있는 방법을 상세히 묘사하였다. 대기적 보정인자들로서 건조 및 습윤 대류층, 이온층 그리고 해면기압의 변화 범위의 폭은 수cm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전자기적 편차의 변화 범위의 폭은 약 10cm로서 앞선 세 보정인자들에 비해서 높게 나타났다. 해양적 보정인자들의 변화 범위의 폭을 보면, 해양조(궤적 127에서는 35cm 그리고 궤적 214에서는 60cm)는 탄성조(궤적 127에서는 5cm 그리고 궤적 214에서는 1cm)와 하중조(궤적 127에서는 1.8cm 그리고 궤적 214에서는 1cm)에 비해서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해양에서 해수면의 변화에 크게 기여하는 주요 인자는 해양조 그리고 전자기적 편차의 순이라는 것을 잘 알 수 있다. 최종 해양신호인 해수면의 한반도 주변해역에서의 특성을 보면, 황해에서의 평균 해수면은 동해 및 서해에 비해서 높았다. 그리고 이때 약 100cm의 평균 해수면 값과 함께 -60cm에서 210cm의 변화 범위를 보였다. 한반도 주변해안의 평균 해수면은 황해 및 동지나해에서 변화 특성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서해의 용암포의 경우는 RMS가 5.689cm인데, 이것은 이 지역의 국부적인 지형의 특성과 조류의 영향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 PDF

DDInSAR 영상을 이용한 남극 로스 빙붕의 조위변형과 물성 분석 (Analysis of Tidal Deflection and Ice Properties of Ross Ice Shelf, Antarctica, by using DDInSAR Imagery)

  • 한수정;한향선;이훈열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6_1호
    • /
    • pp.933-944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영상레이더(synthetic aperture radar; SAR) 이중차분간섭기법(Double-Differential Interferometric SAR; DDInSAR)을 이용하여 남극 로스 빙붕(Ross Ice Shelf)의 동쪽(A지역)과 서쪽(B지역)에 위치한 육지 경계부 지역의 조위변형을 분석하고, 조위예측 모델의 정밀도와 빙붕의 영률(Young's modulus) 추정을 위해 2015-2016년에 획득된 총7장의 Sentinel-1A SAR 영상을 획득하였다. 먼저, 남극 로스해(Ross Sea)에 대한 대표적인 조위예측 모델인 Ross Sea Height-based Tidal Inverse (Ross_Inv) 모델과 DDInSAR영상에서 추출된 빙붕의 조위변형을 비교한 결과, 모델의 조위예측 오차는 동쪽에서는 3.86 cm로 분석되었으며 조위모델에서 역기압효과가 필수적으로 보정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서쪽에서는 역기압효과 보정 후에도 큰 오차가 발생하여 조위모델이 부정확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조위변형이 나타나는 힌지 영역(hinge zone)의 폭과 얼음두께의 상관성을 나타내는 1차원 탄성 보 모델에 의거하여 얼음의 영률을 계산하였다. 이를 위해 DDInSAR 영상에서 조위에 의한 변위가 나타나기 시작하는 곳을 지반선(grounding line)으로, 조위에 의한 최대변위가 나타나는 지점을 힌지선(hinge line)으로 새롭게 정의했고, 이두선 사이를 힌지 영역으로 정의했다. 반무한 평면체를 가정한 1차원 탄성 보 모델에 의하면 힌지 영역의 폭은 얼음두께의 0.75승에 정비례한다. DDInSAR에서 나타나는 힌지 영역 중 지반선과 힌지선이 직선에 가까운 지역에서 힌지 영역의 폭을 측정하였고, 이를 BEDMAP2 얼음 두께의 0.75승과의 선형 회귀 분석을 통해 로스 빙붕 동쪽과 서쪽 힌지 영역의 영률을 1.77±0.73 GPa로 추정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방법으로 향후 Sentinel-1 영상이 축적되면 더 정밀한 영률을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 - 병전간 해저케이블 전압측정 장치의 개발 (Development of a Voltage Measuring System for the Pusan-Hamada Submarine Cable)

  • Bahk, Kyung-Soo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255-260
    • /
    • 1991
  • 차동증폭과 A/D(analog-to-digital) 변환 회로를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로 작동되는 데이타로거(data logger)에 연결하여 부산-하마다간의 해저케이블 전압변동을 기록하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이 장치는 저가격, 소형, 저전력소모가 특징이며 계기의 전압드리프트(drift)가 정밀수정되고, 무인자동으로 다량의 자료저장과 모뎀(modem)에 의한 자료전달이 가능하다. 케이블 전압 및 전류 이외에 실내온도와 수은전지 전압을 측정하는데, 이는 온도영향에 따른 오차보정과 장기관 계기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 계기에 의한 관측자료에 의하면 부산해저중계국에서의 전압신호는, 약 0.2 볼트의 일정한 폭의 높은 주파수의 잡음대로 이루어져 있는데, 조석과 비슷한 느린 주기로 약 1볼트 범위내에서 변동한다. 또한, 케이블 전원공급장치는 실내온도가 빠르게 변할 때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